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검색결과 4,185건 처리시간 0.036초

초생대를 이용한 산지유역 토사유출 저감에 관한 연구 (Study on Sediment Runoff Reduction using Vegetative Filter Strips in a Mountainous Watershed)

  • 손광익;김형준;임경재;정영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7
    • /
    • 2015
  • Soil loss is one of the significant disasters which have threatened human community and ecosystem. Particularly, Korea has high vulnerability of soil loss because rainfall is concentrated during summer and mountainous regions take more than 70% of total land resources. Accordingly, the sediment control management plan are required to prevent the loss of soil resources and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receiving waterbodies. In this regar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quantify the effect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on sediment runoff reduction and 2)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rainfall intensity and sediment runoff. For this, SATEEC and VFSMOD were used to estimate sediment runoff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and to quantify the effect of VFS on sediment runoff reduc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VFS has higher impact on sediment reduction for lower maximum rainfall intensity, which means that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is one of significant factors to control sediment runoff. Also, the sediment with VFS considered was highly correlated with maximum rainfall intensity. For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tend the applicability of VFS in establishing eco-friendly sediment control plans.

Assessment of Sediment Yield according to Observed Dataset

  • Lee, Sangeun;Kang, Sanghyeo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433-1444
    • /
    • 2016
  • South Korea is a maritime nation, surrounded by water on three sides; hence, it is important to preserve in a sustainable manner. Most areas, especially those bordering the East Sea, have been suffering from severe coastal erosion. Information on the sediment yield of a river basin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Korea, data on suspended sediment yield are limited owing to a lack of logistic support for systematic sediment sampling activities.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approach to estimate the sediment yield for ungauged coastal basins by using a soil erosion model and a sediment delivery rate model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based platform. For applying the sediment yield model, a basin specific parameter was validated on the basis of field data, that, ranging from 0.6 to 1.2 for the 19 gauging stations. The calculated specific sediment yield ranged from 17 to $181t/km^2.yr$ in the various basin sizes of Korea. We obtained reasonable sediment yield values when comparing the measured data trends around the world with those in Korean basins.

그물망침사지를 이용한 고랭지밭 흙탕물 저감효과 연구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 Efficiency with Net Type Sediment Settling Pond at Highland Agricultural Region)

  • 현근우;박한규;이용식;이석종;박정희;전상호;최재완;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5-224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effects of sediment reduction with net type sediment settling pond at highland agricultural areas. Flow and sediment monitoring system with rainfall gauge were installed at the study area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unt and intensity of rainfall events strongly affect sediment yield from the study area. With net type sediment settling pond, it was expected that approximately 61% of sediment could be removed. The correlation between heavy metals and S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2$ values were 0.644, 0.876, 0.945, and 0.928 for Fe, Mn, Al, and Si, respectively. This results indicate that heavy metals also could be removed with net type sediment settling pond. As shown in this study, the sediment settling pond will be an efficient sediment reduction facility at highland agricultural areas. For maximum reduction efficiencies of sediment and other pollutants at agricultural fields, simplified sediment settling pond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영산강 부유하중의 시계열적 입도 특성 변화: 승촌보, 죽산보를 중심으로 (Time-series Changes in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 at the Seungchon and the Juksan Weir in the Yeongsan River)

  • 임영신;김진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0
    • /
    • 2019
  • In order to establish appropriate policy to control sediment-associated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sediments in particulate form in the Yeongsan River. Two time-integrated suspended sediment samplers were installed at Seungchon and Juksan weir on the upper and middle Yeongsan River in July 2012. Reservoir sediment samples were obtained at monthly intervals until October 2014.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a total of 38 sediment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Seasonal trends of suspended sedimentation rates and grain size distributions were examined based on variations in precipitation and discharge fluctuations. Moreover, stream flow characteristics,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sediment, was analyzed using flow duration curve for the period 2003-2019 at Naju gauging station. Sedimentation rates during summer, when heavy rainfall was concentrated due to the monsoonal front and typhoon, were very high, indicat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diment concentration and discharge. Particle size analysis of the collected sediment showed that coarse silt and very fine sand-sized sediment dominated most of the Seungchon weir sediment. On the other hand, medium silt-sized sediment dominated the downstream Juksan weir except for a few summer sampl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spended sediment are determined not only due to flow fluctuations, but also with regard to the antecedent rainfall conditions, hillslope-channel connectivity, and the supply of materials from various contributing regions. This information about flow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variations in reservoir sediment can be used for safe management of the weir and discussing the issues on the dismantling of the weirs.

