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 molar impac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1초

하악 제3대구치의 맹출 양상과 치관주위염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PERICORONITIS AND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 정정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2호
    • /
    • pp.161-167
    • /
    • 2006
  • Objectives: Pericoronitis was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and there are no universally acceptable predictive criteria for pericoronitis occurre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pericoronitis and the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using panoramic radiographs statistically. Materials and Methods: 218 patients whose chief complaint was the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ere examined. The presence and absence of pericoronitis, age, sex, position of extraction site, angulation, impaction degree, position to the anterior border of mandibular ramus, distance between distal cementoenamel junction of second molar and mesi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ere assessed. Then the correlation of pericoronitis and the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ere analyzed by Student's t-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ericoronitis and age, sex, posi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The angulation(P=0.005), impaction degree(P=0.043), relation with anterior border of mandibular ramus(P=0.003), distance between distal cementoenamel junction of second molar and mesi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P<0.05) were correlated with pericoronitis. Conclusions: The occurrence of the pericoronitis can be predicted by the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such as angulation, impaction degree, relation with anterior border of mandibular ramus, distance between distal cementoenamel junction of second molar and mesi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ird molar.

Miniplate를 골격성 고정원으로 사용한 심도있는 매복 하악 제2대구치의 맹출 치료: 증례보고 (Use of a Miniplate for Skeletal Anchorage in the Forced Eruption of a Severely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Case Report)

  • 임재성;윤현중;이상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85-189
    • /
    • 2011
  • Tooth impaction represents the stop of eruption by clinical and radiographical disturbance in eruption path or the dislocation of tooth germ. The most common factor in tooth eruption disorders are spacial deficiency with other causes reported to be odontogenic tumors, periodontal ligament injury, etc. Impac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is relatively rare and reported in about 3 out of 1,000 people. Because the second molars tend to erupt in a mesial direction, this situation can lead to serious problems if untreated, including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root resorption of the first molar. Treatment of this problem includes, surgical repositioning and orthodontic forced eruption. Because each procedure have the definit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nfluenced by circumferential environment, these have limits for successfu1 recovery as independent treatment. In a case at St. Mary's Hospital, we performed successful correction of a horizontal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using a miniplate skeletal anchorage system. We introduce this treatment as a valid method for an impacted second molar and consider a oromaxillofacial surgeon's role in tooth movement treatment.

낭성 변화없이 하악과두로 이동한 하악 제3대구치 (MIGRA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 TO THE CONDYLE WITHOUT CYSTIC CHANGE: A CASE REPORT)

  • 김진태;조명철;전국진;박광호;허종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91-193
    • /
    • 2008
  • Impacted third molars of the mandible are generally found at or close to the second molar. If the third molar is impacted far distant from its original site, it may be affected by cysts or tumors. Ectopic impaction of third molar in the condyle area is very rare. Furthermore, impaction without cystic lesion is even less common. The etiology of migra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ithout cystic lesion is unknown. So periodical X-ray taking is essential.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 발거에 의한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SECOND PREMOLAR TOOTH BY EXTRACTION OF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 이근혜;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5-501
    • /
    • 2003
  • 매복은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인식할 만한 맹출로의 장애물이나 잘못된 치배의 위치로 인하여 치아의 맹출에 진전이 없는 것을 말한다. 제 3 대구치와 상악 견치를 제외하고 제 2 소구치에서 가장 흔히 매복이 발생하며, 소구치의 매복은 전체 매복의 0.5%를 차지한다. 소구치 매복의 치료에는 교정적 견인과 외과적 재위치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만기 잔존된 유구치에 의해 발생한 소구치 매복은 유구치의 발거 및 공간 유지로서 소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제 2 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를 발거하고 공간 유지를 하여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시도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와 연관된 매복된 제 2 소구치는 유치 발거를 통한 최소한의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 2 소구치가 맹출할 때까지 적절한 공간 유지와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 3. 교정적 견인 또는 외과적 재위치를 시도하기 전 치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4. 치근이 미완성된 치아에서 좀 더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제2유구치의 일차성 만기잔존이 동반된 제1대구치 수평매복의 맹출유도 : 증례보고 (Eruption Guidance of Horizontally Impacted Permanent First Molar with Primary Retention of Primary Second Molars: Case Reports)

  • 윤가람;이난영;이상호;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19-227
    • /
    • 2020
  • 치아 맹출은 치조골을 통해 치낭의 위치로부터 구강 내의 최종적인 교합 위치까지 치아가 이동해가는 복잡한 발육 과정이다. 치아의 맹출 장애는 맹출 일련의 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하악 제2유구치의 일차성 만기잔존과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 매복이 동시에 발생한 증례는 매우 드물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제2유구치의 일차성 만기잔존이 동반된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매복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일차성 만기잔존으로 맹출 지연된 하악 제2유구치는 발치하였고, 수평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는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였다. 이후 계승 소구치의 맹출 공간을 위해 공간획득을 도모하였고 계승 소구치의 변위가 개선되었으며 제1대구치는 정상적인 맹출이 유도되었다.

