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erosion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3초

카메라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남해안/제주 해빈 침식 분석 (South/Jeju Coast Beach Erosion Analysis Using Camera Monitoring Data)

  • 김태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9-140
    • /
    • 2016
  • Camera monitoring data for 5 years from January 2009 to January 2014 are analyzed to investigate changes in beach erosion on Sangju, Gujora and Haeundae beaches on the South sea and Jungmun beach on the south shore of Jeju Island. The data show the time series of beach area changes obtained from digital orthoimages rectified from oblique images taken near the beaches by cameras. Each beach has different sediment sizes and shapes, but faces the South and is eroded mainly during Typhoons. However, each beach often responds differently to the same Typhoon, and some beaches outside the influence of the Typhoon are also eroded. This study shows that high frequency data of beach area changes obtained from cameras can effectively analyze the seasonal changes in beach area.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 with VFS and Diversion Channel with Enhancements in SWAT Landuse-Subbasin Overland Flow and VFS Modules

  • Park, Youn-Shik;Kim, Jong-Gun;Kim, Nam-Won;Engel, Bernie;Lim, Kyoung-Ja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752-757
    • /
    • 2009
  • In the last decade, many methods such as greet chamber, reservoir, or debris barrier, have been utilized to manage and prevent muddy water problem.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has been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trap sediment effectively. The VFS are usually installed at the edge of agricultural areas adjacent to stream or drainage ditches,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VFS effectively removes pollutants transported with upland runoff. But, if the VFS is installed without any scientific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soil erosion, and sediment analysis, it may not reduce the sediment as much as expected. Although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has been used worldwide for many hydrologic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NPSP) analysis at a watershed scale. but it has many limitations in simulating the VFS. Because it considers only 'filter strip width' when the model estimates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and does not consider the routing of sediment with overland flow option which is expected to maximize the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from upper agricultural subbasin to lower spatially-explicit filter strip. Therefore, the SWAT overland flow option between landuse-subbasins with sediment routing capability was enhanced with modifications in SWAT watershed configuration and SWAT engine. The enhanced SWAT can simulate the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of the VFS in the similar way as the desktop VFSMOD-w system does. Also it now can simulate the effects of overland flow from upper subbasin to reflect the increased runoff volume at the receiving subbasin, which is what is occurring at the field if no diversion channel is installed. In this study, the enhanced SWAT model was applied to small watershed located at Jaun-ri in South Korea to simulate diversion channel and spatially-explicit VFS.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sediment can be reduced by 31%, 65%, 68%, with diversion channel, the VFS, and the VFS with diversion channel, respectively.

  • PDF

낙동강 하도의 유사수지 분석을 통한 자연적 그리고 인위적 하상변동 분석(4대강살리기 사업 이전) (Natural and Artificial Bed Change Analysis through Sediment Budget Analysis of Nakdong River Channel (before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 손광익;지운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1-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지난 20여 년간의 낙동강 하상변동 자료와 준설 및 골재채취 자료, 그리고 지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량 관측 자료 및 수치모의 자료 등을 조사, 검토, 분석하여 4대강살리기 사업 전의 낙동강 하도에서의 개괄적인 유사수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4대강살리기 사업 전 낙동강 하도의 유사수지분석 결과, 유역에서 하도로 유입된 유사량은 $2,100,000m^3/yr$이며 낙동강으로부터 유출 또는 준설된 유사유출 총량은 $10,180,000m^3/yr$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사수지 분석을 통해 산정된 낙동강 하도에서의 하상변동량은 $-8,080,000m^3/yr$으로 하상이 침식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 하도측량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낙동강 본류의 자연적 그리고 인위적인 하상변동량($-8,300,000m^3/yr$)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 Advances in Sedimentation and River Mechanics

  • Pierre Julie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3-16
    • /
    • 2002
  • This article describes some of the recent and on-going research developments of the author at Colorado State University. Advances in the field of sedimentation and river mechanics include basic research and computer modeling on several topics. Only a few selected topics are considered here: (1) analytical determination of velocity profiles, shear stress and sediment concentration profiles in smooth open channels; (2) experiments on bedload particle velocity in smooth and rough channels; (3) field measurements of sediment transport by size fractions in curved flumes. In terms of computer modeling,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achieved in: (1) flashflood simulation with raster-based GIOS and radar precipitation data; and (2) physically-based computer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at the watershed scale with CASC2D-SED. Field applications,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hydraulic geometry and sediment transport has been applied to: (1) gravel-bed transport measurements in a cobble-bed stream at Little Granite Creek, Wyoming; (2) sand and gravel transport by size fraction in the sharp meander bends of Fall River, Colorado; (3) changes in sand dune geometry and resistance to flow during major floods of the Rhine River in the Netherlands; (4) changes in hydraulic geometry of the Rio Grande downstream of Cochiti Dam, New Mexico; and (5)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the Coriolis force on flow velocity and sediment transport of the Lower Mississippi River in Louisiana. Recent developments also include two textbooks on "Erosion and Sedimentation" and "River Mechanics" by the author and state-of-the-art papers in the ASCE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 PDF