퇴적물 입자의 점하중강도지수와 마식율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oint Load Strength Index and Abrasion Rate of Sediment Particle)

  • 김종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08-823
    • /
    • 2008
  • 하천 퇴적물질의 마식은 하상과의 충돌과 퇴적물질 입자간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한다. 하천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는 마식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질의 마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퇴적물질의 물리적강도, 퇴적물질의 크기, 퇴적물질의 양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마식기를 이용한 물리적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가 마식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강조점을 두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266개의 퇴적물을 이용했으며, 퇴적물질의 양과 퇴적물질의 평균 무게에 따라 11개의 소집단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각 실험은 1시간 단위로 이루어 졌으며 퇴적물질은 최장 8시간 동안 마식되었다. 마식율은 각 실험단계마다 퇴적물질 입자 무게의 변동으로 측정하였으며, 총 2,128번의 측정이 이루어졌다.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는 시험이 종료한 뒤에 파괴하중을 측정하여 계산한 점 하중강도지수를 통해 측정하였다. 퇴적물질의 점하중강도지수는 마식율과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수들 간의 회귀식의 설명율($R^2$)은 0.22로 나타났다. 퇴적물질의 전반적인 마식은 실험 초기에는 빠르게 진행되지만, 풍화각이 제거된 뒤에는 마식율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풍화각을 제거하는 초기 단계에는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와 마식율의 관계가 미약하지만 이후로 점점 설명율이 상승한다.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퇴적물질의 물리적 강도는 마식율의 결정적인 설명변수가 아닐 수 있으며, 물리적 속성 이외에도 퇴적물질의 운반조건 등이 마식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ank 모형을 이용한 동해안 오십천 하구의 유사량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e of Sediment Yield Using Tank Model in Oship River Mouth of East Coast)

  • 강상혁;옥용식;김상률;지정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8-2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량 및 유사량 자료가 부족한 미계측 유역에 대해 Tank모형을 확장하여 궁극적으로 유사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적용 유역은 동해안 타 유역에 비해 유량자료가 확보되어 있는 오십천을 대상으로 집중호우기의 토사유출 특징과 하천의 토사유달률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측에 의한 유사량의 산정에 있어서는 먼저 유사량 관계식(sediment rating curve)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량 산정지점에 대해 유량과 병행하여 유사량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오십천 유량-유사량 관계식 : $Q_s=6.017Q^{1.374}$ 2) Tank모형을 적용하여 2006년 강우유출량을 산정한 결과 관측값과 유사한 값($RMSE=1.26m^3/day$)을 얻을 수 있었다. 3) 대상지역의 2006년과 2009년의 연평균 토사전달율 을 비교한 결과 태풍에 따른 집중강우가 있었던 2006년의 토사전달율이 평년의 2009년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는데 이는 급격한 강우유출량의 증가에 따른 것이라 보인다. 4) 개량된 Tank모형에 의한 유량 및 토사유출량은 기존의 SRC방법과 비교했을 경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향후 유량과 유사량 자료가 부족한 유역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격자기반 강우-유출-유사 모형의 유사량 산정에 관한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to Grid-based Rainfall-Runoff-Sediment Model for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 최현구;박준형;한건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2-143
    • /
    • 2017
  • 유사의 침식 이송 퇴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천에서의 정기적인 유사량 자료의 획득이 필수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의 유사량 측정 계획으로는 유사량 추정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경험식이나 수치모형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역에서의 유사량 산정과 자료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 국내에서 개발된 격자기반 강우-유출-유사 모형인 K-DRUM 모형을 적용하였다. 17개의 중권역에 대한 유량과 유사량을 산정하고 실측자료와 비교를 통해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NSE, PBIAS, RSR 등을 기준항목으로 사용하였으며, 유량에 대한 모의결과는 강우의 경향을 잘 반영하며 높은 통계값을 나타내었다. 유사량의 경우 유역의 토양침식과정을 물리적으로 잘 반영하였으며,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을 때 그 유역에서 연속적인 유사량 자료를 산정하는데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토사재해 대응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diment Disaster Response System in Japan)

