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difference

검색결과 694건 처리시간 0.03초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계절별 생리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Physiology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from Nohwa Island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신윤경;이원찬;김동욱;손맹현;김응오;전제천;김성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1-136
    • /
    • 2012
  • 북방전복의 계절변동에 따른 대사변화 및 에너지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2월 동안 성장, 산소소비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먹이섭취율 및 동화효율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8-23.2^{\circ}C$, 염분은 31.9-34.1 psu이었다. 북방전복의 각장은 1년산에서 36.3 mm에서 66.1 mm으로, 2년산에서는 60.6 mm에서 66.1 mm으로 성장하였으며, 육중은 각각 3.16 g에서 12.04 g과 15.8 g에서 21.5 g으로 증가하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질소배설률은 수온 상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먹이섭취율은 7월-10월 동안 높았다. 동화효율은 68-71 %으로 연령 및 계절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FG는 북방전복 1년산은 연중 +값을 보였으며, 2년산의 경우에는 7월을 제외하고 +값을 보여 연중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기간 동안 수온, 염분 등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은 없었다.

인삼의 무기 영양 흡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ptake of Mineral Nutrients by Ginseng Plant)

  • 김준호;문형태;채명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35-57
    • /
    • 1977
  • 4년생 인삼 식물을 재료로하여 계절에 따르는 영양 염류 흡수와 건물 생장량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인삼포의 토양에 시비한 영양 염류는 계절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약토구보다 무기비료 구의 잔존량이 적었다. 당년에 시비한 비료의 시비량에 따른 차이는 건물 생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단위 건물량당 영양염류의 함량은 속효성 비료인 화학비료를 시비하면 생육 초기(5월 16일)에, 지효설 비료인 약토를 시비하면 생육 후기(8월 21일)에 함량차가 나타났다. 단위 건물량당의 질고, 인산 및 가리 함량의 계절변화는 잎, 줄기, 뿌리가 5월 중순에 많은 양을 함유하였지만 6월 중순에 급감되고 그 이후는 일, 줄기에서는 걸감하고 뿌리에서는 증가되었다. 지상부의 생육기간중에는 뿌리속의 영앙 염류가 지상기관으로 전류되었지만 지상부 생육이 완료되면 흡수된 염류가 뿌리에 저장되었 다. 개체당 영양 염류함량의 계절변화는 생육이 완료된 지상부 기관에서는 그 변화가 없고 뿌리에서는 S자 곡선에 따라 생육이 완료될 때까지 증가되었다. 영양염류의 종류에 따른 흡수비로서 M/P는 높았고 N/K는 낮았다. 수광량이 많을수록 잎의 질소, 인산, 가리 함량은 낮아졌고, 줄기는 염류에 따라 함량 차를 보였다.

  • PDF

멧돼지(Sus scrofa)에 의한 농작물 피해 요인 분석 -경남 거창군 사례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rop Damage by the Wild Boar (Sus scrofa) : A case study in Geochang County, Gyeongnam Province, Korea)

  • 이성민;이은재;박희복;서창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0-146
    • /
    • 2018
  • 최근 국내 멧돼지 문제는 농작물 피해 및 도심 출몰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경남 거창군의 멧돼지에 의한 농작물 피해사례를 바탕으로 피해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 요인들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2012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 되었다. 농작물 피해 분석 결과 주로 8월과 9월 사이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벼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피해 강도는 고구마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멧돼지의 농작물 선호성과 특정시기에 대한 가용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작물 피해에 경사, 지형기복, 산림과의 거리, 수계로부터의 거리, 도로로부터의 거리, 주거지로부터의 거리의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강도에 따른 환경요인의 차이는 나타지 않아 멧돼지는 한번 피해를 끼친 농경지를 지속적으로 방문하여 피해를 누적 시키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멧돼지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곳에 멧돼지가 비선호하는 작물로 대체 재배하며 전기펜스 설치, 엽사와 포획틀을 이용한 멧돼지 개체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rrosivity of Atmospheres in the Korean Peninsula

  • Kim, Y.S.;Lim, H.K.;Kim, J.J.;Park, Y.S.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109-117
    • /
    • 2011
  •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in the middle latitude of the northern hemisphere and has a clear 4-seasons and shows the typical temperate climate. Because of seasonal winds, it is cold and dry by a northwestern wind in the winter and it is hot and humid by a southeast wind in the summer. Als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inter and the summer is large and it shows a rainy season from June to July but recently this regular trend may be greatly changed by an unusual weather phenomena. Since the Peninsula is east high west low type, the climate is complicated too. Because these geographical and climate characteristics can affect the properties of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a systematic research on atmospheric corrosion in the Peninsula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control the corrosion behavior of the industrial facilities. This paper analyzed the atmospheric corrosion factors for several environ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categorized the corrosivity of atmospheric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on the base of the related ISO standards. Annual pH values of rain showed the range of 4.5~5.5 in Korean Peninsula from 1999 to 2009 and coastal area showed relatively the low pH's rain. Annual $SO_2$ concentrations is reduced with time and its concentrations of every major cities were below the air quality standard, but $NO_2$concentration revealed a steady state and its concentration of Seoul has been over air quality standard. In 2007, $SO_2$classes of each sites were in $P_0{\sim}P_1$, and chloride classes were in $S_0{\sim}S_1$, and TOW classes were in ${\tau}_3{\sim}{\tau}_4$.That is, $SO_2$ and chloride classes were low but TOW class was high in Korean Peninsula. On the base of these environmental classes, corrosivity of carbon steel, zinc, copper, aluminium can be calculated that carbon steel was in C2-C3 classes and it was classified as low-medium, and zinc, copper, and aluminium showed C3 class and it was classified as medium.

