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abundance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초

소리도 주변 해역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Change of Shrimp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Sorido, Korea)

  • 윤호섭;서호영;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7
    • /
    • 2004
  • 소리도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매월 1회씩 사리기간중 간조시에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는 6과 16종이었으며, 그라비새우, Ρ. gravieri, 꽃새우, Τ. curvirostris, 마루자주새우, C. hakodatei, 중하, Μ. joyneri등이 연중 우점하였다. 월별 출현종수는 8월, 10월, 11월에 1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하계인 6월과 7월에 각각 8, 10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출현하였다. 종다양도 지수는 0.14∼0.82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5∼7월에는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균등도 지수에서도 마찬가지 결과였으며, 반면 9∼12월에는 비교적 높은 종다양도 지수 값을 보였다. 본 연구 해역에서 채집된 새우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과 계절종,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e Chagwi-do off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 Affan, Abu;Lee, Joon-Baek;Kim, Jun-Teck;Choi, Young-Chan;Kim, Jong-Man;Myoung, Jung-G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2호
    • /
    • pp.117-127
    • /
    • 2007
  •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abundance with seasonal variation in physicochemic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monthly at 10 stations around the Chagwi-do off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including inshore, middle shore, and offshore in the marine ranching are a from September 2004 to November 2005. Water temperature varied from 12.1 to $28.9^{\circ}C$ (average $18.8^{\circ}C$), and salinity from 28.9 to 34.9 psu (average 33.7 psu).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0.02-2.05\;{\mu}g\;L^{-1}$ (average $0.70\;{\mu}g\;L^{-1}$),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occurred in the bottom layer in April. A total of 294 phytoplankton species belonging to 10 families was identified: 182 Bacillariophyceae, 52 Dinophyceae, 9 Chlorophyceae, 12 Cryptophyceae, 6 Chrysophyceae, 4 Dictyophyceae, 13 Euglenophyceae, 6 Prymnesiophyceae, 5 Prasinophyceae, and 5 Raphidophyceae. The standing crop was $2.21-48.69\times10^4\;cells\;L^{-1}$ (average $9.23\times10^4\;cells\;L^{-1}$), and the maximum occurred in the bottom layer in April. Diatoms were most abundant throughout the year, followed by dinoflagellates and phytoflagellates. A phytoplankton bloom occurred twice: once in spring, peaking in April, and once in autumn, peaking in November. The spring bloom was represented by four Chaetoceros species and Skeletonema costatum; each contributed 10-20% of the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The autumn bloom comprised dinoflagellates, diatoms, and phytoflagellates, of which dinoflagellates were predominant. Gymnodinium conicum, Prorocentrum micans, and P. triestinum each contributed over 10% of the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여수연안에서 소형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in Coastal Waters off Yeosu)

  • 이성훈;유태식;이대규;황태용;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2-177
    • /
    • 2019
  • 여수 돌산 연안에서 소형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연구하기 2012년에 계절별로 4개의 정점에서 조사하였다. 어획된 어류는 총 7목 29과 52종이었고, 4,848개체가 어획되었다. 이 중 농어목이 12과 20종으로 가장 많은 출현 종수를 보였고, 우점종은 주둥치(2,786개체, 57.5%), 도화망둑(164개체, 3.4%), 준치(141개체, 2.9%) 순이었다.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한 계절은 2,174개체가 어획된 여름이었고, 겨울에 321개체로 가장 적은 개체가 어획되었다. 다양도 지수는 봄에 3.06으로 가장 높았고, 여름과 가을에 1.77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온은 출현 개체수 (r=0.94)와 출현종 (r=0.83)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Seasonal Abundance of Culicoides at Yongsan US Army Garrison (USAG) and Camp Humphreys USAG, Republic of Korea, 2010-2013 and 2014-2017

