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appearanc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위도 주변해역 상괭이 (Neophocaena asiaeorientalis)의 출현과 서식생물 (Inhabitant and Appearance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n the Coastal Wido, Korea)

  • 이유원;최윤;이흥헌;황보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578-586
    • /
    • 2014
  • The seasonal appearance and distribution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was investigated with sighting survey method around Wido in West sea, Korea. Fishing survey with drag net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of inhabitants and the consignment quantity data of fisheries cooperation was collected to confirm the seasonal change of the composition and quantity of them. Finless porpoise didn't emerged around Wido in winter season, but the number of appearance in summer season amounted to 1~15 indv. for 15 observing points and the appearance frequency became lower in open sea than in inshore. There was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ppearances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and that of inhabitants. we consequently concluded that finless porpoise typically distributes from April to september, and moves to another area for wintering and food consumption from October to March.

AIS data 분석에 의한 제주도 남해안에서의 중국 어선들의 조업어장과 출현빈도 (The fishing grounds and frequency of appearance of Chinese fishing vessels obtained by analyzing AIS data in the south coast of Jeju Island)

  • 김광일;이창헌;안장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4호
    • /
    • pp.356-362
    • /
    • 2019
  • We collected AIS information on fishing vessels operating near Jeju Island, and analyzed appearance density of the Chinese fishing vessels and inferred the movements of the fishing grounds. AIS information was received from October 16, 2016 to October 16, 2017 and stored on a hard disk through a program called AisDecoder. Unauthorized fishing vessels within the Exclusive Fisheries Agreement Zone (EFAZ) operated near the EFAZ boundary, an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fishing vessels were high in the middle waters of Korea and Japan, 252 and 250 fishing zones. Chinese fishing vessels authorized to enter appeared scattered outside the Prohibiting Fishing Zone of the Large Trawlers (PFZLT), and the closer they were to the PFZLT boundary, the higher the appearance density. And the appearance of Chinese fishing vessels with a speed from 0 to 3 knots was mostly outside the EFAZ, showing high density in the waters close to the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other hand, within the EFAZ,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Chinese fishing vessels was also low and scattered. The appearance of Chinese fishing vessels with a speed from 3 to 5 knots mostly shows some variability within the EFAZ, but the frequency of appearance was high and the density was high. The seasonal appearance of Chinese fishing vessels in the waters south of Jeju Island appeared in the southwest in the autumn and then moved south and southeast of Jeju Island in the winter, and in the spring and summer. They were considered going to other fishing grounds without fishing in the waters south of Jeju Island.

은줄팔랑나비 개체군의 서식지 내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Habitat of Leptalina unicolor Population)

  • 홍성진;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23-1131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range, distribution pattern, temporal appearance, sex ratio, seasonal pattern, and size of the population of Leptalina unicolor locally inhabiting the wetland protection area in the Jaeyaksan Mountain. We found that the butterfly was distributed across four areas at 750 m above sea level and in an area of 96,000 ㎡. in the south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The discontinuous distribution of the butterflies in the meadow. According to our survey conducted from 2012 to 2014, L. unicolor occurred in May (spring) and July (summer) each year, with the male population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population. The population size estimated using the mark and recapture method on the back of the hind wing in the two years was as follows: 877±502 and 1243±800 individuals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2, respectively, and 783±429 and 506±365 individuals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4, respectively, suggesting no specific seasonal patter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conservation of the populations and habitats of L. unicolor, which are currently distributed locally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size.

천년초 줄기의 수확 시기 별 외관 및 성분 품질 특성 (The seasonal appearance and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cladode of Opuntia humifusa)

  • 김희정;김미현;장미;임태규;홍희도;이영경;김경탁;조장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2-50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종 선인장인 천년초(Opuntia humifusa)의 줄기를 계절에 따라 채취하여 외관 및 성분을 비교하였다. 계절별 시료 간 외형을 장축, 단축, 폭, 중량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측정, 비교하였으며, 색도를 측정하여 외관을 비교하였다. 외형은 겨울 천년초 줄기가 여름 천년초 줄기에 비해 작았고, 단축 대비 장축의 비가 겨울 1.39, 봄 1.67, 여름 1.71 순으로 나타났다. 중량 또한 여름 천년초 줄기가 평균 40.51 g으로 가장 무거웠다. 건조를 하지 않은 천년초 줄기 생시료의 수분함량은 여름 천년초 줄기가 86.86%로 가장 높았고, 유의수준에서 봄, 겨울 순으로 수분함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색도의 경우 L값은 여름 천년초 줄기가 73.20으로 유의적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a값과 b값은 봄 천년초 줄기가 가장 높았다. 일반성분의 함량은 여름 천년초 줄기가 조단백과 조지방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고 조회분의 경우 유의적으로 가장 높아 타 계절의 시료와 차이를 보였다. 식이섬유 함량 또한 여름 천년초 줄기가 67.18%로 가장 높았고, 봄, 겨울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그 함량이 알로에와 같은 특용작물이나 과일, 채소류, 해조류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칼슘이 4,745.09 mg%로 가장 높았고, 모든 시료가 각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계절에 따른 시료의 무기질 함량차이를 보였다.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전체 합이 여름 천년초 줄기가 3,386.36 mg%로 가장 적었고, 봄 천년초 줄기가 5,463.86 mg%로 가장 높았다.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 또한 시료 간에 다량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의 구성이 유사하였고, 구성아미노산과 유사하게 여름 천년초 줄기의 총 함량이 가장 적어 봄, 겨울의 시료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연중 수확이 가능한 천년초의 줄기가 계절에 따라 외관특성 및 성분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절에 따른 천년초 선인장 줄기의 외관특성은 생 천년초 줄기를 이용한 최소가공 제품류의 생산 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성분특성의 경우 기능성 식품을 포함한 가공제품의 제조 시 계절별로 차이를 나타내는 기능성분(식이섬유, GABA 등) 함량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진해만 동부해역에 출현하는 자치어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es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 김현지;정재묵;박종혁;허성회;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1호
    • /
    • pp.81-88
    • /
    • 2018
  • A study fo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s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was conducted using monthly larval collection by a RN80 net from October, 2010 to September, 2011. Of all the 45 speci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Clupea pallasii, Hexagrammos otakii, Pholis fangi and Engraulis japonicus. Clupea pallasii, Hexagrammos otakii, Pholis fangi in winter and examined Engraulis japonicus, Acanthogobius sp., Parablennius yatabei,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in summer appeared seasonally. Popoulation characteristic by stations was not clear seasonally and spatially, and appearance aspects of dominant species were similar by stations. Compared our results with other studies in the South Sea, dominant species and their appearance period were similar to their spawning period. Finally, the appearance period of the larvae in the South Sea was closely resulted to spawning period rather than the regional characteristic.