계절 및 착유시기에 따른 원유와 분유 내 멜라토닌, 코티솔 농도 변화 (The Effects of Milking Time on Melatonin and Cortisol Concentrations in Raw Milk and Milk Powder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olstice)

  • 임예서;홍식;신용국;강신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37-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착유시간에 따른 우유 및 환원유 내 멜라토닌 및 코티솔 농도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긴장완화 및 수면의 질 개선 측면에서의 우유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명기에 비해 일출전 암기에 착유한 우유에서 멜라토닌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환원유 내 멜라토닌 농도 또한 우유와 동일한 일주기 리듬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우유에 비해 멜라토닌 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빛 이외에도 운동, 스트레스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코티솔은 착유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개체간 변이가 크지 않다고 가정하였을 때, 동지에 비해 하지에 착유한 우유 및 환원유 내 코티솔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집유 시간을 조정하여 생산한 야간 착유 우유는 내인성 멜라토닌이 풍부한 식품이며, 수면유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착유시간에 따른 원유 및 환원유 내 멜라토닌 농도의 차이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착유시간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실질적으로 우유를 섭취하였을 때, 체내의 수면유도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계절에 따른 우유 내 각 호르몬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한 개체를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진주담치 Mytilus edulis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IN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EA MUSSEL, MYTILUS EDULIS)

  • 최우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4
    • /
    • 1970
  • 경남 충무 북만산 진주담치 Mytilus edulis에 대하여 3월에서 12월까지 매월 2회씩 화학성분 조사를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 함량은 $5\~6$ 월간이 $81.3\%$로 약간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고 평균치는 $78.5\%$였다. 2. 조단백질은 9-10월중에 최대치인 $13.7\%$를 나타내었으며 평균치는 $12.0\%$인바 큰 변화를 찾아볼 수 없고, 굴 또는 다른 조개류에 비하면 그 함량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3. 지질은 평균 $2.5\%$로 계절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다. 4. 당질은 $9\~10$월중에 최대치가 약 $5\%$까지 도달하였으며 평균치는 $4.3\%$로서 다른 패류에 비해서 많은 편이다. 5. 조회분은 평균치 $1.5\%$$11\~12$월중에 최대치인 $2\%$ 내외를 나타내었고 인산염은 평균 $963mg\%$, 철분은 $188mg\%$, 칼슘은 $82mg\%$로서 다른 어패류에비하면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6. pH는 6.02-6.55 사이에서 큰 변화가 없었으나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조금 높았다. 7. 구성 아미노산중 특히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Aspartic arid, Lysine, Glycine의 순이었고 비교적 함량이 적은 것은 Valine, Proline, Arginine, Alanine, Leucine, Threonine, Serine, Isoleucine, Histidine, Tyrosine, Phenylalanine, Methionine의 순이었다. 8. 우리나라 진주담치는 9월을 정점으로 하여 $8\~10$월에 가장 영양 성분이 풍부함을 알았다.

  • PDF

오동도의 해조 군락 (PHYTOSOCIOLOGICAL STUDY OF MARINE ALGAE AT ODONG-DO)

  • 송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105-112
    • /
    • 1971
  • 1970넌 6월부터 1971넌 5월까지 여수 오동도의 2개 조사지점에서 월 2회 조사한 해조 군락은 아래와 같다. 1. 총출현종은 69종으로 녹조류 12종, 갈조류 17종 및 홍조류 40종이며, 조사 장소에 따른 출현종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2. 계절별 해조 군락은 대부분 주년 출현종으로 층위가 형성되어 출현종의 변화가 적으나 Ulva pertusa, Enteromorpha sp., Sphacelaria sp., Scytosiphon iomentaria, Colpomenia sinuosa, Sargassum thunber gii, Pterocladia tenuis, Amphiroa ephedrea, Carpopeltis affinis, Gigartina tenera, Polysiphonia yendoi, Chondria crassicaulis, Symphyocladia atiuscula등은 피도의 증감이 많았다. 3. 층위의 출현종은 대체로 변화가 적어, $200\~150cm$층은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orpha sp.등이고 $150\~100cm$층은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등이며, $100\~50cm$층은 Gigartina tenera, Pterocladia tenuis, Scytosiphcn lomentaria, Polysiphonia yendoi 등이고, 제일 아래층인 50cm 이하에는 Sargassum sagamianum, Cystophyllum sisymbrioides, Gelidium amansii, Acresorium yendoi, Microcladia elegance등으로 층위가 형성되었다. 4. A, B 두 조사지점은 100cm층을 중심으로 아래층에는 차이가 적으나 위층에는 차이가 있어, A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Polysiphonia yendoi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형성되나, B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urpha sp.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간단하였다. 5. Taniguti의 해조 군락 분류에 의하면 Myelophycus caespitosus 군단의 Gigartina intermedia-Sargassum sagaminnum군집 (Sargasseto-Gigartinetum Taniguti)에 속한다.

