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trends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1초

강화 지역주민의 과거 10년간 홍역이환율 및 예방접종율의 변화 -출생년도별 코호트 분석- (Measles Infections and Measles Vaccinations Rates for the Past 10 Years in Kang Wha -A Cohort Observation-)

  • 이용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4권1호
    • /
    • pp.43-51
    • /
    • 1981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measure the changes in measles infection and measles vaccination rates for the past 10 years in a rural area, Kang Wha. The study population were the entire children who were born between 1971 and 1950 in three townships (Sunwon, Naegae, Buleun) in Kangwha County. Two interview survey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10 years of period, one in 1977 and the other in 1981. The data were collected by Family Health Workers through interview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iagnosis of measles was mainly based on histories, symptoms and sighs of the disease. If a mother had reported measles history of her child, a public physician reviewed and decided the final diagnosis of the reported case. A retrospective cohort observation was done in order to see the trends of measles infections and measles vaccinatio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5 year prevalence rate of measles vaccinations was 51.3% between 1971 and 1975 and 71.9% between 1976 and 198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wo perio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secular trend of measles vaccinations showed increasing tendency from 1971 to 1978 and since then kept maintained. 2. In the birth cohort analysis of measles vaccinations, the vaccination rates, in general, were higher in the later cohort groups than that of earlier cohort groups. 9. The 5-year experience rates for measles infections were 24.3% between 1971 and 1975 and 17.2% between 1976 and 1980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secular trend of experience rates for measles infections showed decreasing tendency from 1971 to 1980 except an outbreak in 1976. 4. The birth cohort analysis of experience rates for measles infections showed that the rate was higher in the later cohort groups than that of the earlier cohort groups. This decreasing tendency was prominent between $1973{\sim}1974$ and $1976{\sim}1977$. 5. The distribution of age specific incidence rates for measles infections showed unimodal curve with the peak at the age of 12 to 18 months. This findings were same in both two surveys. 6. Seasonal variations of the measles infections showed two peaks, one major peak in March through May and the another minor peak in September through December. 7. The 5-year reduction rate for measles infections among those vaccinated was 90.4% between 1971 and 1975 and 88% between 1976 and 1980.

  • PDF

인삼의 종 및 품종간 광합성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Rates among Panax Species and Cultivars)

  • 이성식;천선용;이종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7-162
    • /
    • 1987
  • 인삼의 종 및 품종간 생리적 특성을 알기 위하여 볏짚 해가림하의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재배된 Panax ginseng C. A. Meyer 인 자경종, 황숙종, 미마끼, 소련재배인삼 그리고 Panax quinque folium L.인 미국삼을 광도, 온도, 시기별 광합성능력과 기공, 엽록소, 비엽중 및 지상하부 형질들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포화점은 자경종, 황숙종, 미마끼 및 미국삼이 15,000 lux 내외였고 소련재배인삼은 10,000 lux 내외였 다. 2. 광합성 최적 온도는 자경종, 황숙종, 미국삼 및 미마끼가 20 $^{\circ}C$ 내외였으나 소련재배인삼은 15$^{\circ}C$ 내외였다. 3. 광합성속도(생육기)는 미국삼이 7.8 mg($CO_2$/dm$^2$/h) 정도로 가장 높았고, 자엽종. 황숙종, 미마끼가 약 6~7mg($CO_2$/dm$^2$/h)였으며 소련재배인삼은 5mg($CO_2$/dm$^2$/h) 정도로 가장 낮았다. 4. 암호흡속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달라지는 영향이었으나 종 및 품종간에는 비슷하였다. 5. 단위 엽면적당 기공수는 미국삼이 가장 많았고 소련재배인삼이 가장 적었으며 기공의 길이는 그 반대였다. 6. 엽록소함량은 미국삼이 가장 많았으며, 비엽중은 미마끼가 가장 높았다. 7. 2년근시 근중은 미국삼이 가장 무거웠고 소련재단인삼이 가장 가벼웠으나, 엽수는 자엽종, 황숙종, 미마끼가 많았고, 미국삼, 소련재배인삼 순으로 적었다. 8. 6년근주 근중은 자엽종, 황숙종, 미마끼가 가장 무거웠고. 미국삼 소련재배인삼 순으로 가벼웠으며, 엽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Estimation of Economic Impacts of SARS Disaster to Tour Demands of Four Major Countries in Korea