경남 거창군 수승대 일대의 파리류와 계절적인 발생 소장 (On the Flies Collected from Suseungdae Area, Geochang-gun, Gyeongnam, Korea and Their Seasonal Prevalence)

  • 조태호;정연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7호
    • /
    • pp.719-732
    • /
    • 2008
  • The total number of flies collected was 4,864 with sex ratio of 32.8% from Suseungdae area, Geochang-gun, Gyeongnam, Korea. The fauna of fly was 35 species consisting of 13 Calliphoridae, 12 Muscidae, 8 Sarcophagidae, 1 Dryomyzidae and 1 Anthomyiidae. The number of genus and species of Calliphoridae and Muscidae of Suseungdae area were similarly found in the mountain and residential areas, however, those of Sarcophagidae was similar with that of residential area. Calliphoridae was the most dominant family at the survey sites with 60.4% of the total collected flies, and followed Muscidae 33.3% and Sarcophagidae 6.2%. The dominant species were constituted of 83.6% of the total flies and the order of collected flies was Chrysomyia pinguis (42.2%), Limnophora sp. (10.8%), Muscina angustifrons (8.6%), Calliphora lata (8.1%), Fannia scalaris (5.5%), Lucilia caesar (3.9%), and Boettcherisca peregrina (4.2%). The seasonal prevalence of flies was from the middle of March to the end of November, and the peak time of appearance was the middle of June, middle of September and middle of October. The highest peak of prevalence was the middle of October. The similarity index of the flies was above 80%, compared to Mt. Geonheung and landfill in Geochang-gun. The number of fly species was more affected by the mean air temperature. In the comparison of the seasonal prevalence and relative abundance of 7 predominant species among 35 species, each species was found to exhibit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e pattern of species.

광릉 소리봉 초파리과의 종구성과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of Drosophilidae (Diptera) at the Mt. Soribong in Korea)

  • 김남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311-316
    • /
    • 1999
  • 소리봉(경기도 광릉)에 서식하고 있는 초파리집단의 계절적 변동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6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우점종은 Amiota okadai, Scaptomyza pallida, Hirtodrosophila sexvittata, Drosophila bizonata, D. unispina, D. brachynephros이였다. A. okadai는 4월에 제1우점종이였으며, 7월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S. pallida는 5월에 가장 점유율이 높았으나,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H. sexvittata 는 7월에 증가하였으며, 이는 서식지에서의 버섯류의 증가와 일치하였다. 한편, D. auraria complex에 속하는 D. biauraria, D. triauraria는 5월에 다수 분포하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qunaria group에 속하는 4종(D. anguraria, D. brachnephros, D. nigromaculata, D. unispina)은 8월과 9월에 우점하였다. 이처럼 계절에 따른 우점종의 변화는, 자연에 서식하는 종들이 생식시기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생태학적 지위의 중복을 피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계절에 따라서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암시한다고 하겠다.

  • PDF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문성용;오현주;서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411-426
    • /
    • 2010
  •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와 주요 분류군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5월부터 2006월 2월까지 사계절 동안 실시하였다. 사계절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전체 7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 개체수는 2,426~23,793 indiv./$m^3$ 범위였으며, 이 중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 A. omorii, A. erythraea, P. parvus s. l, 십각류 유생, Aidanosagitta crassa, 따개비 유생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의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지수는 내만 해역에서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철에 외만에 위치하는 조사해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해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 변동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과 엽록소-a 농도, N. scintillans의 대량 증식에 따라서 변동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의 세력확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한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분류 (Classification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by the Dry Weight of Plant per pelative Tiller Appearnce pates ( DW/RTAR ))

  • 이주삼;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1
    • /
    • 1991
  • Perennial ryegrass 유식물체의 가을철 생육과 1변초의 개처중 및 수량구성요소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월동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질을 션발하고 품종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1. 1 번초의 척체중은 유식물체의 개체당 경수와 유의힌 정상관을, 초세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 1번초의 개체중은 출수경중, 개체당경수, 영양경수, 출수경수, 1 경중 및 출수율과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대경수출현솔이 낮은 품종은 가을철에 분얼의 발생이 많으며 상대경수출현율이 높은품종은 봄철에 분얼의 발생이 많은 특성을 나다내었다. 4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1번초의 개체중, 초장, 출수정중, 개체당 경수, 출수경수, 1 경중 및 출수율과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내었다. 5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하여 2품종군으로 분류되었다 즉,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이 1.0 이 상의 품종에는 7 개 품종이, 1. 0 미만의 품종에는 9 개품종이 포함되었다. 6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하여 분류된 품 종군에서는 수량구성요소의 차이가 인정되었다.7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월동성을 나타내는 유효한 형질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