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Difference

검색결과 690건 처리시간 0.031초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유전자 다형성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Gene Polymorphism and Seasonal Variation in Mood and Behavior)

  • 전혜연;이헌정;강승걸;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1호
    • /
    • pp.26-32
    • /
    • 2007
  • 목 적:유전학에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신과 영역에서는 ACE 유전자 다형성과 우울증, 우울증 치료 반응과의 연관성 등이 보고되어왔다. ACE 유전자가 인간의 다른 행동 특성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CE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 유전학적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이 연구는 297명의 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은 주요 내과적 질환과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대상자들에게서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절성 양상 평가 질문지(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를 이용하여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을 평가하였다. 결 과:세가지 ACE 유전자형에 따른 GSS 및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체중, 에너지 수준, 식욕의 계절성 척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겨울형 계절성군, 여름형 계절성군, 비계절성군에서 ACE 유전자형의 빈도와 대립유전자 빈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세가지 유전자형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6.79$, p=0.034). 또한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한 경우(D+)와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D-)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6.59$, p=0.010;odds ratio [OR]=2.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4.28). 결 론:이 연구결과는 ACE 유전자형이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함평만 무안 지역 갯벌의 식생 및 비식생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CO2 concentration and flux in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environments on the Muan tidal flat of Hampyong Bay)

  • 소윤환;강동환;권병혁;김박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7-2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함평만에 속하는 무안 지역의 갯벌에서 갈대가 서식하는 식생 지역과 갈대가 없는 비식생 지역을 6개 지점씩 선정하여 저조시에 계절별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 및 지온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관측은 2012년 5월 30일(봄)과 8월 8일(여름), 2013년 1월 31일(겨울)에 각각 수행되었다. 관측 결과,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평균농도는 전체적으로 겨울에 가장 높았고 봄, 여름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식생 지역도 식생 지역과 같은 농도변화를 보였다.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봄과 여름에 모두 양(+)의 값으로 방출(emission)의 형태를 보이나, 겨울에는 반대로 흡수(uptake)하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평균값은 봄이 가장 높았으나 여름과 거의 유사하였고, 겨울은 낮은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비식생 지역은 봄에 양의 값으로 방출의 형태를 보였고, 여름과 겨울에는 흡수하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평균값은 봄이 가장 높았고, 여름과 겨울의 차는 작게 나타났다. 연구지역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계절적인 변화특성은 봄의 경우 식생과 비식생 지역 모두 호흡에 의한 방출이 우세하였으며, 여름은 식생 지역에서 방출이 우세하였고 비식생 지역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흡수가 확인되었으나 매우 미미하였다. 겨울은 식생 지역에서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식생 지역은 흡수가 일부 확인되었으나 매우 미미하였다.

장기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팔당호 수질변화의 비모수적 추세분석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Using Long-term Monitoring Data of Water Quality in Paldang Lake)

  • 조항수;손주연;김귀다;신명철;조용철;신기식;노혜란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2호
    • /
    • pp.83-100
    • /
    • 2019
  • 본 연구는 팔당호 내 4개 지점을 대상으로 각 지점에서의 장기 수질 변화 및 지점 간 시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추세분석 방법인 Seasonal Kendall test, LOWESS와 Cross Correlation을 수행하였다. 본 분석을 위하여 2004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각 지점별 9개 수질 항목(수온, EC, DO, BOD, COD, T-N, T-P, TOC, Chl-a)의 주별 분석 자료를 사용하였다. Seasonal Kendall test 결과 수온은 증가, EC와 T-N, T-P는 전 지점 모두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LOWESS 결과 BOD 농도는 전 지점에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고 COD는 2012년부터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2012~2013년은 팔당호 전 지점에서 BOD의 개선과 함께 COD의 증가가 나타나는 전환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ross Correlation 결과, 모두 시차성 없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팔당호에 대한 보다 적합한 수질관리를 위하여 위의 전환기에 대한 발생원인 분석과 함께 수질 측정주기의 증가를 통한 보다 정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중점관리지류·지천의 계절적 오염발생특성 분석 (A Study on Seasonal Polluta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ed Tributaries in Nakdong River Basin)

