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uba Diving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6초

A New Species of the Genus Biemna(Demospongiae: Poecilosclerida: Desmacellidae) from Korea

  • Jeon, Yong-Jin;Sim, Chung-J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241-243
    • /
    • 2008
  • A new species of the genus Biemna(Demospongiae: Poecilosclerida: Desmacellidae), Biemna hongdoensis n. sp. was collected from Hongdo Island, Korea by SCUBA diving in 2004. B. hongdoensis n. sp. is closely related to B. megalosigma Hentshel, 1912 in their spicules, but the styles and sigmas of new species are larger than B. megalosigma's and microxeas and raphides of new species are smaller than B. megalosigma's. Also, new species has not spheres. The stubby conulose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surface of new species.

First Record of One Sessile Ctenophora, Lyrocteis imperatoris, and Its Embryos from Korea

  • Song, Jun-Im;Hwang, Su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3호
    • /
    • pp.255-259
    • /
    • 2009
  • The sessile ctenophores, Lyrocteis imperatoris Komai, 1941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Garinyeo, offshore Seogwipo of Jejudo Island by SCUBA diving on June 18, 2009. This species distributed in West North Pacific was newly recorded in Korean waters. Its embryos in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were observed in the internal brood chamber.

Three New Records of Hydroids (Cnidaria: Hydrozoa) in Korean Waters

  • Park, Jung-H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81-85
    • /
    • 2009
  • Some hydroid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10-14 m deep of Munseom (Jejudo Is.) on 22 June 2007, and from 20-25 m deep of Nagokkkottdongsan (Uljin) on 10 Jan. 2008 by SCUBA diving. Among the identified species, the following three species, Solanderia spinosa (Carter, 1892), Lafoea dumosa (Fleming, 1828) and Rhizocaulus verticillatus (Linnaeus, 1758) were turned out to be new to the Korean fauna.

수중음향을 이용한 해초 서식처(Seagrass Habitats)의 공간 및 수직 분포 추정 (Estimating Spati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eagrass Habitats Using Hydroacoustic System)

  • 강돈혁;조성호;라형술;김종만;나정열;명정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25-236
    • /
    • 2006
  • Seagrass meadows are considered as critical habitats for a wide variety of marine organisms in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In many cases, studies on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seagrass have depended on direct observations using SCUBA diving. As an alternative method fur studying seagrass distribution, an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technique has been assessed for mapping seagrass distribution in Dongdae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in September 2005. Data were collected using high frequency transducer (420 kHz split-beam), which was installed with towed body system. The system was linked to DGPS to make goo-referenced data. Additionally, in situ seagrass distribution has been observed using underwater cameras and SCUBA diving at four stations in order to compare with acoustic data. Acoustic survey was conducted along 23 transects with 3-4 blot ship speed. Seagrass beds were vertically limited to depths less than 3.5m and seagrass height ranged between 55 and 90cm at the study sites. Dense seagmss beds were mainly found at the entrance of the bay and at a flat area around the center of the bay. Although the study area was a relatively small, the vertic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seagrass were highly variable with bathymetry and region. Considering dominant species, Zostera marina L., preliminary estimation of seagrass biomass with acoustic and direct sampling data was approximately $56.55g/m^2$, and total biomass of 104 tones (coefficient variation: 25.77%) was estimated at the study area. Hydroacoustic method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to understand distribution pattern and to estimate seagrass biomass.

한국 남해연안에 서식하는 해마류의 분포와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al Reexamination and Distribution of Sea horse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 김태일;한원민;이근의;이기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59-117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sea horse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sea horses that were caught in the Southern Sea, centering on Yeosu, South Korea. Specimen collection methods The samples were collected by set net, skimming nets, dragnets, and landing nets on a boat, as well as scuba diving. A total of 128 sea horses belonging to three species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exact distribution pattern, the catch per unit effort and the population density per $1,000m^2$ were calculated for each site in the Southern Sea. The result shows the highest catch by set nets was 29 sea horses a day in Site B at Dolsan-eup, Port Impo, and the highest catch by scuba diving was 8 sea horses a day in Site B at Gijang-gun, Busan.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was 61.2 sea horses in the coast of Gijang-gun, Busan. Genetic information analysis and morph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etermination of species. As a result, four Hippocampus trimaculatus, (flat-faced sea horses), 45 Hippocampus coronatus (Crowned sea horses), and 79 Hippocampus mohnikei (Japanese sea horses) were distinguished.

진해만에서의 청어(Clupea pallasii) 산란장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Spawning Beds in Jinhae Bay, Korea)

  • 문성용;최정화;이해원;김정년;허진석;곽우석;이용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4-538
    • /
    • 2019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awning bed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ere observed by scuba diving in Jinhae Bay, Korea, with a focus on marine vegetation as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2017, the fertilized eggs of C. pallasii were mainly found attached to the leaves of algae species Carpopel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nd Acrosrium polyneurum at the rocky shore in Wonpo-dong and Jeodo. The mean density of fertilized eggs in C. pallasii spawning beds was $153,776eggs/m^2$ off Wonpo-dong and $856,430eggs/m^2$ off Jeodo, giving an estimated total of $5.345{\times}10^9$ eggs in Wonpo-dong and $3.3074{\times}10^{10}$ eggs in Jeodo. We examined spawning beds with an area of $38,619m^2$ off Wonpo-dong and $34,760m^2$ off Jeodo. The choice of spawning bed may b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marine vegetation, such as the algal diversity of rocky shore environments, which could affect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pallasii in Jinhae Bay is in January to mid-February.