Pressure Root Resorption of the Second Molar Caused by Third Molar Impaction: A Case Report of Severely Resorbed Root with Vital Pulp

  • Kang, Sumi;Kim, Euiseong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63-68
    • /
    • 2016
  • Pressure root resorption can be observed during the eruption of permanent dentition, especially of the maxillary canines (affecting lateral incisors) and mandibular third molars (affecting mandibular second molars). Since the cause of root resorption of the adjacent affected teeth is evident, treatment simply involves extraction of the impacted tooth.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the prognosis of the remaining resorbed tooth, as dentists often choose to extract them when damage due to root resorption is observed.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tooth that was severely resorbed due to pressure from an adjacent impacted tooth. After extraction of the impacted tooth, the remaining tooth retained vital pulp and survived as a functional tooth.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 이혜림;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임화신;이제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4-411
    • /
    • 2012
  • 치아의 매복은 맹출로 내의 물리적 장애물이나 치아의 비정상적 위치에 의해 발생한 치아 맹출의 정지로, 하악 제2대구치의 매복은 비교적 드물다.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는 우식, 치주염, 제1대구치 치근흡수 등을 유발하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첫 번째 증례는 10세 남자 환자로 하악 양측 제2대구치의 매복을 구리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12세 여자 환자로 구강검진 도중 하악 좌측 제2대구치의 매복이 발견되어 Humphrey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세 번째 증례는 17세 여자 환자로 하악 우측 소구치부에 식립한 미니 임플란트를 고정원으로 하는 uprighting spring을 이용하여 하악 우측 제2대구치의 매복을 치료하였다. 네 번째 증례는 18세 남자 환자로 매복된 하악 좌측 제2대구치에 부착한 교정용 버튼과 하악지에 식립한 미니 임플란트를 elastic thread로 연결하여 치료하였다.

매복된 제 2유구치와 제 2소구치 치배의 전위에 관한 증례 보고 (TRANSPOSITION OF THE IMPACTED PRIMARY SECOND MOLAR AND THE TOOTH GERM OF SECOND PREMOLAR)

  • 김송이;최성철;김광철;이긍호;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22-727
    • /
    • 2006
  • 치아가 정상적으로 맹출해야 하는 시기를 지나서도 골조직 내에서 맹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치아를 매복치라 한다. 유치의 매복은 드물게 나타나며, 더구나 과거의 문헌 고찰에 의하면 현재까지 보고된 계승 영구치 하방에 매복된 유치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 매복된 유치는 제 2 유구치이다. 유치의 매복에 대한 병인은 유치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인해 조기에 유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전위는 동일한 사분악 내의 인접한 두 개 치아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을 말하며, 영구 상악 견치와 제 1소구치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 빈도는 1% 내외로 낮으며, 특히 유치열의 전위는 거의 발표된 바가 없다. 본 증례는 양악 양측 제 2유구치의 매복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된 환자의 구강 및 방사선 검사 결과 매복된 제 2유구치와 후속 제 2소구치 사이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 맹출유도의 치험례 (TREATMENT OF THE IMPACTED LOWER SECOND MOLARS)

  • 한수경;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45
    • /
    • 2004
  • 정상적인 하악 성장에서, 하악 제1대구치 후방의 치배는 근심경사되어 있다. 보통 이러한 근심경사는 자발적으로 해소되나, 항상 그런 것만은 아니다. 첫 번째 증례는 14세 여아로서 가족이 모두 하악 제2대구치가 매복된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환아 역시 양측 모두 매복되어 분절호전과 개방용 코일 스프링으로 치료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14세 남아 환자로 Halterman 장치를 이용하여 매복된 하악 우측 제2대구치를 치료하였다. 세 번째 증례는 11세 남아로서 고정성 교정 치료 중 하악 양측 제2대구치가 매복되었다. 분절호선과 개방용 코일 스프링, 구리선으로 치료하였다.

  • PDF

하악 제 3대구치의 맹출 양상과 제 2대구치의 후방 치아우식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DISTAL CARIES IN THE MANDIBULAR SECOND MOLAR AND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 이명환;설정은;장인걸;홍종락;김창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6호
    • /
    • pp.640-643
    • /
    • 2008
  • Distal caries of the second molar is common indication for the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and there are no universally acceptable predictive criteria for distal caries of the second molar.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distal caries of the second molar and the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using panoramic radiographs statistically and propose the acceptable guideline for preventive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786 patients who were extracted the mandibular third molar from 2002 to 2006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examined. The presence and absence of distal caries of mandibular second molar, age, gender, angulation, impaction degree, distance between dist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second molar and mesial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ere assessed. 79.6% of third molars had a mesial angulation of between $40^{\circ}$ and $80^{\circ}$. The mean age of third molar removal for distal caries of second molar was $33.86{\pm}9.81$. The prophylactic removal of a mesio-angular third molar about $40^{\circ}$ and $80^{\circ}$ could prevent distal cervical caries forming in the mandibular second mo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