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Cell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35초

리튬이온 배터리용 정극재료(正極材料)의 기술동향(技術動向) (Technology Trends of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y)

  • 황용길;길상철;김종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5호
    • /
    • pp.79-87
    • /
    • 2012
  • 리튬이온전지의 대형화와 범용화에 따라 경제성과 안정성 관점에서 정극재료의 개발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18650 원통형 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발매 초기인 1991년 230Wh/l에서 2005년 2배 이상의 500Wh/l로 증가하였으며, 제품 대부분의 에너지용량은 450~500 Wh/l, 150~190Wh/kg이고 안전성, 제조비 절감 및 장 수명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LiCoO_2$ 정극활물질 중의 Co가 고가이므로 Co 사용량을 줄이면서 에너지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iMn_2O_4$, $LiCo_{1/3}N_{i1/3}Mn_{1/3}O_2$, $LiNi_{0.8}Co_{0.15}Al_{0.05}O_2$, $LiFePO_4$-C복합체 (167 mA/g)등이 개발되고 있다. 전동자전거용 전지는 출력밀도 500 Wh/kg, 전동공구용 1,500Wh/kg, EV나 PHEV용으로는 4,000~5,000Wh/kg의 대용량 출력밀도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배터리 소재의 성능을 향상시키려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Graphene-sulfur 복합체정극활물질 600 Ah/kg, 2차전지용 분자클러스터(molecular cluster) 320 Ah/kg 등의 새로운 정극활물질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므로 실용화가 기대된다.

와송 추출물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 및 안전성 연구: 단일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비교, 임상연구 프로토콜 (Research on Immune Enhancing Effect and Safe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Extract: Study Protocol for a Single 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 최진용;최준용;임현우;김정;김소연;한창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43
    • /
    • 2017
  • Objectives : This trial aimed to determine i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extract can enhance immune system and is safe enough to be approv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Methods : Total 62 people, aged 45 and older, will b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This study will compare Wasong extract and placebo. Wasong group will take 1g of Wasong extract, once a day, for 8 weeks. Placebo group will take 1g of crystalline cellulose as placebo, once a day, for 8 weeks. Outcomes will be measured at the baseline, the end of 4th week, and 8th week. Primary outcomes are the ratio of NK cells/total lymphocytes and the ratio of T-helper cells/T-suppressor cells. Secondary outcomes are total white blood cell count, the ratio of neutrophils, lymphocytes, and monocytes in total leukocytes, the ratio of total T cells, T-helper cells, T-suppressor cells, and B cells to lymphocytes, the amount of blood IgM, IgG, IgA, and cytomegalovirus (CMV) IgG, and blood metabolite target &global analysis. Results : This trial was approv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registry number: 2016006), and registered in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one of WHO 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Registry Platform (registry number: PRE20161006-002). Recruitment opened in February 2017 and is supposed to be completed by August 2017.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published by June 2018. Conclusion : This trial will provide clinical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Wasong in enhancing immune system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항진균물질을 생합성하는 Pseudomonas aeruginosa의 배양생리적 특성 연구 (Fermentation Studies on Pseudomonas aeruginosa Producing Antifungal Secondary Metabolite, PAFS.)

  • 송성기;윤권상;정용섭;전계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2-59
    • /
    • 2004
  • Fructose와 galactose를 배지에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 catabolite repression에 의한 PAFS생산성 저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탄소원의 공급량과 유속을 달리하는 유가식 배양으로 PAFS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성공률이 매우 높다고 밝혀진 실험방법에 의해 모균주로부터 고생산변이주를 선별하여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된 AP-20 균주를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회분식 배양 및 유가식 배양 실험에 이용하였다. 생물반응기에서의 유가식 배양이 회분식 배양에서보다 PAFS생산성이 약 4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산균주의 배양생리학적 특성으로서 Pseudomonas aeruginosa는 galactose를 이용해서 세포성장과 이차대사산물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하고 fructose를 이용하여 PAFS를 생합성하는 것으로 추론되며, 너무 느린 탄소원의 공급은 세포성장에 제한요소로 작용하여 이차대사산물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유가식 배양일지라도 배양 조건에 따라 그 생산성이 뚜렷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galactos의 초기량이 20g/L이고 fructose 30g/L를 0.032 mL/min의 속도로 공급했을 경우의 PAFS생산량을 100%로 정의했을 때, 초기부터 40 g/L의 galactose가 존재하고 20 g/L의 fructose를 0.032 mL/min의 속도로 공급한 경우에 PAFS생산성이 약 580%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Genome-wide DNA methylation pattern in a mouse model reveals two novel genes associa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mastitis