  • 나승민;권헌각;신상민;손영규;신동석;임태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1-312
    • /
    • 2016
  •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중점관리하천인 35개 지류 지천 수질 및 유량을 모니터링하고 수질오염농도, 발생부하량, 계절별 오염특성과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지류중심의 오염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COD, TP, TOC 및 TN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에서 $BOD_5$, Chl_a 및 Fecal E. Coli 등은 50% 이상이 하천수질항목 II(약간좋음)등급 이하에 속하였다. 비유량(Q)은 $0.05m^3/s/km^2$ 이상 지점이 54.4%(19지점)를 차지하였고, 이 가운데 달서천, 현지천, 석교천1, 의령천1 및 대산천2 지점 등은 오염농도 역시 높아 오염물질부하량을 고려한 상세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5개 중점관리지천은 낙동왜관, 금호강, 낙동고령, 낙동창녕, 남강, 낙동밀양 및 낙동강하구언 등 7개 중권역에 속하였으며, 이 가운데 금호강과 남강 중권역은 영천댐, 가창댐, 공산댐 및 남강댐과 같은 인공댐의 영향을 받아 다른 중권역과 달리 일정한 하천 유지유량을 보임으로써 오염물질부하량도 높게 조사되었다. 계절적 오염특성을 살펴볼 때, 농도편차가 큰 수질항목은 $BOD_5$, TN, SS, 비유량(Q)이, 큰 편차가 없는 항목은 TP와 Chl_a가 관찰되었고 이는 강우특성 및 유 무기물의 분해특성이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계절별/수질항목 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일부 항목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TOC와 COD의 상관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계절별 상관관계가 높은($R2{\geq}0.5$) 수질항목들이 $BOD_5$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선택방법(Stepwise regression method)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함으로써 계절별 영향력이 높은 수질인자 및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을 제외한 봄, 여름 및 가을에 다중회귀분석이 적합하였고 봄철에는 COD, TP가, 여름철에는 Chl_a, TOC가 가을철에는 TOC 및 COD가 $BOD_5$에 영향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현업운영 가능한 서울지역의 일 최고 대기오염도 예보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perable Models Predicting Tomorrow′s Maximum Hourly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Seoul)

  • 김용준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89
    • /
    • 1997
  • In order to reduce the outbreaks of short-term high concentrations and its impacts, we developed the models which predicted tomorrow's maximum hourly concentrations of $O_3$, TSP, SO$_2$, NO$_2$ and CO. Statistical methods like multi regressions were used because it must be operated easily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47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which included observed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observed and forcasted meteorological data in 1994 at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We subdivided Seoul into 4 areas coinciding with the present ozone warning areas. 4 kinds of seasonal models were developed due to the seasonal variations of observed concentrations, and 2 kinds of data models for the unavailable case of forecasted meteorological data. By comparing the $R^2$and root mean square error(hearafter 'RMSE') of each model, we confirmed that the models including forecasted data showed higher accuracy than ones using observed only. It was also shown that the higher the seasonal mean concentrations, the larger the RMSE.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4 areal models. In case of test run using 1995's data, the models predicted well the trends of daily variation of concentrations and the days when the possibility of outbreak of high concentarion was high.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reasonable to use those models as operational ones, because the $R^2$ and RMSE of models were smaller than those of operational/research models such as in South Coast Air Basin, CA, USA.

  • PDF

서해 태안반도 연안에서 오터트롤에 채집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Taean Peninsula, in the West Sea of Korea)

  • 정경숙;차병열;임양재;권대현;황학진;조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4-273
    • /
    • 2014
  • To investigat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organism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Taean peninsula, otter trawl surveys were conducted from April 2010 to January 2011. A total of 75 species were collected, including 44 species of Pisces, 19 species of Crustacea, 6 species of Cephalopoda, 4 species of Gastropoda, and 1 species each of Bivalvia and Echinoidea. The dominant species in each season were Palaemon gravieri in spring, Charybdis bimaculata in summer, Loligo japonica in autumn, and Crangon hakodatei in winter. The number of species,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st in autumn and lowest in winter.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winter and lowest in summer. The richness index was highest in autumn and lowest in winter.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autumn. A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demersal organis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pring and winter organisms (Group 1) and summer and autumn organisms (Group 2). We det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se groups, mainly owing to Platycephalus indicus, Repomucenus koreanus, and Paralichthys olivaceus within Pisces: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Metapenaeopsis dalei, P. gravieri, and C. hakodatei within Crustacea: and L. japonica within Cephalopoda.