  • Kim, Geun-Young;Moore II, James E.;Chae, Seon-Hee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77-87
    • /
    • 2009
  • 전염병 발생의 잠재적 위험은 지구촌 사회의 시대를 맞이하여 심각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러 국가들의 다양한 정부기관에서 전염병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계획은 적절한 수준으로 준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인류는 의료 및 공중보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룩해왔다. 그러나 SARS는 아직도 막대한 인명손실을 야기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매우 위험한 전염병으로 남아있다.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SARS는 전세계적으로 8,096건의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774명의 사망자와 9.6%의 사망률을 결과하였다(WHO, 2004). 이는 대표적인 보건재난 중 하나이다. 중국이 전세계에서 발생한 총 SARS사례의 약 66%를 점유한 결과 이웃국가인 한국의 관광산업은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입국자 자료의 주요요소를 파악하고, SARS발생기간 동안 한국에 입국한 일본과 대만 관광객의 수요변화가 한국의 관광산업에 미친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일본, 미국, 중국, 대만의 4개 국가 입국자들의 계절적, 장기적 추세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한국 관광산업에 대한 SARS의 직 간접적 영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

서해연안 도시지역의 대기질 특성 연구: 군산시 산업단지와 전주시 도로변에서 VOCs 농도분포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in the West Coastal Urban Atmosphere; Characteristics of VOCs Concentration Measured from an Industrial Complex Monitoring Station at Gunsan and a Roadside Station at Jeonju)

  • 유재연;김득수;채수천;남두천;최양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33-648
    • /
    • 2010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VOCs at distinct monitoring sites in urban atmosphere; one is at a roadside in downtown inland city of Jeonju, and the other is at an industrial site in Gunsan near coastal area. The ambient samples were collected for 24 hours in two-bed adsorbent tubes by using MTS-32 sequential tube sampler equipped with Flex air pump every 16 days in a roadside and a industrial complex from February to November in 2009. VOCs were determined by thermal desorption coupled with GC/MSD. Major individual VOCs in roadside samples were shown as following order in magnitude: toluene>m,p-xylene>ethyl benzene>decanal; and those in the industrial complex samples were as follows: toluene>ethanol>ethyl acetate>decanal>m,pxylene. High benzene concentration in the roadside was more frequently occurred than in the industrial complex. However ambient level of toluene in the industrial complex was higher than that in the road side. Results from roadside sample analysis showed that nonane and 1,2,4-trimethylbenzene were very frequently observed with higher concentrations than those in the industrial complex. It seems that nonane and 1,2,4-trimethylbenzene could be the source characteristics for the roadside air. From the diurnal variation, it was found that concentrations of benzene, ethylbenzene, xylene, nonane and 1,2,4-trimethylbenznene in the roadside were higher during rush hours; but those in the industrial complex were higher from 10 to 16 LST when the industrial activities were animated. On weekly base, the concentration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m,p-xylene in the roadside were higher specifically on Wednesday, but those in the industrial complex were higher on Sunday.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trends of VOCs levels at both sites significantly influence on seasonal change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VOCs in the roadside were mainly affected by the emission of vehicles and the evaporation of diesel fuel, meanwhile those in the industrial complex were influenced by the evaporation of solvents and vehicular emission.

