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dredging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2초

사방댐 준설이 계류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상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 (Topographical Changes in Torrential Stream After Dredging in Erosion Control Dam - Using Terrestrial LiDAR Data -)

  • 서준표;우충식;이창우;김경하;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92-401
    • /
    • 2014
  • 본 연구는 사방댐의 준설작업이 퇴사선내 계류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과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을 대상으로 지상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경사도 및 체적의 지형변화를 평가하였다. 지상 LiDAR 장비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쉽게 지형변화를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결과, 경사도 변화는 토양침식 유발의 위험이 높은 경사도($20^{\circ}{\sim}40^{\circ}$)가 차지하는 비율은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 지역보다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 수치적으로는 더 높게 나타났지만, 우기후 위험구역은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적변화는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에서 침식과 퇴적이 규칙적인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는 침식과 퇴적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량적 분석결과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 비해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에서 우기후 $m^2$당 1.7배 더 많은 토사가 유입되었다. 조사대상지의 강우량 차이는 토사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준설을 시행한 사방댐에서는 준설을 시행하지 않은 사방댐에서보다 우기를 지나면서 토양침식의 위험이 높은 경사도 분포가 증가하고, 준설작업을 시행한 지역의 상류계류에서 토사가 많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Grab 준설 부유퇴적물의 초기확산 거동 (Initial Dispersion of Resuspended Sediment by Grab Dredging)

  • 강시환;송원오;김상익;강인남;한성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 /
    • pp.339-343
    • /
    • 2003
  • 항만 준설 공사로 인하여 재부유된 퇴적물은 주 변수에 따라 이송되고 확산되어 주위 경관을 해치고, 인근 어장이나 해안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IADC/CEDA, 2000). 이러한 이유로 준설사업의 계획단계에서 고려해야하는 기술정보 판단자료는 부유사의 확산 범위와 거리별 농도 분포이다. (중략)

  • PDF

하상오염물 제거에 의한 수질개선효과 수치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of Water Quality Enhancement by Removal of Contaminated Bed Material)

  • 이남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9-357
    • /
    • 2011
  •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estimate effect on water-quality enhancement by removal of contaminated river-bed material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in the Seonakdong River, the Pyunggang River and the Maekdo River. RMA2 and RMA4 models were used for flow and contaminant transport simulation, respectively. Afte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flow restoration plan for the Seonakdong River system made by Lee et al (2008), simulation have been performed about scenarios which contains operations of the Daejeo Gate, the Noksan Gate, the Makdo Gate (on planning), and the Noksan Pumping Station. Because there is no option for elution from bed sediment in the RMA4 model, a simple technique has been used for initial condition modification for elution.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due to dredging of bed sediment seemed to be less than 10 % of the total effect. The most efficient measure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river system was the linked operation of water-gates and pumping station.

한일간 오탁방지막 설계 비교 (Comparison of Silt Protector Design Between Korea and Japan)

  • 오영민;송원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6-70
    • /
    • 2003
  • 준설, 매립, 사석투하 등과 같은 항만공사에서는 필연적으로 부유토사가 발생하여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부유토사의 확산에 의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은 공사구역 주변을 외부와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오탁방지막의 설계기준을 일본의 설계기준과 비교함으로써 국내의 설계기술의 개선을 도모한다.

GIS를 이용한 토사이송 및 퇴적분포 예측기법 개발 (Modelling of Sediment Transportation and Deposition in GIS)

  • 손광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223-2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모형과 셀의 유입, 유출 및 저류량에 대한 질량보존의 법칙을 이용하여 토사의 이송 및 퇴적분포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a) 토사침식 예측 (b) 흐름방향 및 유출량 산정 그리고 (c) 토사에 대한 질량보존의 법칙에 따른 셀별 토사이동량 산정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토양침식은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을 활용하였으며 분포형 모형에서의 경사장(L) 산정은 일방향(SF)과 다방향 흐름 알고리즘(MF)을 사용하였다. 경사(S) 산정을 위해서는 Maximum Downhill Slope Method (MDS) and the Neighborhood Method (NBH) 기법을 활용하였고 셀별 토양의 이동은 Ferro등(1998)과 Swift (2000)의 토사전달률(DR)개념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시험유역의 실측 토사량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3개의 농업용 저수지 유역에 적용한 결과, Ferro의 토사전달률 산정공식과 MDS, MF 기법을 이용한 해석이 저수지의 운영기록과 가장 유사한 결과를 제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havior of sediment from the dam FERGOUG in road construction

  • Benaissa, Assia;Aloui, Zehour;Ghembaza, Moulay S.;Levacher, Daniel;Sebaibi, Yahia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4권1호
    • /
    • pp.15-26
    • /
    • 2016
  • In Algeria, wastes are often stored in such conditions that do not meet standards. Today and more than ever, we really must implement an environmentally management of wastes. Recovery of waste in Algeria has a considerable delay due to the absence of a policy favorable to the development of waste management. But many researchers have shown the possibility to reuse dredged sediments in road construction. Through Europe, recent research works have been already performed on dam sediments. Present study fits into the context of the valorization of dredged sediments from Fergoug dam. They are found in considerable quantities and mainly composed of mineral phases, organic matters and water. The reservoir sedimentation poses problems for the environment and water storage, dredging becomes necessary. Civil engineering is a common way of recycling for such materials. Dredged sediments have not the required mechanical characteristics recommended by the standards as GTR guide (LCPC-SETRA 1992). So as to obtain mechanical performance, dredged sediment can be treated with cement, lime, or replaced materials like quarry sand.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dredged from dam. Then different mixtures of sediment and/or quarry sand with hydraulic binders are proposed for improv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mixes. Finally, according these mixtures, different formulations have been tested as alternative materials with dredged sediments.

