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ity inspection on facilitie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5G 디지털 트윈 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 계획 수립 절차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광역시 시설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Platform Plan for Safety Management of 5G Digital Twin-Based Facilities: Focusing on Facilities in Metropolitan Cities)

  • 장혜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57-268
    • /
    • 2021
  • 도시중심의 생활로 시설물의 종류가 늘고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의 시설물 안전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다수의 인명피해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스마트 시티에서 생활하는 시민들의 안전과 안심에 대한 니즈를 충족하는 방안으로 5G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여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 수립 절차를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시설물에 대한 위험 요소와 노후화에 따른 점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설관리의 현황과 5G 디지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 시티 신기술 적용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하기 위한 추진 절차를 제시한다. 대상 지역은 수도권 광역도시 지역으로 안양시, 의정부시, 구리시, 광명시, 오산시 5개 도시를 선정하였다. 추진 절차는 각 지자체의 다중이용 목적 시설물 중에서 노후화되고 관리가 시급한 시설물을 플랫폼 구축 전문가와 지자체 스마트시티 담당자와 선정한 뒤 시별 정책 방향을 반영하여 디지털 트윈 시설물 대상 33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렇게 확정된 시별 시설물을 중심으로 5G 디지털 트윈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으로 구축하기 위한 정보기술 인프라 요소와 구현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정의한 뒤 구체적인 통합플랫폼 구성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항개발계획과 사업에서의 항공안전성 제고에 대한 법률적 소고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Aviation Safety in Airport Planning & Construction from a Legal Perspective)

  • 김태한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7-106
    • /
    • 2012
  • 오늘날 항공운송의 볼륨이 크게 증가함에따라 항공사고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항공교통의 핵심가치인 항공교통 안전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여야 한다. 이에 항공교통의 기본 인프라로서 공항의 입지, 시설, 장비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차원에서 공항의 건설 또는 개량단계에서 공항개발사업 단계별로 고려되어야 할 안전요소를 현행법과 제도내에서 분석하여 공항시설의 설계, 건설단계에서의 안전성 제고에 대한 소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항은 물론 항공교통의 안전은 공항시설을 포함하는 공항을 입지, 개발, 설계, 시공, 검사,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는 문제인 것이다. 이는 결국 공항개발계획 단계에서부터 항공안전을 우선 고려하는 입지에 대한 기준 및 전문가 개입 제도화 등에 관한 입법화를 통하여 현대사회가 내포하는 불특정다수에 대한 대형 사회간접자본의 리스크를 예방하는 국가적 책무를 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공항개발 과정에서 핵심사항인 공항과 항행안전시설의 설치기준의 명확화는 공항과 공항시설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공항과 항행안전시설의 설치기준은 항공교통의 특성상 세계적인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를 국내 입법화하는 과정에서 안전 측면의 기준은 더욱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설계, 시공, 검사 단계에서 이에 대한 혼돈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도 항공안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검토할 만하다. 항행안전시설의 설치에 대한 기준은 무엇보다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항행안전시설 성능적합증명제도와 관련해서는 임의적 규제를 의무적 규제로 변경하고, 제작자는 국내뿐만 국외제작자에게도 증명제도가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항행안전시설의 운용 안전성을 담보하는 방안이라 할 것이다. 물론 항공사고의 많은 부분이 조종사 과실 또는 항공기 정비 불량에 의한 것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공항이나 공항시설이 안전을 담보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하다면 항공교통 사고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공항개발 단계에서부터 항공안전을 우선시 하는 법률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APPRAISAL OF MAINTENANCE MANAGEMENT STRATEGIES USED IN PUBLIC HOSPITAL BUILDINGS IN LAGOS STATE, NIGERIA

  • Adenuga, O.A;Iyagba, R.O.;Ogunsanmi, E.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837-847
    • /
    • 2007
  • The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maintenance management strategies used in public hospital buildings in Lagos state. It also assessed the labour composition for maintenance operations. In achieving these objectives, opinions of maintenance officers of ten (10) different hospitals in different local government areas of the state were sampled through well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From the analysis, the study revealed that majority of those public hospitals do not have specific budget for maintenance programmes, maintenance policies, maintenance log book and maintenance manual to guide the operatives. About 98% of them do not understand the type of maintenance strategy being used for their maintenance operations. 78% of the maintenance work are only executed when there is a breakdown or in response to user's request. For labour composition, the cleaning of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inspection of building elements, repairs and replacements of building elements are mainly carried out by in-house staff, while the repair and replacement of equipment is by outsourcing.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using in- house staff, reduces costs and provides a higher security while outsourcing provides more flexibility in staffing reduces equipment expenditures and provide better access to special skills. The study recommended proactive measures to provide necessary training and support for maintenance staff and users of these facilities and a means of securing sufficient funds for maintenance programmes.

