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e Group Key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3초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안전한 그룹통신을 위한 상호 인증 기법 (Mutual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Secure Group Communications in Sensor Network)

  • 고혜영;도인실;채기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6호
    • /
    • pp.441-450
    • /
    • 2010
  • 센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다양한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감지하며 감지된 데이터를 응용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는 기술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 자체의 제약점 때문에 메모리와 처리 능력, 에너지 수명에 제한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센서 네트워크 자체에 보안상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센서 네트워크의 기술에 있어서 보안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며 센서의 계산 능력 또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특징을 반영하여 일반 센서 노드들과 충분한 저장 공간과 계산 능력을 갖는 노드인 클러스터 헤더가 있는 이종의 센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키 관리 기법 중 하나인 PCGR(Predistribution and local Collaboration-based Group Rekeying)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안전한 그룹 통신을 위한 그룹키 갱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센서 노드 측에서 클러스터 헤더로부터 받은 새로운 키 정보를 인증하도록 하여 오염된 키 정보로 인해 네트워크의 안전성이 위협받는 상황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그룹키를 갱신할 때, 클러스터 헤더는 노드가 보내주는 노드의 부분 정보를 검증함으로써 노드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그룹키를 갱신하며 갱신된 그룹키는 다시 노드들에게 보내져서 노드들에 의해 재검증됨으로써 클러스터 헤더가 공격받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한 후 안전하게 그룹키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Qual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높임은 물론 오버헤드 및 에너지 소모량이 기존의 그룹키 관리 기법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한 안전한 그룹 통신 프로토콜 (Secure group communication protocol using a cellular automata)

  • 이준석;박영호;이경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7-31
    • /
    • 2003
  • 본 논문은 그름 멤버들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그룹키 관리(Group key management)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선형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해서 생성된 involution 특성을 갖는 기본 암호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비밀 공유키를 생성한다. 제안된 방식은 공모에 대한 위협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PDF

Diffie-Hellman 기반 사물인터넷 센서노드 키 관리 연구 (The research on Diffie-Hellman-based IoT Sensor Node key management)

  • 홍성혁;유진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9-14
    • /
    • 2017
  • 최근 저가격의 소형화, 저전력 기술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센서의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물인터넷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 IoT) 기반에서의 안전한 정보 전송을 위한 키 관리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은 센서를 이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전력과 저용량 등의 제약이 심하며,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보안의 방법으로 키를 관리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안전한 키 관리의 문제는 필수적 해결과제이다. Diffi-Hellman 키 교환방식은 센서노드에 적합하지 않아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키 관리하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기반에서 통신을 위한 키 생성을 통해 물리적 제약받지 않고 사물간 안전한 통신 기술을 제안한다.

WSN 환경에서 논리적 그룹 형성과 키 분배 방법 (A Logical Group Formation and Key Distribution Scheme in WSN)

  • 이재원;허준;홍충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4호
    • /
    • pp.296-30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필수적인 안전한 그룹 관리 방법과 키 전송 방법을 다루었다. 수많은 센서 노드들로 구성되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로 인해 효율적인 보안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여러 개의 보안 그룹으로 나누어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야 하고 그 그룹에서 사용할 그룹 키의 분배 그리고 그룹의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가 위치한 지리적인 정보를 통한 기존의 그룹 관리 방식이 아닌 논리적인 그룹 구성 알고리즘에 따라 효율적으로 그룹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 그룹 키 전송 방법은 센서 노드가 배치되기 전에 베이스 스테이션과 반드시 비밀 키를 사전에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센서 노드가 비밀 키를 공유하지 않는 키 전송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Mobile Ad-hoc Network에서 영역기반 보안 멀티캐스트 기법 연구 (A Study on Region-based Secure Multicast in Mobile Ad-hoc Network)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75-85
    • /
    • 2016
  • MANET is a network composed only mobile network having limited resources and has dynamic topology characteristics. Therefore, every mobile node acts as a route and delivers data by using multi-hop method. In particular, group communication such as multicast is desperately needed because of characteristics such as battery life of limited wireless bandwidth and mobile nodes. However, the multicast technique can have different efficient of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configuring method of a virtual topology by the movement of the nodes and the performance of a multicast can be significantly degraded. In this paper, the region based security multicast technique is propos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ata transmission by maintaining an optimal path and enhance the security features in data transmission. The group management node that manag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ember nodes after the whole network is separated to area for efficient management of multicast member nodes is used. Member node encrypts using member key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and the security features are strengthened by sending the data after encrypted using group key in group management nod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in this paper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A Study on KSI-based Authentic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for Secure Smart Home Environments

