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trends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휘발성유기화합물 화학종의 장기 거동 특성 - 광화학오염물질 측정자료 분석 (Characteristics of long-term behavior of VOC species in Korea - PAMS data analysis)

  • 박지훈;강소영;송인호;이동원;조석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6-75
    • /
    • 2018
  • Korean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s (PAMS)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late 2001 to monitor ambient air concentrations of VOC species, which would enhance understanding photo-chemical formation of ozone and subsequently contribute to developing efficient ozone control strategies. The present study aims at identifying major VOC species and examining their trends by analyzing PAMS monitoring data collected from the year 2006 to 2016. All the 18 PAMS site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ncluded in the study. PAMS monitored the 56 target VOC species, which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lkenes, lower alkanes ($C{\leq}3$), higher alkanes ($C{\geq}4$), aromatics. The higher alkanes and aromatics dominated over the lower alkanes and alkenes in the type 2 and 3 PAMS sites except Joongheung site. N-butane was a major alkane species, toluene was a major aromatic species and most of VOCs showed decreasing trends in these sites. On the other hand, only the alkenes showed decreasing trends at the Joongheung site in Yeosu. Major sources of abundant species such as ethane, propane, n-butane, toluene were estimated by analyzing seasonal variations, correlation with other VOC species, and emission profiles. A major source of n-butane was identified as LPG cars, while major sources of toluene varied considerably from one site to another. The lower alkanes were composed of ethane and propane, both of which showed a strong seasonal variation, low in the summer and high in the winter, indicating that a major source might be the heating by gaseous fuels. Ozone formation potentials of VOC species were evaluated by applying MIR and POCP to the measured VOC species concentrations. Toluene contributed the most to total ozone forming potentials followed by m,p-xylene for all the type 2 and 3 PAMS sites except for two sites in Yeosu-Gwangyang. Ethylene and propylene were the first and second contributors to total ozone forming potentials at Joongheung site in Yeosu.

Gonadal Development, Spawning and Plasma Sex Steroid Levels of the Indoor Cultured Grunt, Hapalogenys nitens

  • Kang, Hee Woong;Cho, Jae-Kwon;Son, Maeng-Hyun;Park, Jong Youn;Hong, Chang Gi;Chung, Jae Seung;Chung, Ee-Yu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1호
    • /
    • pp.33-41
    • /
    • 2015
  • The gonadosomatic index (GSI), gonad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hormones in plasma level of the indoor cultured grunt (Hapalogenys niten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study from August 2011 to October 2012. The GSI showed similar trends with gonad developmental stages during the culture periods.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beta}$ of fe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the spawning period, and seasonal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beta}$ were similar in trends of oocyte developments and GSI changes. Testosterone levels of 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and after the spent stage. Ovarian developmental stages of H. nitens could be classified into early growing stage, late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awning stage, recovery and resting stage. The testicular developmental stages could be divided into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ent stage, and recovery and resting stage.

천수만의 수질환경특성과 장기변동 (Long-term Changes and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 박승윤;박경수;김형철;김평중;김전풍;박중현;김숙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47-459
    • /
    • 2006
  • Long-term trend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Cheonsu Bay of Korea from 1983 to 2004.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4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SS), chemical oxygen demand (COD), dissolved oxygen (DO) and nutrien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ere not clear between stations but the seasonal variations were distinctive except COD, SS and nitrate. Twenty two year long-term trend analysis by PCA revealed the significant changes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Water quality during 1980's and early 1990's showed high SS, low nutrients and low COD which increased during the mid and late 1990's and early 2000's. Overall water duality in the Cheonsu Bay indicated the increase in nutrients and COD concentration.