형산강 수계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 김유표;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150-160
    • /
    • 2010
  • 본 연구는 형산강 수계의 7개의 하천 지점에서 이 화학적 수질의 시 공간적 변이 파악을 위하여 1999년~200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질 변수는 수온, 용존산소량(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인(TP), 총질소(TN), 부유물(SS) 및 전기전도도(EC)의 8개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질 특성은 연별, 계절별, 조사지점별로 변이를 보였다. 이온 희석현상의 지표로 이용된 EC는 계절 분석에서 장마기에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고, 계절별 영양염류 (TN, TP)는 전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평균했을 때 TN은 갈수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P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중류부에서 장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OD와 COD는 강우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계절별 SS 농도는 장마기에 크게 증가하였으며, 본류의 SS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형산강 상 중류의 BOD, COD, TP, TN, SS 및 EC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H3 지점을 지나면서 모든 변수에서 크게 증가하여 수질 악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주시 및 포항시의 도심에서 흘러나오는 지천의 영향이 하류의 수질 악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동해 중부 연안 환경 변화에 따른 명태 개체 크기 및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Influences of Oceanographic Features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Size Spectrum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habiting Middle Eastern Coast of Korea)

  • 정해근;이충일;박현제;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8-159
    • /
    • 2020
  • 본 연구는 동해 중부 연안에 서식하는 명태의 연직 분포와 개체 크기의 계절 및 연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채집된 명태 개체의 전장은 16.6 cm~81.5cm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50~600 m 사이의 수심대에서 어획되었다. 이 중 25~35 cm 그룹이 차지하는 비율은 45.5%, 35~45 cm 그룹이 차지하는 비율은 27.2%를 나타내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평균 전장은 1월에 가장 크고, 6월에 가장 작았으며, 6월 이후 점차 증가하는 계절주기 변동 특성을 나타내었다. 25 cm 미만 그룹은 100~200 m 수심에 서식하는 비율이 겨울철에 가장 높으며, 이후 봄, 여름, 가을에는 보다 깊은 수심으로 주 서식처를 변화하여 4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40% 이상을 차지하였다. 25~35 cm와 35~45 cm 개체 그룹의 겨울철 연직 분포는 4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45%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봄과 여름에는 보다 얕은 수심영역으로 서식처를 변화하여 200 m 미만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후 가을부터는 다시 서식하는 수심대가 깊어져 300 m 이상 수심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45 cm 이상 개체 그룹은 뚜렷한 계절 변동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3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명태의 연직 분포는 서식처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상층부의 수온이 상승하고 수온약층 아래 100~300 m 수심대의 수온이 하강한 시기에는 300 m 이상의 깊은 수심대에서 어획되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수온이 하강한 100~300 m 수심대에서 어획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상모리패총에서 산출되는 이매패류 패각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Paleoenvironment Reconstruction using a Bivalve from Sangmori Shell Mound)

  • 김정숙;우경식;홍완;강창화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48
    • /
    • 2010
  • 이 연구는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상모리패총에서 채취한 조개패각(밤색무늬조개과 투박조개, Glycymeris albolineata) 시료(JSM-B01)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이 조개가 살던 시대의 해양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패각의 지화학적 조성은 서식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 패각인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성장기에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잘 반영하였지만 성장이 거의 멈추는 노년기에는 주변 환경 변화를 거의 반영하지 못 하였다. 투박조개의 성장기(장년기)에 기록된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계절적 주기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계절변화는 여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중국대륙연안수인 저염분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 동위원소 조성 역시 여름시기에는 저염분수의 영향을 반영하여 낮은 값을 보이고, 겨울시기에는 해수 표층의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의한 영향을 받아 여름보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의 계절적인 변화패턴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연구는 과거 해수환경을 해석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과거 해수환경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주변 해수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과 밤색무늬과조개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하천 하구(남해 당항포)에서 자연적, 인위적 요인이 영양염 분포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Nutrient Distribution by the Natural and Artificial Controlling Factors in Small Stream Estuary)