  • Ra, Gyeong-Jin;Lee, Im-Ye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2호
    • /
    • pp.892-905
    • /
    • 2018
  • In smart home environment, certificate based signature technology is being studied by communication with Internet of Things(IoT) device. However, block - chain technolog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 problems such as single - point error and management overhead of the trust server. Among them, Keyless Signature Infrastructure(KSI) provides integrity by configuring user authentication and global timestamp of distributed server into block chain by using hash-based one-time key. In this paper, we provide confidentiality by applying group key and key management based on multi - solution chain. In addition, we propose a smart home environment that can reduce the storage space by using Extended Merkle Tree and secure and efficient KSI-based authenti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enhanced security strength.

Improving a Forward & Backward Secure Key Management Schem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Park, Dong-Goo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4호
    • /
    • pp.521-524
    • /
    • 2009
  • Park proposed a forward & backward Secure key management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Process Control Systems (PCSs) or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systems [7]. The scheme, however, is still vulnerable to an attack called "sandwich attack": two nodes captured at times $t_1$ and $t_2$, respectively, surrenders all the group keys used between times $t_1$ and $t_2$.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x to the scheme, which can limit the vulnerable time duration to an arbitrarily chosen time span while keeping the forward and backward secrecy of the scheme untouched.

효율적인 패스워드 기반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 (Efficient Password-based Group Key Exchange Protocol)

  • 황정연;최규영;이동훈;백종명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9-69
    • /
    • 2004
  • 패스워드 기반 인증된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은 (안전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공개 네트워크 상에서 인간이 기억 가능한 패스워드를 공유한 참가자 그룹에게 멀티 캐스트 데이터 무결성과 비밀성을 위해 사용될 세션 키를 제공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패스워드 기반 인증된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결정적 DH 문제와 계산적 DH 문제의 어려움에 근거하여 랜덤 오라클 모델과 이상적 암호화 모델에서 안전성을 증명한다. 이 프로토콜은 상수 번의 통신 라운드가 요구되며 키 공유를 위해 단지 사용자마다 O(1)번의 모둘라 지수 승을 요구한다. 따라서 매우 효율적이며 참가자 집합의 크기에 독립적이다. 또한 이 프로토콜은 전 방향 안전성을 제공한다.

내부자에 의한 위장 공격을 방지하는 개선된 ID 기반 그룹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 (Improved ID-based Authenticated Group Key Agreement Secure Against Impersonation Attack by Insider)

  • 박혜원;;김광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5-34
    • /
    • 2009
  • 인터넷에 존재하는 많은 그룹 기반 시스템들은 안전한 통신을 위해 그룹 인증 및 키 합의 (AGKA)를 필요로 한다. 1984년에 Sharnir가 ID 기반 암호시스템을 제안한 이후 이 시스템의 공개키 관리 연산 감소를 이용한 ID 기반 AGKA 프로토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2006년에 Zhou 등은 두 번의 라운드를 가지면서 통신 및 연산에서 매우 효율적인 ID 기반 AGKA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프로토콜이 임시 그룹 비밀 정보를 소유하고 있는 악성 내부자에 의한 위장 공격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이고 이를 개선한 ID 기반 AGKA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악성 공격자가 임시 그룹 비밀 정보를 알고 있더라도 각 구성원의 개인 키를 포함 하는 서명을 사용하여 위장 공격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Zhou 등의 프로토콜에서 수행되었던 불필요한 연산을 감소하여 성능 또한 향상시켰다.

확장성을 제공하는 안전한 멀티캐스트 키 관리 구조 (A Scalable Secure Multicast Key Management Structure)

  • 박희운;이임영;박원주;이종태;손승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2호
    • /
    • pp.109-116
    • /
    • 2002
  • 그룹에 기반한 통신 응용 서비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멀티캐스트 기반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멀티캐스트 구조에 대한 안전성과 효율성 및 확장성 부분에 대한 해결책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멀티캐스트 키 관리 구조를 고찰함과 동시에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Ipsec, 도메인 Subgroup 및 구조적 이원화 기법 등에 기초하여 확장성을 제공하는 안전한 멀티캐스트 키 관리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새로이 제안된 방식과 기존의 방식들을 안전성, 효율성 및 확장성 부분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 효용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