난지도를 중심으로 한 대기 중 BTEX 성분의 농도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f Ambient BTEX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Nan-Ji-Do Landfill Site in Seoul)

  • 김기현;김민영;오상인;윤중섭;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63-474
    • /
    • 2001
  •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major anthrop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which include benzene, toluene, m, p-xylene, o-xylene, and ethylbenzene were measured at the Nan-ji-do landfill site during the spring and fall season of 2000. the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VOCs were investigated over varying time scale. According to our study, the mean concentration of those species were computed to be 1.65$\pm$2.68(benzene), 9.62$\pm$9.32(toluene), 1.84$\pm$2.90(m, p-xylene), 0.83$\pm$1.43(o-xylene), and 1.17$\pm$1.21 ppb(ethylbenzene). The VOCs levels in the study area are not distinctively higher than the level typically found in urban area that can b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various anthropogenic source processes. Inspection of their temporal trends exhibited various patterns for the diurnal(and seasonal) cycle. Although each species showed distinctive patterns in temporal distribution trends, we were able to find the strong correlations among most concurrently measured VOCs except for benzene.

  • PDF

Comparison study of SARIMA and ARGO models for in influenza epidemics prediction

  • Jung, Jihoon;Lee, Sangyeol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1075-1081
    • /
    • 2016
  • The big data analysi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researchers working in various fields because the big data has a great potential in detecting or predicting future events such as epidemic outbreaks and changes in stock prices. Reflecting the current popularity of big data analysis, many authors have proposed methods tracking influenza epidemics based on internet-based information. The recently proposed 'autoregressive model using Google (ARGO) model' (Yang et al., 2015) is one of those influenza tracking models that harness search queries from Google as well as the reports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and appears to outperform the existing method such as 'Google Flu Trends (GFT)'. Although the ARGO predicts well the outbreaks of influenz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classical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SARIMA) model can outperform the ARGO. The SARIMA model incorporates more accurate seasonality of the past influenza activities and takes less input variables into account. Our findings show that the SARIMA model is a functional tool for monitoring influenza epidemics.

Reconstruction of Terrestrial Water Storage of GRACE/GFO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Climate Data

  • Jeon, Woohyu;Kim, Jae-Seung;Seo, Ki-We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45-458
    • /
    • 2021
  •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gravimeter satellites observed the Earth gravity field with unprecedented accuracy since 2002. After the termination of GRACE mission, GRACE Follow-on (GFO) satellites successively observe global gravity field, but there is missing period between GRACE and GFO about one year. Many previous studies estimated terrestrial water storage (TWS) changes using hydrological models, vertical displacements from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bservations, altimetry, and satellite laser ranging for a continuity of GRACE and GFO data. Recently, in order to predict TWS changes, various machine learning methods are developed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ulti-linear regression. Previous studies used hydrological and climate data simultaneously as input data of the learning process. Further, they excluded linear trends in input data and GRACE/GFO data because the trend components obtained from GRACE/GFO data were assumed to be the same for other periods. However, hydrological models include high uncertainties, and observational period of GRACE/GFO is not long enough to estimate reliable TWS trends. In this study, we u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method incorporating only climate data set (temperature, evaporation, and precipitation) to predict TWS variations in the missing period of GRACE/GFO. We also make CNN model learn the linear trend of GRACE/GFO data. In most river basins considered in this study, our CNN model successfully predicts seasonal and long-term variations of TWS change.

TOMS 오존전량의 시공간 변동; 전구적인 추세 및 연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he TOMS Total Ozone; Global Trends and Profiles)

  • 유정문;정은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9-217
    • /
    • 2005
  • TOMS 월별 오존전량의 전구 자료를 이용하여, 두 기간(전기: 1979-1992년, 후기: 1997-2002년)에 대한 오존전량 추세 및 시공간 변동을 지역과 해륙 분포에 따라 상호 비교하였다. 전기에 비하여 후기의 오존전량이 0-20 N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전지구적으로 10 DU 정도 감소하였다. 오존전량의 추세는 전구적으로 전자기간에 감소(-6.30 DU/decade)를 나타냈다. 후자 기간의 오존 증가 경향은 열대 지역에서 현저하였다. 1997-2002년 기간의 오존전량에 대한 경험직교함수 분석은 준2년 진동(QBO), 준3년 진동(QTO), 엘니뇨(ENSO), 그리고 화산폭발과 관련된 시공간 변동을 반영하였다. 열대 지역에서 대류권 오존의 연직 분포는 동서방향에서 파수 1의 형태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후 및 환경변화와 관련된 성층권과 대류권 오존 변화의 원인 규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지리지형적 조건에 따른 강수량 추세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Trends According to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 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385-3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나 지리지형적 특성에 따른 강수량의 분포와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을 포함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2006년까지의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계절적 영향을 고려하여 1월, 4월, 7월 그리고 10월의 월평균 일별과 연평균 일별 강수량 추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구지역에 대해서 GIS 분석을 이용하여 지리지형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도시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지피복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평균 일별 강수량 추세는 대부분의 연구지역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4월과 10월의 강수량은 감소추세에 있고, 1월과 7월의 경우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화 영향을 고려할 때, 강수량 변화는 연별이나 7월의 경우 증가추세를 보이나 1, 4, 10월 강수량의 경우 감소추세를 보였다. 또한 도시화율이나 해안 근접성과 비교하여 연구지역의 평균고도는 연평균 및 월평균 강수량 추세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소와 인 시비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침엽 및 소지에서의 부위별 양분의 계절적 변화 및 재분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Seasonal Changes and Retranslocation of Nutrition in Foliage and Twig of Pinus rigida and Larix kaempferi)

