Geological Structural Lines and Hamdeok-Pyoseon Graben in Jeju Island

제주도의 지질구조선과 함덕-표선 지구대

  • Booh Seong-An (Groundwater research lab., Rulal Research Institute, KARICO) ;
  • Jeong Gyo-Cheol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Bin (Groundwater research lab., Rulal Research Institute, KARICO) ;
  • Kim Kyeong-Su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Woo Myoung-Ha (Groundwater research lab., Rulal Research Institute, KARICO) ;
  • Lee Byoung-Ho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부성안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혜빈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우명하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이병호 (농업기반공사)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According to the inference results of formation process of the tectonic lineament, totally four events of subsidence including two events after upheaval of granite body and two events after sedimentation of unconsolidated sedimentary layer formed the macroscopic tensional lineament. The subsidence was occurred by tensional stress oriented ENE-WSW direction and compressional stress oriented NNW-SSE direction. The deeper distribution of tuff and unconsolidated sedimentary layer as much as 70-140m and that of granite as much as 50-500m at Hamdeok and Shinheung than those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area around Hamdeok and Shinheong is due to the Hamdeok-Pyoseon Graben by three events of differential subsidence from Hamdeok to Pyoseon including Shinheung.

지구조 운동에 의한 지질구조선의 생성과정을 추정한 결과 화강암체 융기 후 2회, 미고결퇴 적층 퇴적 후 2회 등 모두 4회의 침강작용으로 대규모 지질구조선이 생성되었으며 침강작용은 동북동-서 남서 방향의 인장응력 과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압축응력에 의해 일어났다. 함덕과 신흥지역의 응회암 및 미고결퇴 적층이 인접한 동서지역보다 $70\~140m$ 정도 더 깊이 분포하고 화강암도 $50\~500m$ 정도 더 깊이 분포하는 것은 함덕지역에서부터 신흥리를 포함한 표선지역까지 3회의 차별 침강작용에 의해 함덕-표선 지구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기원, 1991, 제주도 서귀포층의 지하분포와 지하수와의 관계 (요약), 대한지질학회 제46차 학술발표회, p.552
  2. 고기원, 1997, 제주도의 지하수 부존특성과 서귀포층의 수문지질학적 관련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고기원, 윤성효, 강순석, 2003, 제주도 한라산 분화구 일대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Jour. Petrol. Soc. Korea 12(1), pp.1-15
  4. 박준범, 박계현, 정창식, 1996, 제주도 화산암류의 Jour. Petrol. Soc. Korea 5(1), pp.89-107
  5. 부성안, 1999, 제주도 지하수 부존특성 및 이용 가능량 산출에 대한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안건상, 이현구, 임현철, 1995, 제주도에서 산출되는 화강암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8(5), pp.513-518
  7. 오진용, 이성숙, 윤선, 고기원, 윤혜수, 이종덕, 2000, 제주도 지하층서, 지질학회지 36(3), pp.181-197
  8. 이동영, 1996, 제주도 지열자원탐사 및 최적 활용방안 연구(III), pp.23-28
  9. 황재하, 이병주, 송교영, 1994, 제주도의 제4기 지구조운동, Econ. Environ. Geol. 27(2), pp.209-212
  10. 제주도, 1997, 제주의 오름
  11. 건설부, 제주도, 한국수자원공사, 1993, 제주도수자원종합개발계획수립보고서
  12. Booh, S.A., Chung, H.J., Jeong, G.C., 2001, The Study of Hamdeok-Pyoseon Graben in Jeju Island, The 3rd Joint Meeting of Japanese and Korean Structure and Tectonic Research Groups, pp.7-11
  13. Halaguchi, 1931, 濟州道의 地質, 朝鮮地質調査要報 10(1), pp.1-34
  14. Kwon, B.D., Lee, H.S., Jung, G.G, Chung, S.W., 1995, Investigation of Subsurface Structure of Cheju Island by Gravity and Magnetic Methods, Econ. Environ. Geol., 28(4), pp.395-404
  15. Lee, K.H., Jeong, B.I., Oloi, K.S., Lee, S.K., 1983, A Study of Gravity and Geomagnetism of Jeju Island,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9(1), pp.1-10
  16. Won, J.S., Ryu, J.H., Oil, K.H., 1998, RADARSAT SAR Investigations of Lineament and Spring Water in Ch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4(4), pp.325-342
  17. Yang, 1991, Evolution of eastern shelf of China in Quaternary and its environmental consequences, Correlation of onshore and offshore Quaternary in China, Science Press, Beijing, pp.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