Sediment Fluxes in Shelf Seas Modelling and Monitoring

  • Prandel, Davi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3호
    • /
    • pp.144-153
    • /
    • 2002
  • This is a review paper, assessing progress reported in a Special Issue (Prandle and Lane, 2000) of Coastal Engineering focusing on simulation of SPM in the North Sea, against issues over a diverse range of shelf seas and their coastal margins. The broad objectives of rep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fluxes off an open coast and relating these to tidal and wave forcing were achieved. However, accurate computation of these fluxes remains sensitive to largely empirical coefficients used in determining erosion and deposition rates. Bed roughness strongly influences both these coefficients and the associated near-bed current magnitudes (including wave impact thereon). Bed roughness can change significantly over a tidal cycle and dramatically over seasons or in the course of a major event. Accurate simulation of sediment fluxes on a day-to-day basis is constrained by dependency on the initial distribution of mobile sediments. The latter depends on rates and locations of original sources and the time history of preceding events. Remote sensing via aircraft could provide data for assimilation into such models to circumvent these constraints. The approaches described here can be readily applied to other coastal regions to indicate the likely distributions and pathways of known sediment sources. However quantitative simulations will require an associated observational programme. A subsequent stage is to understand the evolving balance between the forecasted sediment movement - the resulting morphological adjustments and thence modifications to the prevailing tidal current and wave regimes.

FLOW 3D모형의 세굴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Sediment Scour Model in FLOW-3D)

  • 여창건;이진은;이승오;송재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50-1754
    • /
    • 2010
  • 구조물 주변의 국부세굴에 대한 예측은 현장관측 및 수리실험 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경험식과 수리모형 실험, 수치 모의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의 세굴분석 능력 검토를 제고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FLOW 3D의 입력 매개변수는 평균입경(Average particle diameter), 유사 비중(Density of the sediment particle), 한계 무차원 소류력(Critical Shields number), 세굴 조절개수(Scour erosion adjustment), 한계 유사비(Critical sediment fraction), 점착성 유사비(Cohesive sediment fraction), 유사 항력(sediment drag force), 안식각(Angle of repose)이 있다. 이 중에서 평균입경, 안식각, 세굴조절개수, 한계 유사 fraction 등의 매개변수에 대해 초기값을 중심으로 일정 비율로 구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는 수리실험 결과치와 비교 검토 후에 민감도의 변화 범위와 선행하여 조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공구조물 주변의 국부 세굴에 관한 해석시 FLOW-3D를 이용한 분석에서 보다 신뢰도 높은 결과 산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홍수터 식생에 의한 저수로 사행 발달과정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meandering channel development processes with floodplain vegetation)

  • 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895-90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안의 안정성, 만곡부의 곡률 변화, 사행의 발달과 이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홍수터에 식생이 있는 하도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사행의 하폭이 일정하게 유지하지만, 선택적인 하안침식에 의해 사행이 발달하고 하류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안침식과 사주의 변화가 크지 않으며, 저수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유사유출량은 감소하고 변동성이 거의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안침식률이 감소하였다.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안침식률이 감소하였고, 사행의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홍수터 식생이 하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하도의 평면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중의 하나임을 의미한다. 하안침식률과 무차원 곡률반경은 홍수터에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 가장 크고, 식생이 있는 조건에서는 작다. 또한 상대 측방이동률과 무차원 곡률반경도 하안침식률과의 관계가 유사하는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홍수터 식생은 하도의 안정성을 증가시켜서 하안침식과 사행의 발달뿐만 아니라, 사행의 곡률 변화와 이동에 영향을 준다.

이상파랑하에서의 해빈변화특성 해석

  • 김희재;안효재;김강민;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1-243
    • /
    • 2014
  • 최근, 해안 침식 현상은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자체마다 각종 방지대책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방지시설을 설치하기 전에 표사이동특성 등의 변화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변화검토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백사장 침식이 문제가 되고 있는 서해 중부 연안의 임의의 해빈(사빈)을 대상으로 장기 파랑특성분석을 통한 이상파랑, 계절별 탁월 파향, 파고, 주기 등을 고려한 평상파랑을 산정하고 이를 근거하여 수치모형실험을 통하여 파랑변형 및 표사이동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였다.

  • PDF

기포에 의한 점착성 퇴적물의 부유 (Resuspension of Cohesive Sediment under Presence of Gas Bubbles)

  • 김종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313-321
    • /
    • 2005
  • 항만 및 저수지에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및 제거는 극도로 큰 에너지를 동반한 기계적인 배출방법으로 단지 가능할 수 있다. 소위 분사방법은 높은 전단력에도 불구하고 점착성 퇴적물을 움직이게 하는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목적댐, 항만 그리고 호수 등에서 퇴적된 점착성 미립자들을 저감시키기 위해 기포 투입으로 침전된 미립자($Al_{2}O_3$)의 부유현상을 실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을 통해 중요한 매개변수는 투입된 기포의 양과 침전된 퇴적물의 응고시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포 투입없이 높은 pH값에서 빨리 침전되는 미립자 퇴적물(alumina)은 기포의 증가로 입자의 부유현상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