한국 벽옥해면속 (보통해면강: 별해면목: 안코리니과)의 1신종 (A New Species of Genus Jaspis (Demospongiae: Astrophorida: Ancorinidae) from Korea)

  • 심정자;이경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155-159
    • /
    • 2004
  • 1994년부터 2002년까지 거문도로부터 SCUBA로 채집된 해면동물을 동정$\cdot$분류한 결과 벽옥해면속 (Jaspis)의 1종이 신종으로 밝혀졌다. 본 신종은 원도 다성해면 (Poecilastra wondoensis)으로 대공을 제외하고 표면 전체를 완전히 덮혀 있어 2종의 해면동물이 마치 한 종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신종은 골편의 형태에 있어서는 원도벽옥해면 (J. wondoensis)과 유사하지만 주대골편의 길이가 더 길고 4-5개의 대공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으며. 살아있을 때에 황금색을 띠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큰성상체의 미소골편이 있다.

한국미기록 사방연통대 나무갯지렁이 Axiothella quadrimaculata Augener, 1914 (New Record of Axiothella quadrimaculata Augener, 1914 (Polychaeta : Maldanidae) in Korea)

  • 윤성규;백상규;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
    • /
    • 1999
  • 1997년 10월 14일부터 10월 17일까지 독도의 동도와 서도 및 물개바위의 조하대 3개 지점에서 SCUBA 잠수하여 대황 (Eisenia bicyclis) 군락의 부착근 사이의 죽은 홍합껍질 내부에 서관을 붙인 대나무갯지렁이과의 한국 미기록종인 사방연통대나무갯지렁이 Axiothella quadrimaculata Augener, 1914를 채집하였기에 이를 기재하고,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 보고되는 속이므로 대나무갯지렁이과의 속 검색표도 재작성하였다. 본 종이 새롭게 보고되므로 한국산 대나무갯지렁이과는 모두 13속 18종이 된다.

  • PDF

수산물채취 잠수부의 작업특성과 잠수관련질환의 양상 (Diving patterns and diving related disease of diving fishermen in Korea)

  • 사공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1호
    • /
    • pp.139-156
    • /
    • 1998
  • 수산물채취 잠수부에서 발생하는 잠수관련질환을 예방하고, 조기치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잠수부들의 작업환경과 잠수관련질환의 발생양상을 파악하는 단면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산물채취 어업잠수부 433(서해안 130명, 남해안 220명, 동해안 29명, 기타 54명)을 대상으로 면접과 우편설문을 통하여 인구학적 특성, 취업상태, 잠수기술의 습득경로, 잠수부경력 등의 직업력, 성수기와 비수기의 작업일수, 작업수심, 작업 시기, 잠수방식, 작업횟수, 작업시간, 작업간 휴식시간, 상승시 수중체류 및 급상승의 경험 등 작업특성을 조사하고, 한해 동안 감압병에 이환된 경험과 재압치료 및 잠수관련질환 증상의 경험을 1996년 1월과 2월에 조사하였다. 잠수부들의 평균연령은 39.7세(24-58세), 남자가 92.8%, 고등학교졸업의 학력이 58.4%였다. 평균 잠수부 경력은 12.9년(2-40년), 잠수방식은 후카 70.4%, 헬멧 22.2%, 스쿠버 2.5%였다. 잠수부의 고용상태는 정규 고용 34.7%, 임시고용 54.0%였다. 잠수기술의 습득경로는 선배잠수부 48.5%, 군대 37.6%, 잠수교육기관 12.3%였다. 주된 작업시기는 4-6월이 56%로 가장 많고, 7-9월이 6.4%로 가장 적었다. 성수기의 한달 평균 작업일수는 20.3일, 비수기는 12.5일 이였다. 잠수작업횟수는 하루 5-6회 45.0%, 일회 평균작업 시간은 51.1분, 잠수간 평균휴식시간은 35.5분이었고, 잠수부의 83.6%가 상승시 수중체류를 하고 있으며 80.4%가 급상승을 경험하였다. 후카잠수부의 작업수심은 30m(43%)와 40m(40.4%), 헬멧잠수부는 30m 이하(75.0%), 스쿠버잠수부는 20m 이하(90.9%)에서 주로 작업하였다. 잠수횟수는 주로 후카잠수부가 3-6회(86.5%), 헬멧잠수부가 5-8회(79.9%), 스쿠버잠수부가 4회 이하(81.8%)였다. 잠수부의 65.0%가 지난 일년 동안에 감압병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잠수작업에 종사한 이후 조사시점까지 전체 잠수부의 31.2%가 재압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감압병의 증상으로는 근골격계 증상과 피부증상이 많았고, 배뇨장애는 39%가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혼란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단변량분석에서 남자보다 여자에서 감압병의 발생률이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압병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잠수부경력이 길수록 감압병의 발생률이 높았으며, 임시 고용에 비해 정규고용의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다. 잠수기술은 선배잠수부로부터 습득한 경우가 군대와 교육기관에서 습득한 경우 보다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다. 후카잠수부에서 비해 헬멧잠수부의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고, 스쿠버잠수부는 감압병을 경험하지 않았다. 작업수심이 깊을수록, 작업횟수가 많을수록 감압병의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급상승의 경험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하여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다. 일일 평균 40m이상 수심에서 5회 이상 반복잠수를 하는 잠수부가 22.7%, 40m이상의 수심에서 60분 이상 작업하는 잠수부가 6.1%, 5회 이상 반복잠수를 하면서 60분 이상 작업하는 잠수부가 29.1%였다. 작업 횟수가 5회 이상인 군의 감압병 발생률이 4회 이하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많은 수의 잠수부가 잠수관련질환에 이환되고 있으며, 감압규정이 무시되고 있는 잠수부의 근무여건을 고려하면 잠수관련질환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2차예방에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하며 잠수관련질환의 발생과 유병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 정기적인 건강진단제도, 잠수장비에 관한 규정 및 안전과 보건에 관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