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tional image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초

디지털 임피던스 영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System)

  • 오동인;백상민;이재상;우응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9-275
    • /
    • 2004
  • 인체내부의 각 조직은 서로 다른 저항률(resistivity)분포를 가지며, 조직의 생리학적, 기능적 변화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기능적 영상을 위한 임피던스 단층촬영 (EIT,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결과를 기술한다. EIT 시스템은 인체의 표면에 부착한 전극을 통해 전류를 주입하고 이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내부 임피던스의 단층영상을 복원하는 기술이다. EIT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는 영상복원의 난해함과 아울러 측정시스템의 낮은 정확도가 기술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 EIT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도가 높고 안정된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크기와 주파수 및 파형의 변화 가능한 50KHz의 정현파 전류를 인체에 주입하기 위해 필요한 정밀 정전류원을 설계하여 제작한 결과, 출력 파형의 고조파 왜곡(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이 0.0029%이고 진폭 안정도가 0.022%인 전류를 출력 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개의 정전류원을 사용함으로써 채 널간 오차를 유발하던 기존의 시스템을 변경하여, 하나의 전류원에서 만들어진 전류를 각 채널로 스위칭하여 공급함으로써 이로 인한 오차를 줄였다. 주입전류에 의해 유기된 전압의 정밀한 측정을 위해 높은 정밀도를 갖는 전압측정기가 필요하므로 차동증폭기, 고속 ADC및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사용한 디지털 위상감응복조기 (phase-sensitive demodulator )를 제작하였다. 이때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모든 전극 채널에서 동시에 측정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작된 전압측정기의 SNR(signal-to-noise ratio)은 90dB 이다. 이러한 EIT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경의 전해질 용액에 비해 두 배의 저항률을 가지는 물체(바나나)에 대한 기초적인 영상복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스템은 16채널로 제작되었으나 전체를 모듈형으로 설계하여 쉽게 채널의 수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 64채널 이상의 디지털 EIT시스템을 제작할 계획이며, 인체 내부의 임피던스 분포를 3차원적 으로 영상화하는 연구를 수행 할 예정이다.

Cosmetic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in Thai Women Post Breast Conserving Therapy for Breast Cancer

  • Thanarpan, Peerawong;Somrit, Mahattanobon;Rungarun, Jiratrachu;Paytai, Rordlamool;Duangjai, Sangtawan;Chanon, Kongkamol;Puttisak, Puttawib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1호
    • /
    • pp.4685-4690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smetic outcome (CO),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in post breast-conserving therapy (BCT) women.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cerned one-year post-completed BCT Thai women. The data included subjective and objective CO with a questionnaire covering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anti-hormonal treatment status,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Self-Reported Cosmetic Outcomes (SRCO), Self-Reported Breast Symmetry (SRBS), Body Image Scale (BIS),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with Breast Cancer subscale (FACT-B). Participants had breast photographs taken for the evaluation of objective cosmetic outcome (OCO) after breast cancer conservation trea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CO and FACT-B was tested us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Results: A total 127 participants volunteer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ere age 52(${\pm}9$), Buddhist 87%, married 65%, body mass index 25.0(${\pm}4.6$), breast cup size A-C 91%, college educated 60%, employed 66%, ECOG 0-1 95%, tumor size less than or equal to 2 cm 55%, no lymph node metastasis 98%, and taking tamoxifen 57%. Two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gretted their decision to undergo BCT. The SRCO was excellent in 2%, good in 68%, fair in 30%, and poor in 0%. For SRBS, rates were 17%, 58%, 24% and 1% for excellent, good, fair and poor cosmetic outcomes, respectively. The BCCT scores were excellent 24%, good 39%, fair 32%, and poor 6%. The median total QOL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130 (93-14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 and FACT-B score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CO for FACT-B in Thai women with breast cancer could not be assessed in detail because of a very low level of correlation. The results may be due to the effects of cultural backgrou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를 이용한 초기 치아우식 검사 (Assessment of Early Dental Caries by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민지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7-262
    • /
    • 2016
  • TMR은 초기우식 평가의 gold standard로 여겨지나 시편을 파괴하여야만 시편의 무기질 밀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법이다. 그러나 OCT는 비파괴적인 검사법으로 임상에서도 초기우식을 확인하는 데 사용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mu}m$ 이상의 깊은 법랑질 초기우식에서의 OCT와 TMR에서 구한 integrated mineral loss값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mu}m$ 이상의 깊이를 갖는 인공 초기우식병소를 제작하여 TMR (${\Delta}Z_{TMR}$)과 OCT (${\Delta}R_{OCT}$)에서 구한 integrated mineral loss를 각각 구하여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Bland-Altman plot을 그려 두 값 간의 오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Delta}R_{OCT}$${\Delta}Z_{TMR}$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확인되었으며(r=0.491, p=0.003), Bland-Altman plot 상에서도 ${\Delta}Z_{TMR}$${\Delta}R_{OCT}$값 간의 차이가 거의 대부분 오차 구간 내에 있는 것이 확인되어 두 측정 방법 간의 오차가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치과임상에서 OCT를 활용하면 초기우식병소의 탐지 및 모니터링 그리고 초기우식병소의 심도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Breast Cancer Survivors in Jordan