  • Kim, Myung-Soon;Kim, Heung Chul;Bellis, Glenn A.;Chong, Sung-Tae;Kim, Hyo-Sung;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73-280
    • /
    • 2021
  • Biting midges (Culicoides: Ceratopogonidae) were collected using New Jersey light traps at Yongsan US Army Garrison (USAG;urba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Camp Humphreys USAG (rural), Pyeongtaek, Gyeonggi-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 from May-October 2010-2013 and 2015-2017, to determin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patterns in urban and rural habitats. A total of 9,958 female (53.85%) and 8,533 male (46.15%) Culicoides comprising 16 species were collected. Overall, the most commonly collected species was Culicoides arakawae (74.3%), followed by C. circumscriptus (16.2%), C. kibunensis (2.5%), C. nasuensis (2.2%), C. clavipalpis (1.4%), and C. pallidulus (1.3%), while the remaining 10 species accounted for <2.1% of all Culicoides spp. collected. The 2 predominant species collected were C. circumscriptus (47.4%) and C. arakawae (33.4%) at Yongsan, and C. arakawae (90.4%) and C. circumscriptus (3.9%) at Camp Humphreys. The seasonal abundance of these 2 species varied between years and between sites but on average peaked in August-September for C. arakawae and June-July for C. circumscriptus. Annual variations in abundance were observed for most species collected during this study. Unusually high proportions of male specimens were observed for most species at both sites which may be due to the use of the New Jersey trap.

반폐쇄적 여자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에 따른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emi-enclosed Yeoja Bay, Korea)

  • 문성용;김희용;이미희;정진호;유세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4-65
    • /
    • 2023
  •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semi-closed Yeoja Bay, Korea from February, April to August, and November 2021. Out of a total 49 species of zooplankton were collected with a predominant of neritic copepods (mainly Paracalanus orientalis, Acartia omorii, Acartia ohtsukai, Centropages abdominalis, Ditrichocorycaeus affinis, and Oithona sp.), accounting for 58.9% of the total abundance of zooplankton. The diversity indices indicated a relatively highest in July, suggesting that diversity is influenced by seasonal temperature, N. scintillans, and neritic copepods species. A cluster analysis with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four groups of zooplankton communities. The February sample clustered into Group A, having the lowest mean total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consisting mainly of N. scintillans located the whole region. Cluster Group B from the spring season (April to May) and contained the species diversity with some neritic copepods. Cluster Group C from the summer season (June to August) mainly comprised P. orientalis, A. ohtsukai, Oithona sp., and hydromedusae. Cluster Group D from the autumn season (November) mainly comprised P. orientalis, Temora discaudata. Redundancy analysis indicated that abundanc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salinity, and pico chlorophyll-a concentr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lanktonic larvae (such as branchyura larvae) and some copepods (including A. omorii, A. ohtsukai, C. sinicus, and C. abdominalis) were significantly vulnerable to zooplankton community of temperature, salinity, and pico chlorophyll-a concentrations.

한국 남해와 동해 연안역 주요 먹이 어종의 풍도변화에 따른 삼치 개체군의 변동 (Population Variation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ccording to Its Major Prey Abundance in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김진영;김영순;김희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11-820
    • /
    • 2021
  • The population variation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ccording to its major prey abundance was analyzed using monthly catches of coastal set net fisheries in the southern waters off Gyeongsangnam-do and eastern waters off Gyeongsangbuk-do of Korea from 2006 to 2019.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and its prey species fluctuat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ime lags of +2 to -2 months between the set net fisheries in the southern and eastern waters.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revealed that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was influenced by its prey species such as hairtail and anchovy in southern waters, and common mackerel and horse mackerel in eastern waters. The model deviance explained 49% and 42% of Spanish mackerel abundance in southern and eastern water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is affected by seasonal migratory prey fish species in the coastal areas and can be linked to their northerly migration.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 I. 박테리아와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 (The Study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in Kyeonggi Bay, Korea 1. Bacteria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 양은진;최중기;현정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44-57
    • /
    • 2003
  • 경기만 수역의 표영 생태계에서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 그리고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계절 변동 및 박테리아에 대한 종속영양 미소편모류의 섭식률를 조사하기 위하여, 고정 정점에서 1997년 12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한달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박테리아 생물량과 이차 생산력은 각각 0.38$\times$$10^{9}$ ~ 3.25$\times$$10^{9}$ cells 1$^{-1}$(평균 1.19$\pm$ 0.69$\times$ $10^{9}$ cells 1$^{-1}$)와 1.51~ 20.4 cells 1$^{-1}$h$^{-1}$(평균 6.04$\pm$ 1.88$\times$$10^{6}$cells 1$^{-1}$h$^{-1}$)로 변하였으며, 5월과 9월에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은 간조와 만조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히 박테리아 생물량은 수직분포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박테리아 생산력은 저층으로 갈수록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의 계절적 분포는 용존 유기탄소의 농도와 유사한 분포 특성을 보였다. 또한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현존량 분포는 388~4,374 cells ml$^{-1}$(평균 1,344$\pm$130 cells ml$^{-1}$)로 변하였으며, 3월, 4월과 7월, 8월에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는 간조와 만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직적 분포 특성에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테리아에 대한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개체군 섭식률은 1.0x$10^{6}$~6.3$\times$$10^{6}$ bacteria 1$^{-1}$h$^{-1}$(평균 3.12$\pm$0.55$\times$$10^{6}$ bacteria 1$^{-1}$h$^{-1}$)로 나타났으며,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개체군 섭식은 박테리아 이차생산의 19.4~141.4% (평균 62.3$\pm$12.0%)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아에 대한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섭식률과 박테리아 이차 생산력에 대한 제거율은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현존량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조사수역의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은 일차적으로 엽록소-a와 용존 유기탄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3월에는 식물플랑크톤의 대량증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용존 유기탄소와 낮은 수온으로 인하여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이 낮아 식물플랑크톤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계를 제외한 시기에는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섭식압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광양만 해양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Fluctuations of Marine Viral Abundance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Gwangyang Bay)