  • Wang, Di;Wei, Yiyuan;Shi, Liangyu;Khan, Muhammad Zahoor;Fan, Lijun;Wang, Yachun;Yu, Y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203-211
    • /
    • 2020
  • Objective: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is one of the major microorganisms responsible for subclinical mastitis in dairy cattl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with the aim to explore the DNA methylation patterns using the Fluorescence-labeled methylation-sensitive amplified polymorphism (F-MSAP) techniques in a S. aureus-infected mouse model. Methods: A total of 12 out-bred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female mice ranging from 12 to 13 weeks-old were selected to construct a mastitis model. F-MSA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ct fluctuations of DNA methylation between control group and S. aureus mastitis group. Results: Visible changes were observed in white cell counts in milk, percentage of granulocytes, percentage of lymphocytes, CD4+/CD8+ ratio (CD4+/CD8+), and histopathology of mice pre- and post-challenge with S. aureus. These findings showed the suitability of the S. aureus-infected mouse model. A total of 369 fragments was amplified from udder tissue samples from the two groups (S. aureus-infected mastitis group and control group) using eight pairs of selective prim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thylation level of mastitis mou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NCK-associated protein 5 (Nckap5) and transposon MTD were identified to be differentially methylated through secondar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equencing in the mastitis group. These observation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 aureus mastitis. Conclusion: Collectively, our study suggests that the methylation modification in Nckap5 and transposon MTD might be considered as epigenetic markers in resistance to S. aureus-infected mastitis and provided a new insight into S. aureus mastitis research in dairy industry and public health.

Poly(vinyl chloride) 가지형 공중합체를 이용한 수소이온 전도성 가교형 전해질막의 제조와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on Conducting Crosslinked Membranes Based On Poly(vinyl chloride) Graft Copolymer)

  • 김종학;고종관;최진규;박정태;고주환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261-267
    • /
    • 2008
  • Poly(vinyl chloride) (PVC) 주사슬과 poly(hydroxyethyl acrylate) (PHEA) 곁사슬로 구성된 가지형 공중합체를 원자전달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PVC의 2차 염소원자의 직접적인 개시반응에 의해 친수성인 PHEA 단량체를 그래프팅시켰다. 이렇게 합성된 PVC-g-PHEA을 술포석시닉산(SA)를 사용하여 가교시켰으며, 이는 가지형 공중합체의 -OH 그룹과 SA의 -COOH와의 에스테르 반응임을 FT-IR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온교환능(IEC)은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하여 증가하여 0.87 meq/g까지 도달하였고, 이는 전해질막에 이온 그룹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함수 율은 SA 함량이 20 wt%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또한 수소 이온 전도도도 SA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20 wt% SA 농도에서 0.025 S/cm의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 그룹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와 가교가 증가하는 효과가 서로 경쟁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Pseudomonas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단백질성 항생물질에 의한 효모 Candida 생육 억제 (Inhibition of yeast Candida growth by protein antibiotic produced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BB2)

  • 안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8-452
    • /
    • 2015
  •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 세균을 배추의 근권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API 20NE test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Pseudomonas fluorescens BB2로 동정되었다. P. fluorescens BB2 균주는 3%의 glucose가 포함된 YM 배지에서 $20^{\circ}C$로 배양하였을 때 효모에 대한 항생물질을 2차 대사산물로서 효과적으로 생산하였다. BB2 균주의 단백질성 항생물질은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과 N-butanol 추출에 의해 농축되었으며,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데 Candida albicans KCTC 7965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은 $10{\mu}g/ml$이었고, $80{\mu}g/ml$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하였다. N-butanol 추출에 의한 친수성 분획은 Bacillus cereus ATCC 21366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chrome azurol S 평판배지에서 주황색 halo를 생성하므로 철과 결합하는 siderophore를 포함한다. 세포막을 통한 crystal violet의 흡수를 조사한 결과 효모 C. albicans에 대한 소수성 항생물질 $60{\mu}g/ml$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막 투과성이 약 9% 증가하였다. P. fluorescens BB2 균주가 생산하는 항생물질은 효모 Candida의 생육을 억제하는 antimicrobial peptide의 일종으로 보이며, 이는 Pseudomonas 속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포진후 신경통의 치료 증례 (Case report : Postherpetic Neuralgia)

  • 배국진;안종모;윤창륙;조영곤;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1호
    • /
    • pp.93-99
    • /
    • 2010
  • 대상포진(Herpes Zoster:HZ)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해 야기된 속발성 또는 잠복성 감염이다. 증령에 따라 바이러스 특이적 면역 및 세포 매개 면역력이 감소하면서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기 때문에, 대상포진은 주로 노년층에서 호발한다. 대상포진에 이환되면, 극심한 급성 통증이 발생하게 되고 수개월에 걸쳐서 회복하게 된다. 포진후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PNH)은 대상포진의 대표적인 합병증의 하나로, 대상포진에 이환된 후 발생한 통증이 3개월 이상 회복되지 않을 때, 포진후신경통으로 진단할 수 있다. 임상적 증상으로는 주기적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동반되는 타는 듯한 통증, 이질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감각저하 또는 지각이상을 보일 수 있다. $Neurometer^{(R)}$(neuroselective sensory nerve conduction threshold: sNCT, Automated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CPT, neurotron incorporated. Baltimore, Maryland. 21209 U.S.A.)는 신경의 감각이상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는 평가기구이다. 이번 증례는 포진후신경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치료 증례를 통해, 포진후신경통의 발생기전을 고찰해보고, 그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치료과정 중의 경과관찰 방법으로서 $Neurometer^{(R)}$를 이용하여, 감각이상의 평가 및 경과관찰시 지각이상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음식폐기물 처리용 혐기성 산 발효조로부터 알코올발효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cohol Fermentation Strain from Anaerobic Acid Fermentor to Treat Food Wastes)