  • Abu-Helalah, Munir;Al-Hanaqta, Motasem;Alshraideh, Hussam;Abdulbaqi, Nada;Hijazeen, Jamee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927-5936
    • /
    • 2014
  • Introduction: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among Jordanians. Breast cancer patients suffer from several negative consequences after treatment and these include pain, fatigue, sexual problems, appearance and body image concerns, with psychological dysfunction. This could affect the patient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published quantitative data on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Jorda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such data and assess predictors with calculated score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in Jordan diagnosed in 2009 and 2010,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 QLQ-C30), the Breast Module (QLQ-BR23) and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Clinical,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indicators that could predict patient quality of life scores were collected.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terviewed was 236 (mean age=$50.7{\pm}10.7$ years). The mean Global Health score for the QLQ-C30 was $63.7{\pm}20.2$ SD. Among functional scales, "social functioning" scored the highest ($mean=78.1{\pm}28.6$ SD), whereas "emotional functioning" scored the lowest ($mean=59.0{\pm}SD\;33.5$). For the QLQ-BR23, the worst scores within the functional scales were for "body image" ($mean=52.1{\pm}36.8$ SD) and "future perspective" ($mean=52.9{\pm}38.5$ SD). The worst symptom was "upset by hair loss" ($mean=69.8{\pm}43.0$). The mean HADS scores was $18.{\pm}9.0$ SD. Out of study participants, 53% scored abnormal on the anxiety scale and 45% on the depression scale. Severe depression and severe anxiety were detected among 8% and 14% of study participant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dividual scores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in published studies, such as the presence of recurrence since baseline, family history of cancer, low educational status, current social problems, extent of the disease, presence of financial difficulties, and employment statu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Breast cancer survivors in Jordan have overall good quality of life scores when compared with patients from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s more impaire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sychosocial support programs and psychological screening and consulta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s at hospitals of the Ministry of Health in Jordan.

3차원 자기공명 전류밀도 영상법의 수치적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Current Density Imaging (MRCDI))

  • B.I. Lee;S.H. Oh;E.J. Woo;G. Khang;S.Y. Lee;M.H. Cho;O. Kwon;J.R. Yoon;J.K. Seo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9-279
    • /
    • 2002
  • 인체에 전류주입하면, 내부에는 전압 및 전류밀도의 분포가 형성된다 이때, 인체내부의 전류밀도와 전류를 주입하는 도선에 흐르는 전류는 자장을 형성하게 된다. 인체내부에 유기된 자속밀도는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을 변화시키므로. 위상영상으로부터 자속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자속밀도의 curl을 취하여 전류밀도를 구하면, 주입전류에 의한 내부의 전류밀도 분포를 영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기공명 전류밀도 영상법을 자기공명 임피던스 단층촬영에 응용하여 고해상도의 저항률 영상을 복원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와 간은 전도성 물체에 전류를 주입할 때. 내부에 형성되는 전압, 전류밀도 및 자속밀도의 3차원적인 분포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수치적인 해석기술은 자기공명 전류밀도 영상법의 실험방법 설계와 자기공명 임피던스 단층촬영의 영상복원 알고리즘 개발에 필수적인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과 Biot-Savart 법칙에 기반하여, 여러가지 모델에서 계산한 결과를 기술하고, 그 해석을 통하여 수치적인 해의 정확도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이크로 웨이브 소결 과정이 CAD/CAM 지르코니아 코아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icrowave Sintering Process on the Adaptation of CAD/CAM Zirconia Core)