  • PDF

특수경비원 교육훈련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Problem in the course of Education of Special Guard)

  • 강길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6호
    • /
    • pp.291-326
    • /
    • 2003
  • The first, Improvement of education training condition Education training is influenced by facilities, environment around. according to questionnaire, it is very poor, we should set up a training institute as soon as possible. The second, Improvement of education training contents In working as special guard, they do not feel the need of curriculums like bayonet fencing, criminal law, and so on. accordingly we should adjust the contents of educaton training. The third, Improvement of education training course People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lectures and educator more than half to some degree, but there was a question of time, communication, contents. we should try to remedy things like this. The fourth, Adjustment of education training time The 60% people of all were not satisfied with the time of education training about new duty. we need to intensify and oversee a duty training and the restructure of training time. The fifth, Fairness of valuation reward and punishment in education training The 80% people of all had the bad feeling against reward and punishment, so we tried to let fairness of valuation, reward and punishment comple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ixth,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 for special guard special guard have to be raised by special institution, but lacking of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al facility,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y took the place of government as institution in raising special guard, education still leave much to be desired. so to develop the industry of a civil security, government or a guard association will set up the school of training, education, system about civil security as a whole. The seventh, Improvement of education training form People have to be taught for 80 hours in education training. according to questionnaire, over 75%people wanted to lodge at education accommodation, so in doing education training, we need to improve a system and form. The eighth, Operation of education training suitable for a characteristic in jobs In the education of 80 hours, common courses will need to be carried out together, depending on class, the object of national facility, inspection and practice will need to be done. maybe this can be the improvement of growing up education training. In the result of the study, we need to build up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training through a lot of opinion like program, system, circumstances. Keep in mind that the paper was a few of problems because of the limit of the survey of 132 peoples, accordingly we try to collect a survey related with this around country. especially this will need to be asked for harmony between the law and the background of system. in the future, to develop the special guard service, increase the demand of this service, have to raised the expert and the special guard service has to enlarge.

  • PDF

동해안 군사시설보호구역 주변 향호 연안역을 대상으로 무인항공사진측량에 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UAV Photogrammetry for the Hyanho Coast Near the Military Reservation Zone, Eastern Coast of Korea)

  • 김백운;윤공현;장태수;박장준;김성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59-168
    • /
    • 2017
  • To evaluate the accuracy of UAV photogrammetry for Hyangho coast, eastern coast of Korea, we conducted a field experiment wherein UAV photogrammetry test was repeated three times. Since the Haygho coast is located within a military reservation zone, it was necessary to obtain permission to gain access to the beach and to have sensitive aerial photographs showing military facilities inspected and croppe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UAV shooting position between the three tests was less than 1 m, but repeatability of footprint on the ground was low due to wind-driven variability of the UAV pose. Self-calibrating bundle adjustment(SCBA) of implementing non-metric camera calibration was failed in one test. In two tests, the vertical error was twice as large as the pixel size except for those areas that were subject to security inspection and cropping. Given the problems that can arise with regard to the repeatability of the shooting area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failure with regard to SCBA, we strongly recommend that UAV photogrammetry in coastal areas needs to be repeated at least twice.

COTS 고장진단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n Expert System for COTS Fault Diagnosis)

  • 김아람;노진송;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75-281
    • /
    • 2013
  • 점검 장비 S/W의 기존 방식 중에서 Visual C++등과 같은 RAD도구를 사용한 S/W 설계 기술은 간단한 메뉴의 변경 및 점검항목의 추가 등이 필요한 경우 매번 수많은 지휘단계와 코딩 및 플래시 디자인 수정, 재 컴파일, 배포 등과 같은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구현 시 수 많은 보안사항들이 포함되어 있어 작업자에 의한 기밀 유출이 우려되며 각종 무기체계 정비유지를 위한 점검 장비는 신속하고 정확하며, 효율적인 고도의 진단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용의 RIA기술과 진단 지식 기반 XML데이터로 구현한 COTS 고장진단시스템 설계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점검시간 단축 및 성능 향상, 사용성,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항공부문 출입국 절차 간소화 추진과제의 우선순위 결정 (자료포락분석기법 (DEA)의 CK 모형 적용) (Determining Priority of the Action Plan of Facilitation in Air Transport (Using CK model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민정;홍석진;김연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7-16
    • /
    • 2008
  • 공항의 출입국 절차 간소화는 안전하고 신속한 여객과 화물 처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신속한 출입국 절차는 공항 서비스 수준 및 효율성을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은 출입국 절차를 간소화하는 새로운 출입국 제도를 도입해 이용자의 만족도 및 공항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한국의 국제공항들은 선진 출입국 절차제도 및 시스템이 활발히 추진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공항에서 항공기, 승무원, 여객, 화물 및 우편물의 이동시 불필요한 장애나 지연 없이 그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국내 공항의 출입국 절차 개선을 위한 방향 및 개선과제를 제시하고 자료포락분석기법(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이용해 개선과제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출입국 절차 간소화를 위해 시설 및 시스템 구축에 대한 R&D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입국 절차 관련 성과지표와 측정체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해외농업투자에 따른 유통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ystem by overseas agricultural investment)

  • 선일석;이동옥
    • 유통과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17-26
    • /
    • 2010
  • 세계경제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농산물의 불안정적인 수급으로 인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농산물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하여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의 해외농업투자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차원의 지원 미진, 해외 농업에 대한 정보 및 기술 미비, 개발자금 확보의 어려움, 장기간의 투자금 회수기간, 사후관리 미흡 등의 이유로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해외 농산물의 국내 반입 시 관세의 장벽, 물류 유통비용 등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어 국내에 반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해외농업투자의 기본개념 및 실태를 살펴보고 해외농업투자의 필요성과 고려사항, 문제점 등을 도출하여 해외에서 재배된 농산물의 경쟁력을 위한 유통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정부의 간접적인 지원, 유통 현대화 및 유통정보기능 강화, 유통시설, 수송루트, 하역업무개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교육 훈련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