  • 김중곤;한귀환;유진철;성치남;김성준;김시욱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51-455
    • /
    • 2006
  • 본 실험실에서는 음식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소화처리하기위해 Pilot 규모 (10톤)의 3단계 메탄 발효 공정을 개발하여 운전하고 있다. 3단계 메탄발효시스템은 반혐기성 가수분해조, 혐기성 산발효조, 혐기성 메탄발효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두 번째 공정인 혐기성 산발효조로부터 알코올발효능이 우수한 균주 KA4를 분리하였다. 세포의 형태는 타원형 모양이며, 크기는 $5.5-6.5{\times}3.5-4.5\;{\mu}m$ 이었고, 26S rDNA D1/D2 rDNA sequence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 KA4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를 Y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30-35^{\circ}C$에서 최대 생장을 보였으며, 배지내의 초기 에탄올 농도가 5% (v/v)까지는 생장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생장에 저해를 받았고 7% 이상에서는 생장하지 못하였다. 한편 초기 50% (w/v)까지의 당 농도에서는 생장이 가능하였으나 잔류 당 농도를 고려할 때 에탄올 발효를 위한 최적 당 농도는 10%이었다. 이 농도의 당을 이용하여 초기 pH4에서 10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에탄올 발효가 가능하였으며 최적 pH는 6이었다 이 때 에탄올 생산량은 7.4%이었으며, 에탄올 생산수율은 2.87 mol EtOH/mol glucose이었다.

아연공기전지용 Pr1-x (Sr, Ca)xCoO3 양극촉매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r1-x (Sr, Ca)xCoO3 Cathode Materials for Zinc Air Batteries)

  • 허상훈;엄승욱;김현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2-348
    • /
    • 2009
  • 아연공기이차전지는 고에너지밀도형이고 환경친화적이며 낮은 제조단가와 수용액계의 전해질 사용으로 다른 종류의 전지에 비해 매우 안전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고출력 방전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수용액에서 산소발생 및 환원반응은 매우 높은 과전압 하에서 일어나 전지효율의 감소 및 수명단축의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충 방전이 개시되면서 초기 OCV로부터 전압강하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성능 개선의 관건인데 이는 고성능의 촉매개발로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구연산법을 이용하여 $Pr_{1-x}(Sr,\;Ca)_x\;CoO_3$분말을 합성하고 각 분말들의 물성을 XRD, SEM, TGA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이용한 양극의 환원 및 산화분극과 순환전압전류 등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여 기존에 연구했던 $La_{1-x}Sr_xCoO_3$, $La_{1-x}CaxCoO_3$ 등의 촉매 성능보다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있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소면적 12-bit 300MSPS CMOS D/A 변환기의 설계 (Design of a Small Area 12-bit 300MSPS CMOS D/A Converter for Display Systems)

  • 신승철;문준호;송민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4호
    • /
    • pp.1-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소면적 12-bit 300MSPS의 D/A 변화기(DAC)를 제안한다. 최근 SoC(System-On-Chip) 경향에 맞는 소면적 DAC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조는 6-MSB(Most Significant Bit) + 6-LSB(Least Significant Bit)의 full matrix 구조로 설계 하였다. 고해상도 동작에 요구되는 output impedance을 만족하는 monitoring bias 구조, 고속 동작 및 소면적 디지털 회로 구성을 위하여 logic과 latch 및 deglitching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self-clocked switching logic을 각각 제안하였다. 설계된 DAC는 Samsung $0.13{\mu}m$ thick gate 1-poly 6-metal N-well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제작된 DAC의 측정결과 INL (Integrated Non Linearity) / DNL (Differential Non Linearity)은 ${\pm}3LSB$ / ${\pm}1LSB$ 이하로 나타났으며, 300MHz 샘플링 속도와 15MHz의 출력신호에서 SFDR은 약 70dB로 측정되었다. DAC의 유효면적은 $0.26mm^2$ ($510{\mu}m{\times}510{\mu}m$)로 기존의 DAC에 비하여 최대 40% 감소된 초소면적으로 구현되었으며, 최대 전력 소모는 100mW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