  • 이임균;손요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4호
    • /
    • pp.199-210
    • /
    • 2004
  • 본 연구는 경기도 양평지역 내 서로 인접하여 있고 동일한 입지환경 위에 생육하고 있는 41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질소와 인 시비처리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침엽 및 소지에서의 부위별 양분의 계절적 변화 및 양분 재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엽내 질소와 인 농도는 낙엽송이 리기다소나무 당년생과 1년생 엽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수종 모두 질소와 인 농도는 소지보다 침엽에서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엽령 증가에 따른 침엽과 소지에서의 질소와 인 농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과 소지에서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적인 차이는 두 수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두 수종의 침엽내 양분의 농도는 임목 생장기에 농도가 가장 높았고 가을철엔 가장 낮아진 반면, 소지내 양분농도는 7월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계절적 경향은 두 수종 모두 가을철 낙엽기에 침엽으로부터 소지로 양분이 이동되어 축적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양분의 재분배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수종별로 양분 이용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양분 재분배율은 본 연구 결과만으로 보면 상록성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성 침엽수인 낙엽송간에 차이가 없어 잎의 행태와 양분이용효율간의 관계를 단정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시비처리 후 침엽과 소지의 양분 재분배율 변화도 일정 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아 임지의 비옥도와 양분 재분배율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낙동강 하구 갯벌 퇴적물에서 강을 통한 질산염 유입에 따른 질소순환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Nitrogen Loads and Nitrogen Cycling at Tidal Flat Sediments in Nakdong River Estuary)

  • 이지영;권지남;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120-129
    • /
    • 2012
  •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갯벌 퇴적물에서 2005년 7월부터 2006년 9월까지 퇴적물-수층을 통한 산소와 용존 무기질소 플럭스, 그리고 탈질소화율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현장 조건 수온에서 퇴적물 배양을 통해 측정된 산소 플럭스의 범위는 $-37.0{\sim}0.5mmol\;O_2\;m^{-2}\;d^{-1}$이었고, 수온이 증가할수록 퇴적물에 의한 산소소모가 많아져,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탈질소화율은 $4{\sim}2732{\mu}mol\;N\;m^{-2}\;d^{-1}$의 범위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국내 연안의 결과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산소 플럭스와 유사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질소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측정된 탈질 소화율은 수층에서 퇴적물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Isotope pairing technique에서 계산되는, 총 탈질소화 중 "수층에서 유입된 질산염을 이용하는 탈질소화($D_w$)"도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이 탈질소화의 계절변동의 원인임을 시사하였다. 여름철에 질산염농도가 높은 담수의 유입 증가가 낙동강 하구 퇴적물로의 질산염 유입과 탈질소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낙동강 하구 퇴적물에서 생지화학적 과정의 일반적인 패턴 및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측정된 여러 생지화학적 플럭스를 방향과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온과 질산염 유입 변화에 따라서 여름철에는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와 질산염 플럭스가 높게 나타나고 탈질소화도 높은 반면,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시기에는 이들 플럭스가 낮아, 갯벌 퇴적물의 생지화학적 과정이 낙동강 담수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