  • 강성찬;박소현;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2권1호
    • /
    • pp.1-17
    • /
    • 2017
  • 본 연구는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분포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남해안 당항포에 위치한 세 하천(닫힌 하구: 고성천, 열린 하구: 구만천, 마암천)에서 2010-12년까지 계절별로 영양염(질산염, 암모늄, 인산염) 농도를 측정하였다. 고성천의 댐은 담수의 희석을 막고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높은 영양염 농도의 원인이 되어 인위적인 요인이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분포에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물리, 기후, 생지화학적 요인이 세 하천 영양염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세 하천 모두에서 질산염은 상류에서 높고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이것은 상류 집수역에서 공급이 많고, 하류로 갈수록 희석 및 하구 내 생지화학적 과정에 의한 제거가 활발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특히 탈질소화 등 대표적인 생지화학적 질소영양염 제거과정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암모늄과 인산염은 하천에서 유입되는 농도가 높은 경우에만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영양염 농도의 계절 분포는 여름철에 낮고, 겨울철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여름철 유량으로 인해 체류시간이 감소하였고, 희석 증가로 하천 내 영양염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높은 수온으로 인한 생물 생산에 의한 영양염 제거 역시 낮은 영양염 농도에 영향을 주었다. 소하천 하구는 높은 질소제거율(-k) 을 가지는 등 대형하구와는 구별되는 영양염 거동을 보이며 향후 소하천 하구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축분뇨 해양투기 금지 전후 하천 수질 변동 경향성 분석 (Trend Analysis for River Water Quality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rohibition of Ocean Dumping of Livestock Manure)

  • 최현미;조용철;이보미;류인구;김상훈;신동석;유순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5-91
    • /
    • 2021
  • Ocean dumping manure was prohibited in Korea until the end of 2012. Undumped manure was treated by resourcification, purification, and public process in a facility. But poor storage of untreated manure and overproduced compost can pollute river water. In this study, linear regression, Mann-Kendall, Seasonal Mann-Kendall, LOWESS trend,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of Bukhan and Imjin river before and after the prohibition of ocean dumping. In 2017, the Imjin Riv er basin had more than 5.7 times liv estock breeding heads than the Bukhan Riv er basin and more than 3.5 times livestock manure. The areas of land, farmland, and nutrient balance were also higher in the Imjin River basin. Since the two basins have different environ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water quality due to the increase in livestock manure generation and treatment methods will be different when comparing the water quality trends before and after the ban. The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revealed a decrease in EC before the ban but an increase afterward. T-N and BOD of Imjin river increased slightly before the ban but demonstrated great enhancement thereafter. Other sites and T-P exhibited no trend.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ivestock rearing wa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in T-P of Bukhan River and BOD of Imjin River. The increase in livestock manure production was not correlated with the Imjin River basin, while a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the Bukhan River with an increase in T-N and EC and the decrease in T-P.

소아에서 분리된 피부진균증의 발생경향 (Incidence Trends of Dermatophytoses Isolated in Children)

  • 김수정;방용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4-448
    • /
    • 2018
  • 2017년 1월 2일부터 12월 30일까지 내원한 검사환자 13,093명 중 소아청소년환자는 691명이며 백선균 분리환자는 179명으로 25.9%가 분리되었다. 분석 결과 전체 소아환자 691명 중 남성은 423명으로 61%이며 여성은 268명으로 39%로 분포하였다. 연령군별 조사에서는 신체변화가 가장 많은 시기인 사춘기(317, 46%)에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령기(203, 29%)와 영유아기(171, 25%)의 순서로 나타났다. 계절별 조사에서는 여름(195, 28%)과 겨울(191, 28%)이 높게 분리되었고 봄(165, 24%)과 가을(140, 20%)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부위별로는 족부백선(353, 5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 순으로는 몸백선(91, 13%), 조갑백선(77명, 11%), 사타구니백선(55, 8%), 두부백선(39, 6%), 수부백선(29, 4%), 그리고 얼굴백선(22, 3%)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연령별에 따른 부위별 질환은 소아연령 모두에서 족부백선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다음 순으로는 유아기와 학령기에서는 몸백선, 조갑백선, 수부백선, 그리고 두부백선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사춘기에서는 몸백선, 조갑백선, 그리고 사타구니백선으로 분리되었다. 원인균종은 Trichophyton rubrum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본 자료분석을 통해 소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백선의 분포와 분리균종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소아피부진균증의 분포 추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