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forest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Strong Wind and Ozone on Localized Tree Decline in the Tanzawa Mountains of Japan

  • Suto, Hitoshi;Hattori, Yasuo;Tanaka, Nobukazu;Kohno, Yoshihisa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권2호
    • /
    • pp.81-89
    • /
    • 2008
  • The numerical simulation of wind and ozone ($O_3$) transport in mountainous regions was performed with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echnique. A dry deposition model for $O_3$ was designed to estimate $O_3$ deposition in complex terrain, and the qualitative validity of the predicted $O_3$ concentration field was confirmed by comparison with observed data collected with passive samplers. The simulation revealed that wind velocity increases around ridge lines and peaks of mountains. The areas with strong wind corresponded well with the sites of tree decline at high altitudes, suggesting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localization of tree/forest declin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forest decline and $O_3$ concentration. The $O_3$ concentration, however, tends to increase as wind velocity becomes higher, thus the $O_3$ concentration itself may be a potential secondary factor in the localized decline phenomena. While the diffusion flux of $O_3$ is not related to localized tree decline, the pattern of advection flux is related to those of high wind velocity and localized tree decl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ong wind with large advection flux of $O_3$ may play a key role in the promotion of tree/forest decline at high mountain ridges and peaks.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활용한 청년층 차입자의 채무 불이행 위험 연구 (Predicting Default Risk among Young Adults with Random Forest Algorithm)

  • 이종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19-34
    • /
    • 2022
  • 청년층 및 저소득층을 포함한 취약계층과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부채 불이행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청년층의 가계부채 건전성은 최근 고용 부진, 학자금대출 부담 증가, 제2금융권에서 고금리 대출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취약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청년층 차입자를 대상으로 채무 불이행 가능성을 진단하고, 그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하고, 청년층의 채무 불이행 가능성과 관련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랜덤포레스트 방법을 적용하였다. 청년층 차입자의 채무 불이행 위험을 예측하는 모형을 탐색한 뒤 중요도 지수를 산출하고, 중요도가 높은 설명변수들을 선별한 뒤, 주요 결정요인들의 부분 의존성 도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자산대비부채비율(DTA), 의료비 비중,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통신비 비중, 주거비 비중이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가장자리와 산불피해강도가 산불피해지역 초기식생재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dge Area and Burn Severity on Early Vegetation Regeneration in Damaged Area)

  • 이주미;원명수;임주훈;이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121-129
    • /
    • 2012
  • 산불피해강도와 함께 가장자리 관련지역은 생태계회복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산불피해강도와 가장자리 효과의 복합적 영향에 의한 산불 후 식생의 초기 반응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불피해강도 즉 ${\Delta}NBR$는 삼척지역의 산불전과 후의 인공위성 이미지를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산불피해지는 231개의 $1-km^2$ 격자 단위로 구분하였으며, 격자들은 산불피해강도와 가장자리 지역의 포함 유무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재분류되었다. 4개의 그룹은 저강도 산불피해강도의 산불피해지 내부지역(그룹 A), 저강도 산불피해강도의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그룹 B), 고강도 산불피해강도의 산불피해지 내부지역(그룹 C), 고강도 산불피해강도의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그룹 D)을 포함한다. 4개 그룹 간 식생재생변화(${\Delta}NDVI$)는 T-test로 비교되었으며, 고강도 강도지역의 그룹 C(${\Delta}NDVI$ = 0.047)와 D(${\Delta}NDVI$ = 0.059)가 저강도 연소강도지역의 그룹A(${\Delta}NDVI$ = -0.039)와 B(${\Delta}NDVI$ = -0.036)에 비해 상당히 높은 식생재생을 보였다. 또한 동일 산불피해강도 지역에서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이 내부지역에 비해 높은 식생재생변화가 관찰되었다. 즉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의 그룹 B(${\Delta}NDVI$ = -0.036)와 D(${\Delta}NDVI$ = 0.059)는 산불피해지 내부지역의 그룹 A(${\Delta}NDVI$ = -0.039)와 C(${\Delta}NDVI$ = 0.047)에 비해 높은 식생재생변화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산불피해로 인한 이차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연소된 산림의 회복을 위해 산불피해지 내부지역에 대한 적절한 회복전략이 요구된다.