경주지역 외국인 관광수요 예측 (Forecasting of Foreign Tourism demand in Kyeongju)

  • 손은호;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2호
    • /
    • pp.511-533
    • /
    • 2013
  • 이 연구는 단변량 시계열 중에서 계절 아리마 모형을 이용하여 경주지역 외국인 관광객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한 시계열 월별 자료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수집하였다. 총 192개의 관측치를 분석에 사용하였는데, 성수기와 비수기의 관광객 차이가 아주 큰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측분석결과, 경주지역의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최종 예측모형은 승법계절 ARIMA(1,1,0) $(4,0,0)_{12}$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이 모형에 적용하여 미래의 경주지역의 외국인 관광객은 2011년 694천명, 2012년 715천명, 2013년 725천명, 2014년 738천명, 2015년 751천명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경주지역 외국인 관광객에게 효율적으로 관광시설을 공급함과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광정책을 수립하는 측면에서 관광관련 이해당사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Maidanak 천문대 Fairchild 486 CCD의 기본적인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FAIRCHILD 486 CCD AT MAIDANAK ASTRONOMICAL OBSERVATORY IN UZBEKISTAN)

  • 임범두;성환경
    • 천문학논총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08
  • Understanding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n astronomical instrument is a prerequisite to obtaining reliable data from the instrument. We have analyzed more than 1,000 calibration images from the Fairchild 486 CCD (hereafter the Maidanak 4k CCD system) attached to the AZT-22 1.5m telescope at Maidanak Astronomical Observatory in Uzbekistan. The Maidanak 4k CCD system supports three readout modes through 1, 2, or 4 amplifiers. In most cases observers use 4-amplifier readout mode to save time. We have tested the stability and seasonal variation of zero levels and confirm that two quadrants of the images (Amp 1 & 2) show no appreciable seasonal variation. but the other two quadrants (Amp 3 & Amp 4) show an evident seasonal variation in the bias level. The Cryo Tiger, the cooling system used at the Maidanak 4k CCD system, maintains the CCD temperature at -108'E, and effectively suppresses the dark electrons. The mean value versus the variance plot of the flat images does not show the expected relation for an ideal Poisson noise distribution and this is attributed to the large variation in quantum efficiency between different pixels. In addition, we confirm that there is no appreciable difference in gain between readout amplifiers, but there is a large variation in quantum efficiency across CCD chip especially in U. Due to the finite length of shutter opening and closing time, the effective exposure time varies across the science images. We introduce two parameters to quantify the effect of this uneven illumination and present a method to remove these effects. We also present a method to remove the interference patterns appearing in the images obtained with longer wavelength filters and investigate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point spread function.

Seasonal and Regional Effects on Milk Composition of Dairy Cows in South Korea

  • Nam, Ki-Taeg;Kim, Ki-Hyun;Nam, In-Sik;Abanto, Oliver D.;Hwang, Seong-G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537-542
    • /
    • 2009
  • For a period of over 6 years, more than 160,000 milk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seasonal temperatures and geographic regional location on milk composition in South Korea. Fat, protein, lactose, non fat milk solids (NFMS) and total solids (T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dairy cows milked in winter season than other seasons (p<0.05). In contrast, freezing point (FP), milk urea nitrogen (MUN) and somatic cell count (SC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mmer season than other seasons (p<0.05). The average SCC in the autumn season was $358{\times}10^3$/ml, which was lower than any other seasons (p<0.05). These results may be due to the changes in temperature during different seasons. Meanwhile, milk produced by dairy cows in central region had higher fat, protein, lactose, NFMS, TS and MUN and had lower SCC compared to other regions (p<0.05). Fat, TS, FP, MUN and citric acid in northeast region were lower than other regions (p<0.05). The SC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outheast region than those of other regions (p<0.05). As a result, it might be possible that the differences in feeding management in each different region may affect the milk composition. In conclusion,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milk composition is clearly influenced by both season and regional location.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development of different feeding systems, according to season and region is needed to produce high quality and satiable milk production.

한천의 Agarose 및 Agaropectin의 조성에 관한 연구 (2) Agarose 및 Agaropectin조성의 계절적인 변화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Agarose and Agaropectin in Agar-agar (2) Seasonal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Agarose and Agaropectin in Agar Prepared from Gellidium amansii)

  • 윤형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3
    • /
    • 1985
  • 한천원조의 계절별에 따른 한천질의 agarose 및 agaropectin의 조성변화와 그 조성차이가 한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져, 경낭 양산군 일광면에서 1982년 3월부터 1983년 2월까지 1년간 매월 일정한 장소에서 채취한 우뭇가사리를 시료로 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1. 한천수율에 있어서는 5월이 $31.5%$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2월이 $23.5\%$로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어 연편차는 $8\%$의 차이를 보였다. 2. agarose와 agaropectin의 조성은 동일산지의 경우에도 계절적으로 변화를 나타내어, agarose의 경우 연 2회의 극대기를 보이고 8월에 최대함량을 나타내었으며, 1월에 최소함량을 나타내었다. 3. agarose와 agaropectin의 조성비가 한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은 agarose함량이 높을수록 gel화능과 jelly 강도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 황산기함량은 agarose함량이 높을수록 적였는데 8월이 $1.52\%$로서 가장 낮았으며, 1월이 $2.84\%$로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