  • 최은석;이건섭;김동균;오정균;박종범;정영재;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615-5622
    • /
    • 2012
  • 광양만의 3개의 다른 지역에서 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바이러스의 형태적 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해양바이러스는 박테리오파지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었으나, 일부는 진핵 미세조류 바이러스인 Ectocarpus siliculosus virus (EsV)와 유사하였다. 그룹 1 (폐쇄된 부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는 그룹 2 (폐쇄된 빈영양 지역) 및 그룹 3 (개방된 빈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보다 높았다. 그룹 1 바이러스의 계절적 개체수는 크게 변화하였다. 바이러스 개체수는 8월에 가장 높은 $7.33{\times}10^8ml^{-1}$에서 12월에 가장 낮은 $0.3{\times}10^8ml^{-1}$로 변화하였고, 봄과 가을에는 중간값을 유지하였다. 질소원 및 인산원의 농도는 바이러스 개체수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용존산소의 계절적 변화는 바이러스 개체수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해양바이러스 개체수가 물리화학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1999년 강진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 및 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in Gangjin Bay in 1999)

  • 허회권;김도현;안승환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46-54
    • /
    • 2002
  • 1999년 2월부터 11월까지 강진만의 16개 조사정점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격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9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량은 2,028indiv. $m^{-3}$이었다. 월별 출현량은 2월에 최대 5,496 indiv. $m^{-3}$에서 11월에 최소 78 indiv. $m^{-3}$ 사이에서 변동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는 총 19종이 동정되었는데 월평균 출현량은 42-4,159 indiv. $m^{-3}$의 범위였고 Acartia omorii, Centrophages abdominalis, Paracalanus indicus 및 A. steueri가 우점하였다. 지각류는 4월에 최고값 765 indiv. $m^{-3}$로 출현하였다. 계절별로 2월에는 요각류 A. omorii와 Oithona davisae, 4월에 요각류 A. omorii, Eurytemora pacifica와 지각류 Evadne nordmanni, Podon polyphemoides, 6월에 요각류 Tortanus dextrilobatus와 십각류의 유생, 8월에 요각류 P. indicus와 지각류 E. tergestina와 Penilia avirostris, 10월에 요각류 A. erythraea, P. indicus, 그리고 11월에 요각류 P. indicus 및 모악동물 Sagitta crassa가 우점하였다.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54-664
    • /
    • 1998
  • 1992년 3월에서 1993년 1월 사이 만입구에 설치된 소형정치망 어획 자료를 수집하여 천수만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1981$\~$82년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63종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멸치(Engraulis japonicus), 까나리 (Ammodytes penonatus), 횐베도라치 (Enedrias fangi) 및 밴댕이 (Sardinella zunasi)가 우점하였다. 봄에는 횐베도라치의 치어와 멸치, 까나리, 밴댕이 등의 성어가 대량 가입되었으며, 이 어종들은 이른 여름에 그 수가 감소하였다. 8월부터 봄에 산란부화한 부어류들의 유어가 가입하여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늦가을부터는 이 어류들이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빠져나가 생체량이 감소하였다. 본 조사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은 1981$\~$82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양적으로는 1981$\~$82년에 비하여 높았다. 이것은 1992년 봄과 가을에는 평년 수온에 비하여 약 $2^{\circ}C$ 정도가 높은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둥치 (Leiogathus nuchalis)의 증가는 수질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