준 실시간 화학적 조성자료를 이용한 미세입자 연무 에피소드 규명 (Investigation on a Haze Episode of Fine Particulate Matter using Semi-continuous Chemical Composition Data)

  • 박승식;김선정;공부주;이권호;조석연;김종춘;이석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42-655
    • /
    • 2013
  • In this study, semi-continuous measurements of $PM_{2.5}$ mass,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OC and EC), black carbon (BC), and ionic species concentrations were made for the period of April 03~13, 2012, at a South Area Supersite at Gwangju. Possible sources causing the high concentrations of major chemical species in $PM_{2.5}$ observed during a haze episode were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results, along with meteorological parameters, gaseous pollutants data, air mass back trajectory analyses and PSCF (potential source contribution function) results, were used to study the haze episode. Substantial enhancements of OC, EC, BC, $K^+$, $SO{_4}^{2-}$, $NO{_3}{^-}$, $NH{_4}{^+}$, and CO concentration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air masses coming from regions of forest fires in southeastern China, suggesting likely an impact of the forest fires. Also the PSCF maps for EC, OC, $SO{_4}^{2-}$, and $K^+$ demonstrate further that the long-range transport of smoke plumes of forest fires detected over the southeastern China could be a possible source of haze phenomena observed at the site. Another possible source leading to haze formation was likely from photochemistry of precursor gase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SO_2$, and $NO_2$, resulting in accumula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SO{_4}^{2-}$ and $NO{_3}{^-}$. Throughout the episode, local wind directions were between 200 and $230^{\circ}C$, where two industrial areas are situated, with moderate wind speeds of 3~5 m/s, resulting in highly elevated concentration of $SO_2$ with a maximum of 15 ppb. The $SO{_4}^{2-}$ peak occurring in the afternoon hours coincided with maximum ambient temperature ($24^{\circ}C$) and ozone concentration (~100 ppb), and were driven by photochemistry of $SO_2$. As a result, the pattern of $SO{_4}^{2-}$ variations in relation to wind direction, $SO_2$ and $O_3$ concentrations, and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SO_2$ and $SO{_4}^{2-}$ ($R^2=0.76$)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the impact of smoke plumes from forest fires in the southeastern China, local $SO_2$ emissions were likely an important source of $SO{_4}^{2-}$ leading to haze formation at the site.

흑오미자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과 식생구조 (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Schisandra nigra Maxim. in Cheju Island of Korea)

  • 이갑연;김세현;김판기;신창호;한상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1-89
    • /
    • 1999
  • 흑오미자 분포하는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흑오미자의 자원보존 및 자생지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흑오미자의 분포지역을 대상으로 분포지의 입지환경과 식생구조 및 생육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흑오미자의 주요 분포지는 한라산의 해발 660~1,250 m 범위 내 주로 북, 북서 및 남서향을 중심으로 비교적 습도가 높고 35$^{\circ}$이하의 완만한 경사를 이룬 산록부에 서식하고. 자생지의 토양 pH는 4.36~5.28의 범위로서 비교적 산성에 가까운 토양이었으며, 양이온 치환용량(CEC)과 유기물함량은 각각 16.70$\pm$3.83c㏖$^{+}$/kg, 22.81$\pm$2.85%으로 비교적 비옥한 토양이었다.2.흑오미자가 생육하는 14조사구에 대한 cluster분석 결과에서는 상층 임관형에 따라 크게 4개 집단 즉 때죽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때죽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흑오미자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군락은 소나무-때죽나무군락으로 조사구당 출현한 흑오미자의 평균 개체수는 35.6본이었다.3.흑오미자의 군락유형별 분포형태(Morista's index)는 때죽나무군락과 소나무-때죽나무군락에서는 1.1846~1.1052의 범위로 집중분포에 가까운 확률분포였고, 소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는 0.9351로 규칙분포에 가까운 확율분포였다.

  • PDF

충청북도 보련산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Synec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on Mt. Boryeonsan, Chungcheongbuk Province)

  • 송종석;신동국;이장순;김헌규;엄광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6-77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보련산 일대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삼림식생은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졸참나무 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단풍취군집(신갈나무-철쭉나무군단, 신갈나무-당단풍군목, 신갈나무군강) 등 1개의 식재림군락, 5개의 이차림군락, 1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각삼림군락에 대해 종조성과 인위적 영향, 고도, 경사, 지형, 토양의 화학성 등 생육지의 환경조건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또 군락별로 생활형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단풍취군집은 식별된 군락 중 가장 안정된 군락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각 군락의 구성종의 우점도에 기본을 둔 집괴 분석의 결과는 식물사회학적 표조작에 의해 구분된 군락구분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진행적 천이가 계속된다면 이 지역의 우점군락은 잠재자연식생인 신갈나무-단풍취군집으로 이행될 것으로 추리되었다.

Gypsum-Wood의 제조와 성질 (Manufacture and Properties of Gypsum-Wood)

  • 이종신;김성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90
    • /
    • 2008
  • Gypsum-wood composites were made by introducing inorganic substances into wood using calcium chloride, first treating solution, and sodium sulfate, secondary treating solution, by double diffusion process under atmospheric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The process conducted as follows: water saturated specimens were soaked in calcium chloride solutions at several concentration. Then the specimens were soaked further in saturated sodium sulfate solution, and they were leached in flowing tap water for 24h. To attain sufficient weight percent gain (WPG) values, the suitable concentration of calcium chloride and soaking time in saturated sodium sulfate solution were 20% and 48h, respectively. Inorganic substances were produced mainly in the lumina of tracheides. It was made sure that these substances were dihydrate gypsum($CaSO_4$ $2H_2O$) by X -ray microanalysis (SEM-EDX). The composites had good fire resistance due to low heat transfer rate of gypsum formed in wood. However, the composites had little decay resistances, because they showed high weight losses by test fungi attacks.