  • 김근배;김지환;이근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95-10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소결 방법과 마이크로 웨이브 소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 코아의 내부 및 변연 적합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실험은 기존의 소결로를 이용하는 $3M^{(R)}$의 Lava(LAV), $Kavo^{(R)}$사의 Everest(EVE), $Cerasys^{(R)}$ CAD/CAM 시스템(CER)과 마이크로웨이브 소결로를 이용하는 Dent. $solution^{(R)}$사의 CAD/CAM 시스템(DEN)에서 시스템별로 12개씩의 코아를 제작하고 실리콘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 다이에 부착시켰다. $Skyscan^{(R)}$ 1076 미세 단층 촬영기를 이용해 각각의 시편을 촬영한 후 재구성하였다. 각 시편에 대해 B-L상, M-D상 절단면 및 치아 장축에 대한 횡단면을 구해내고 각각의 단면에 대해 변연 간격, 축면 간격, 교합면 간격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변연 간격은 EVE가 $36.20{\mu}m$로 가장 작았고, LAV는 $47.67{\mu}m$, DEN는 $52.47{\mu}m$, CER은 $54.63{\mu}m$를 나타내었다. 2. 축면 간격은 EVE가 $63.49{\mu}m$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으나 네군간에는 유의차는 없었다. 3. 교합면 간격은 DEN이 $77.06{\mu}m$으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EVE와 CER은 $100{\mu}m$를 넘는 값으로 다른 두군과 유의차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소결을 통해 제작된 CAD/CAM 지르코니아 코아는 임상적으로 허용할 만한 변연 간격 및 축면 간격, 교합면 간격을 보여 주었다.

인천지역 청소년 여자 운동선수의 식행동, 체형에 관한 인식 및 영양상태평가 (Eating Behaviors, Perception of Body Image, Hematological Indices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 Female Athletes in Incheon)

  • 정선희;성현이;김순기;김광회;조미혜;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51-96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behaviors, the self-perception of body images, the hematological indices and the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 female athletes in Incheon. The subjects were 112 female athletes(track and fleld: n=32, target shooting: n=27, fencing n=29, swimming: n=14, badminton: n=10)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a sol(-administered questionnaire.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for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ferritin, serum iron, mean corpuscular volume (MCV),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MCHC), 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UI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and transferrin saturation (TS). Nutrient intakes obtained by means of the 3 day-recall method were analyzed using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Most of the female athletes had dietary problems such as eating unbalanced meals, skipping meals, and preferences for processed foods. More than 60% of the female athletes skipped breakfast. As for perception of their body images, track and field athletes in particular, controlled their weight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athletes (p<0.05). With regard to their physical exertion during exercise, 56.3% of the swimmers and 31.3% of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answered “very hard”, which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01). More than 80% of the female athletes experienced vertigo during exercise (p< 0.01). Also more than 50% of the female athletes, with the exception of the badminton players, had experienced irregular menstruation (p<0.05). The average serum iron levels (p<0.05), the serum ferritin levels (p<0.05) and TS (p<0.05) of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was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athletes. The nutrient intakes of the female athletes, with the exception of Vitamin B$_{6}$, niacin and phosphorus were lower than the Korean Recommended Daily Allowances (RDA). In particular, the calcium and iron intakes of the female athletes were under 50% of the Korean RDA. Therefor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and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for female athletes to encourage desirable eating habit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exercise performances.s.