  • PDF

즉석섭취 샌드위치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위해분석 (Hazard Analysis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Sandwiches)

  • 박해정;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938-943
    • /
    • 2007
  •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제조공정의 특성상 생물학적 위해 중 높은 빈도로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정성적${\cdot}$정량적 검출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 편의점, 대형할인마트, 샌드위치 전문점, 개인운영제과점, 패스트푸드점, 급식소에서 판매되는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174개의 시료 중 18개, 전체 10.3%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평균 1.74 log CFU/g으로 0.30 log CFU/g에서 최대 4.08 log CFU/g까지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의 계절에 따른 검출량은 여름철(3.24 log CFU/g)이 겨울철(1.10 log CFU/g)에 비해서 3배 정도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영국 PHLS의 즉석섭취식품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본 실험의 전체 분석 대상 시료 중 95.4%가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또한 햄 치즈샌드위치에 대한 독소형성 확인 실험 결과 4.95 log CFU/g 이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증식되지 않으면 독소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샌드위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정량적 오염도 분석에 대한 본 실험 결과는 샌드위치를 포함한 즉석섭취식품의 정량적 위해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북지역 사과원의 은무늬굴나방(Lyonetia prunifoliella) 발생동향 (Recent Increase of Apple Leafminer, Lyonetia prunifoliella (H bner) on Apple Orchards in Gyeongbuk Province)

  • 최경희;이순원;이동혁;김동아;서상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20
    • /
    • 2004
  • 1992년부터 2001년까지 10년 간 경북 사과주산지 4-6개 시군의 일반대목 사과원과 1999-2001년까지 3년 5-6개 시군의 M.9왜성대목 사과원에서 은무늬굴나방의 발생동향과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1992년과 1993년의 발생과원율은 각각 10%와 25%, 피해엽율은 0.15%와 0.06%로 매우 경미하였다. 그러나, 1994년부터 2001년까지는 피해엽율이 급증하여 조사된 모든 일반대목 사과원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1996-1998년의 피해엽율이 6.28%-7.78%로 가장 높았다. M.9왜성대목 사과원에서는 3년 모두 발생과원율이 100%였으며, 누적피해엽율은 99년은 15.3%로 같은 해의 일반대목 사과원의 3.68%에 비해 높았으며, 2000년과 2001년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M.9왜성대목 사과원의 발생밀도가 높았다. 일반대목 사과원의 월별 발생과원율과 피해엽율을 조사한 결과, 9월의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M.9왜성대목 사과원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국내에서 육성된 홍로. 감홍, 추광, 화홍 등 4개 품종과 후지의 은무늬굴나방에 의한 피해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M.9왜성대목 사과원의 증가가 최근의 은무늬굴나방의 다발생과 관련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충청북도 일부지역 내 주택 실내 라돈 농도 (A Study on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Radon for Hous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Korea)

  • 지현아;유주희;김가현;원수란;김선홍;이정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68-674
    • /
    • 2019
  • Objectives: Modern people spend most of their day indoors. As the health impact of radon becomes an issue, public interest also has been growing. The primary route of potential human exposure to radon is inhalation. Long-term exposure to high levels of radon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lung cancer. Radon exposure is known to be the second-leading cause of lung cancer, following tobacco smoke. This study measures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detached houses in area A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year, cracks in the houses, the location of installed detectors, and seasonal effect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7 to April 2018 on 1,872 private households located in selected areas in northern Chungcheongbuk-do Province to figure out the year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location of detector installed and identify the factors which affect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ithin the building. Radon was measured using a manual alpha track detector (Raduet, Hungary) with a sampling period of longer than 90 days. Results: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winter within area A was surveyed to be 168.3±193.3 Bq/㎥. There was more than a 2.3 times difference between buildings built before 1979 and those built after 2010. The concentration reached 195.4±221.9 Bq/㎥ for buildings with fractures and 167.2±192.4 Bq/㎥ for buildings without fractures. It was found that detectors installed in household areas with windows exhibited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ose installed in concealed spaces. Conclusion: High concentrations of indoor radon were shown when there was a crack in the house. Also, ventilation seems to significantly affect radon concentrations because when the location of the detector in the installed site was near windows compared to an enclosed area, radon concentration variation increas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adon concentration is lower in summer because natural ventilation occurs more often than in w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