  • PDF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Evaluation of Grafted Pinus merkusii

  • Susilowati, Arida;Iswanto, Apri Heri;Wahyudi, Imam;Supriyanto, Supriyanto;Siregar, Iskandar Z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903-912
    • /
    • 2016
  •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evaluation of grafted P. merkusii have been undertaken to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compatible and incompatible symptoms of 18 years old grafts based on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microscopic analysis. Samples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grafts were obtained from previous research conducted by the Silviculture Departement Team in 1994. Result showed that compatible grafts have normal stem form and secondary growth (diameter growth), but some abnormality symptoms like undulated pattern of annual growth rings, phloem thickening and abnormality resin ducts in inner and middle parts of the union area occurred. Incompatible ones showed abnormality of the stem form, cortex-bark necrosis and swelling in the union area.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abnormality of all parts of the union, undulated pattern of annual growth rings, phloem thickening, abnormal resin ducts, low numbers and discontinuity of vascular elements in the union area.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of Hybrid Poplar O-methyltransferuse Involved in Lignin Biosynthesis

  • Park, Young-Goo;Sul, Ill-Whan;Shin, Dong-Ill;Park, Jang-Won;Park, Hee-S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31-134
    • /
    • 2001
  • In $\lambda$-Zap II vector system, a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for the developing secondary xylem mRNA from hybrid poplar, Populus nigra x maximowiczii. A cDNA clone of 1.5 kb in size, pOMTB1.4 encoding a lignin-bispecific O-methyltransferase was screened by plaque hybridization using a probe of 540 bp cDNA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rom the cDNA library and identified by nucleotide sequencing. Its nucleotide sequence contains one open reading frame of 366 amino acid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in comparison with that of Populus tremuloides showed the differences of 9 amino acids and revealed 85-99% homology among alfalfa, poplar and aspen.

  • PDF

금오산(金烏山)의 산화지(山火地)에서 벌목지(伐木地)와 비벌목지(非伐木地)의 식물(植物) 군집구조(群集構造) 비교(比較) (Comparison of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Cut and Uncut Areas at Burned Area of Mt. Gumo-san)

  • 제상훈;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509-520
    • /
    • 1997
  • 1994년 4월에 산불이 일어나서, 소나무림과 임상식생이 완전히 전소된 경북 김천시 부상면 금오산(976m)의 일부 지점으로 사면방위가 S10W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을 벌목지와 비벌목지로 구분, 인접한 소나무림을 대조구로 선정하여, 산불이 일어난 후 1년째인 1995년 4월부터 1996년 10월에 걸쳐 식생구조, 종다양성지수, 우점도지수, 균등성지수, 천이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 출현한 식물은 벌목지가 32종, 비벌목지가 36종, 비산화자가 34종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된 식물의 생활형은 벌목지 $H(G)-D_1-R_5-e$ 비벌목지가 $H(M)-D_1-R_5-e$, 비산화지가 $M(N)-D_1-R_5-e$ 형으로 나타났다. 적산우점도는 산화지, 비산화지의 출현한 식물의 층상구조로 볼 때, 산화지 중 벌목지는 초본층만 출현하여, 억새(100.00), 산거울(52.27), 졸참나무(51.19), 큰까치수영(39.40)순이었고, 비벌목지의 교목층은 상수리나무(56.91), 소나무(26.83), 관목층은 졸참나무(50.43), 감태나무(40.51), 싸리(37.85), 초본층은 억새(72.27), 고사리(69.02), 산거울(63.63)순이고, 비산화지의 경우 교목층은 소나무(99.88), 감태나무(21.07), 관목층은 졸참나무(77.47), 소나무(60.03), 청미래덩굴(56.19), 초본층은 억새(82.74), 산거울(74.02), 졸참나무(49.43)순으로 나다났다. 종다양성지수는 벌목지 1.05, 비벌목지 1.32, 비산화지 0.22, 균등성지수는 벌목지 0.70, 비벌목지 0.85, 비산화시 0.63이며, 우점도지수는 벌목지 0.15, 비벌목지 0.06, 비산화지 0.96, 천이도는 벌목지 345.19, 비벌목지 747.47, 비산화지 674.34, 각 지소별 유사도지수는 벌목지와 비벌목지간 0.66, 비산화지와 벌목지간은 0.50, 비산화지와 비벌목지간은 0.61이었다. 토양성분은 pH, 치환성양이온인 $Ca^{2+}$, $Mg^{2+}$, $Na^{2+}$, $NH{_4}^+$-N, $NO{_3}^-$-N은 벌목지가 비벌목지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총질소함량, 총탄소함량, 치환성양이온인 $K^+$는 비벌목지가 벌목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화지의 관리에 있어서 무조건 벌목보다는 산화지의 식생회복과 재생의 정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벌목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