  • 이우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47-54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토사재해로 인하여 해마다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비교법적으로 검토해 보면, 일본 히로시마에서는 1999년에 폭우로 인한 토사재해로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이후 제정된 토사재해방지법에 근거하여 도도부현에 토사 재해 방지를 위한 비 구조 대책이 도입되었다. 여기에는 토사재해 경보, 대피 표준 강우량 제정, 토사재해 경계 구역 지정 및 토사재해 특별 경계 구역 지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제 적용례로서, 일본 가고시마현의 토사재해경계정보시스템과 전문 인력 활용방안인 일본 국토교통성의 TEC-FORCE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일본과 같은 토사재해경계시스템과 전문 인력을 활용한 피해예방 및 피해저감 대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CCHE2D모형을 이용한 보 상류에 퇴적된 토사의 배출 효과 분석 - 상주보와 구미보를 중심으로 - (Numerical Analysis of the Sediment Pass-Through from the Sangju Weir and the Gumi Weir by using CCHE2D)

  • 이경수;장창래;손광익;황만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13-824
    • /
    • 2013
  • In this study, sediment pass-through (SPT) from the Sangju Weir and Gumi Weir in the Nakdong River is analyzed numerically using CCHE2D. Sediment delivery is analyzed to predict the sediment discharge rate in the Sangju Weir and Gumi Weir. The sediment discharge from the Sanju Weir is 4,381 tons in the inflow of $3,857m^3/s$, which are 2 year frequency discharge, for 48 hours, and the sediment discharge is 2,766 tons in the inflow of $1,500m^3/s$. The maximum sediment delivery occurs in the immediate downstream of the weir. The sediment discharge from the Gumi Weir is 3,216 tons in the inflow of $5,400m^3/s$, which are 2 year frequency discharge, for 48 hours, and the sediment discharge is 73 tons in the inflow of $3,857m^3/s$. The maximum sediment delivery occurs in the weir.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sediment delivery is high in the condition of the 2 year frequency discharge and the gate in the weirs fully are opened.

연직수문의 퇴적토 배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Through Vertical Lift Gate)

  • 이지행;최흥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4호
    • /
    • pp.276-284
    • /
    • 2018
  • 하단배출 형태의 연직수문을 대상으로 퇴적토 배출특성에 따른 두부침식 거리비, 퇴적토 이동거리와 이동량을 분석하기 위해 수리 모형실험과 차원해석을 수행하였다. Froude 수와 배출특성의 상관관계를 도식화하고, 퇴적토 배출특성을 지배하는 무차원 매개변수에 의한 다중회귀식을 제안하였다. 두부침식거리, 퇴적토 이동거리와 이동량에 대한 각 다중회귀 분석식의 결정계수는 각각 0.618, 0.632, 0.866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발한 퇴적토 배출특성식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측정값과 회귀분석식에 의해 계산된 값의 95%의 예측 신뢰구간 분석을 수행하였고, 두부침식거리, 퇴적토 이동거리와 이동량에 대한 예측의 정확도 분석차원의 NSE (Nash-Sutcliffe Efficiency), RMSE (root mean square)와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는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