마산만 퇴적층서 발달 특성 (Development of Sedimentary Sequence in the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 최동림;이태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411-418
    • /
    • 2007
  • We studied the bottom morphology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Masan Bay using high-resolution Chirp seismic profiles and sediments data. According to deep-drilled core samples (up to 20 m thick) penetrated into the weathered rock basement, the sediments consist largely of three sediment types: the lower sandy gravel facies (Unit I) of 1-4 m in thickness, the middle sandy mud and/or muddy sand facies(Unit II) of 1-2 m thick and the upper mudfacies (Unit III) of over 10 m in thickness. The sedimentary column above the acoustic basement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sequences by a relatively strong mid-reflector, which show the lower sedimentary sequenc e(T) with parallel to subparallel internal reflectors and the upper sedimentary sequence(H) with free acoustic patterns. Acoustic basement, the lower sedimentary sequence (T), and the upper sequence (H) are well correlated with poorly sorted massive sandy gravels (Unit I), the sand/mud-mixed sediment (Unit II), and the muddy facies(Unit III), respectively. The acoustic facies and sediment data suggest that the Masan bay is one of the most typical semi-enclosed coastal embayments developed during the Holocene sea-level changes. The area of the Masan Bay reduced from about $19\;km^2$ in 1964 to about $13\;km^2$ in 2005 by reclamation, and its bottom morphology changed as a result of dredging of about $2{\times}10^7\;m^3$.

낙동강 하류의 퇴사저감을 위한 하폭축소방법이 홍수위변화 및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for the Effect of Channel Contraction for Sedimentation Reduction on the Flood Level and Bed Changes in the Lower Nakdong River)

  • 장은경;지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1-301
    • /
    • 2013
  • Sediment from the upstream channel has been deposited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NREB) due to the mild slope and decreased velocity. The annual mechanical dredging to ensure the flood capacity has been performed to remove the deposited sediment. However, the dredging method is not considered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due to high cost and long time to operate. Therefore, many methods for sedimentation reduction have been proposed for NREB. Especially,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to mitigate sedimentation problem by changing the channel geometry from 2 km to 3 km upstream of NREB has been recently suggested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However,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induces flood level increase compared to original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quantitatively the flood level changes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ion due to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for NREB. In this study, water level changes by 10% channel contraction of whole width has been evaluated using the HEC-RAS model and simulated with and without channel contraction for various flood discharge. As a result, water level in the section where the channel was contracted was decreased by 0.02 m and flood level at the upstream of channel contracted was increased up to 0.015 m for the 500-year flood.

하수도 준설토 재활용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cycling of Dredged Sewage Sediment)

  • 김홍민;최윤정;윤석표;김준경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3호
    • /
    • pp.33-37
    • /
    • 2018
  • 하수도 준설토를 재활용하기 위해 준설토의 입경과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1.0 mm 이상의 입자의 경우 체선별 하여 잔골재로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mm 이상의 입경에서는 무기성이지만 잔골재 이외의 이물질이 다수 함유되어 있어 이들도 체로 사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1.0 ~ 5.0 mm 사이의 체선별한 성분 중에는 부유성의 유기물질이 존재하므로 이들은 부유선별방법을 통하여 제거하였다. 사전 체선별 후 부유선별 방식을 통해서 하수도 준설토에서 잔골재를 얻을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잔골재의 비율은 38 % 수준이었다.

만경강의 장기하상변동 예측 및 이력분석 (Prediction and Historical Analysis of Long-term Bed Elevation Change in the Mankyung-gang River)

  • 김승기;김지성;김규호;최성욱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1호
    • /
    • pp.25-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에서의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고 하상변동 이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만경강의 중 하류 25 km 구간이다.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위하여 HEC-RA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하였다. 1986년부터 1993년까지의 기간과 1993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실측된 하상고와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MPM, Toffaleti, MPM-Toffaleti, Yang 공식의 네가지 유사이송 공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1986년부터 1993년까지의 기간에 대한 모의 결과, 네가지 공식 모두 실측치를 적절하게 모의하지 못하였다. 이는 모의구간 상류에서의 준설이 발생한 것으로 인한 결과이며 이후 기간에서 상류에서 퇴적이 활발이 진행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1993년 부터 2005년까지의 장기하상변동 모의는 MPM-Toffaleti의 공식이 모의를 적절히 수행해 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