PVA-ECC단면 이미지의 섬유 분류 및 검출 기법 (Fiber Classification and Detection Technique Proposed for Applying on the PVA-ECC Sectional Image)

  • 김윤용;이방연;김진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13-522
    • /
    • 2008
  • 섬유복합재료의 우수한 인장 성능은 섬유가 매트릭스의 균열 면에서 가교작용을 함으로써 발현되기 때문에 섬유의 분포 특성이 복합재료의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PVA 섬유를 보강 섬유로 사용하는 섬유복합재료의 경우 PVA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낮은 명암비와 PVA의 비전도성 특징으로 인하여 섬유의 위치 및 분포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히는 방법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PVA 섬유를 보강 섬유로 사용하는 섬유복합재료의 섬유 분포 특성 등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과정인 섬유의 검출에 대하여 검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얻은 섬유 이미지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분류된 섬유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분수령 알고리즘 (watershed algorithm)과 형태학적 재구성 (morphological reconstruction)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히 섬유를 검출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섬유 이미지를 총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인공신경회로망(ANN)을 분류기로 활용하기 위하여 형상 특성을 나타내는 5가지 특징값 즉, $F_s$, $F_c$, $F_p$, $F_l$$F_{rl}$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값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ANN을 학습하여 분류기를 구축함으로써 섬유의 유형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5가지 섬유 이미지 유형 중에서 잘못 검출된 섬유이미지를 분수령 알고리즘과 형태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섬유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상악동 중격;임플란트 수술 계획시 파노라마와 치과용 전산화 단충촬영 분석 (Maxillary sinus septum;panoramic radiographic and dental computed tomographic analyses in the planning of implant surgery)

  • 소현자;정동근;권진희;유소현;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47-154
    • /
    • 2006
  • Surgical intervention in the posterior maxillary region requires detailed knowledge of maxillary sinus anatomy and the possible anatomical variations. This study evaluated the incidence, location of maxillary sinus septa by using radiographic (panoramic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and comparison of panoramic radography with CT in antral anatomical vari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70 sinuses in partial dentate maxilla. The sample consisted of 61 patients(25 women and 36 men, with ages ranging between 19 and 77 years and a mean age of $49.4{\pm}11.3$ years) who were being treatment-planned to receive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First, the panoramic image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antral septa by radiologist and examiner who don't know about CT findings. And incidence of antral septa was evaluated using an axial plane of CT image. The incidence of septa was compared between panoramic radiography and CT. The accuracy of the incidence was compared between radiologists and dentists. A total of 20 septa were found in 70 sinuses on CT image and the prevalence of one or more septa per sinus was found to be 28.6%. The assumed incidence of septa on panoramic radiography was $27.6%{\pm}2.2%$ in radiologist and $31.9%{\pm}5.8%$ in dentists. Erroneous diagnosis rate was 11.42% in radiologist and 15.96% in dentists. 40% of antral septa were located in the anterior(premolar) region, 30% of septa were located in the middle(first molar) and posterior(second molar) region separately. Prior to implant placement, it seems appropriate to consider panoramic radiography as a standard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periapical radiographs may be used to complete the findings in regions not sharply depicted in the panoramic radiograph. And cross-sectional imaging should be used in sites with severe bone loss and close proximity of the maxillary sinus.

Geant4 전산모사를 이용한 두개골 팬텀의 물질 두께 변동에 따른 양성자 브래그 피크의 위치 변화 (Change of Proton Bragg Peak by Variation of Material Thickness in Head Phantom using Geant4)

  • 김유미;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01-408
    • /
    • 2021
  • 양성자 치료는 방사선치료 중 하나로 브래그 피크로 알려진 물리적 특성을 활용한 방법이다. 양성자 치료계획 수립 시 주로 전산화단층촬영(CT)의 인체 횡단면 영상이 사용되고 있다. CT는 사용되는 관전압에 따라 HU가 변하게 되며 이는 구조물의 경계, 두께 변화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Geant4를 이용하여 복합 물질로 구성된 두개골 팬텀에서 두께 변화에 따른 뇌 영역의 브래그 곡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단일 물질로 구성된 팬텀에서 매질의 종류와 양성자의 입사에너지에 따른 브래그 곡선을 측정하여 Geant4 계산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두개골 팬텀의 각 두께를 변동하였을 때 뇌 영역에서 발생하는 피크의 위치변화를 측정하였다. 연부조직의 두께를 변화하였을 때 피크의 위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피부의 두께를 변화하였을 때 피크의 변화는 적었으며, 주로 뼈의 두께를 변화할 때 피크의 위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뼈를 단독으로 변화하였을 때와 뼈를 다른 조직과 함께 변화하였을 때 피크의 위치 변화량은 동일하였다. 뼈의 정확한 두께 측정이 방사선치료계획의 선량-깊이 분포 예측에 주요 인자 중 하나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