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erotinia homoeocarpa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잔디 동전마름병의 발생정도가 다른 골프장 그린 조건에서 살균제 혼용살포에 의한 상승적 방제 효과 (Synergistic Interaction of Fungicides in Mixtur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6-101
    • /
    • 2012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잔디병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 thiophanate-methyl, chlorothalonil, trifloxystrobin, boscalid를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propiconazole과 다른 4개의 약제를 각각 혼용하여 단용처리구 대비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평균 18.3, 66.7%의 발생을 보였다. 약제의 약효는 병 발생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살균제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방제 효과는 발병도가 높았을 때보다 낮았을 때 우수하였다. 처리된 살균제 중 boscalid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살균제 혼용처리구에서는 propiconazole + thiophanate-methyl 처리구를 제외하고 단독처리구 대비상승효과가 발견되었으나, 2개 포장 모두 혼용처리구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장에서 동전마름병 방제 시 병 발생 조건에 따라 방제전략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혼용된 2종의 살균제 살포 농도 및 간격에 따른 잔디 동전마름병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n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under Different Application Rates and Intervals with Two Mixed Fungicides)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408-412
    • /
    • 2013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일반적이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잔디 병 중 하나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과 boscalid를 혼합제로 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혼합제의 약량은 기준량과 기준량의 1/2량, 2/3량으로 하였고, 살포간격은 각각 10일과 15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반복별 평균 48.3, 60.0%의 발생을 보였다. 각 처리구는 1개의 처리구(기준량의 1/2 처리구로 15일 간격 살포)를 제외하고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농약회사에서 추천하는 기준량의 농도보다 낮은 농도(기준량의 2/3 및 1/2 농도)로 15일 간격으로 살포하게 될 경우 기준량에 준하는 약효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살포 농약량, 인력,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 등을 낮추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동전마름병 방제를 위한 Tebuconazole, Chlorothalonil 및 합제 처리 (Suppression of Dollar Spot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o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after Applying Tebuconazole, Chlorothalonil and Their Mixture)

  • 김영선;임혜정;함선규;이규승;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58-165
    • /
    • 2018
  • 본 연구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발생한 동전마름병의 효율적인 방제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tebuconazole의 처리량별 동전마름병 방제율과 tebuconazole과 chlorothalonil 및 두 약제의 합제 처리 시 동전마름병 방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약제 처리 농도별 항균력 조사에서 tebuconzole과 tebuconazole+chlorothalonil 합제는 98% 이상의 S. homoeocarpa 균사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chlorothalonil는 70% 이하의 균사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Tebuconazole의 처리량별 동전마름병 방제 효과는 31.25, 62.5 및 $125a.i.\;mg\;m^{-2}$처리구에서 모두 80% 이상의 방제율을 나타내었다. Tebuconazole과 tebuconazole+chlorothalonil 합제 처리구는 80% 이상의 방제율을 나타내나, chlorothalonil 처리구는 약 70%의 방제율을 나타내었다. 살균제의 처리량과 동전마름병 방제 효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80% 이상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tebuconazole, tebuconazole+chlorothalonil 합제 및 chlorothalonil의 처리량은 각각 29.6, 132.2+142.8, 및 $157.0a.i.\;mg\;m^{-2}$으로 판단되었다.

잔디 근권에서 분리된 Actinomycetes균주의 생리학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tinomycetes Isolated from Turfgrass Rhizosphere)

  • 이정한;민규영;심규열;전창욱;곽연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48-359
    • /
    • 2015
  • 방선균을 대상으로 생물적 방제 균주를 선발한 결과 총 248개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균주의 셀룰로스 분해능력은 S11 균주와 S4 균주의 투명환의 크기는 약 1.2mm로 셀룰로스 분해 능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키틴분해 능력을 검정한 결과 S12 균주의 투명환의 크기가 2.1mm로 가장 키틴분해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kim milk agar 배지를 이용하여 15개 균주의 단백질 분해 능력을 검정한 결과 S2 균주가 접종된 배지의 투명환의 크기가 7.5mm로 단백질 분해 능력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hrome azurol S agar 배지를 이용하여 병원균에 대한 중요한 항균 기작으로 알려져 있는 siderophore 생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S1 균주의 투명환의 크기가 0.6m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발된 4개 균주가 분비하는 휘발성 물질의 달라스팟과 라지패취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능력 검정한 결과 달라스팟의 경우 S8 균주가 94.8%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hizoctonia solani AG2-2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S8 균주가 72.9%로 가장 높게 억제하였으며 다음으로 S2 균주가 62.1%로 S5 균주가 37.8%로 S12 균주가 27%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B저농도액비의 기능성향상을 위한 섬유소 분해 미생물균주탐색 (Screening of Cellulose Decomposing Microorganisms for Functional Improvement for SCB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ering) Liquid Fertilizer)

  • 임혜정;김영선;함선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8-51
    • /
    • 2011
  • 본 연구는 SCB저농도액비의 기능성향상을 위한 섬유소분해 미생물균주를 탐색하고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초물 퇴비에서 섬유소분해 미생물균주는 배양 및 형태적 특성에 따라 5개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섬유소 분해 미생물균주의 배지에 따른 균생장은 TSB배지에서 배양할 때 균의 생장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섬유소분해 미생물균주를 SCB저농도액비에 접종한 결과, 접종 후 18시간에는 균생장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4시간이 지나면서 급격히 증가하여 36시간 후에 균생장이 최고조를 이룬 뒤 48시간 이후에는 사멸기가 시작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B배지에서 보다 TSB배지에서 CDMs의 생장속도가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잔디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homoeocarpa, Rhizoctonia solani AG2-2(IV)와 Pythium spp.에서 CDMs을 첨가한 SCB 저농도액비는 각각 14.1, 11.0, 26.8%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잔디 퇴비에서 선발된 CDMs을 배양한 SCB저농도액비를 지속적으로 코스관리에 이용한다면 일부 잔디병원균에 효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물유래 천연물, TGR-N1의 잔디 진균병에 대한 방제효과 검정 (Control Activities of Natural Compound, TGR-N1, against Turfgrass Fungal Diseases in vitro and in Field)

  • 김정남;김인섭;전민구;박덕훈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3
    • /
    • 2006
  • 이 연구는 식물유래 천연물, TGR-N1의 잔디진균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In vitro실험에서 TGR-N1은 잔디진균병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TGR-N1의 500배, 1000배액은 Rhizoctonia solani AG 1-1, Rhizoctonia solani AG2-2, Rhizoctonia cerealis, Sclerotinia homoeocarpa, Colletotrichum graminicola 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ythium spp.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없었다. TGR-N1의 Rhizoctonia solani AG 1-1, Rhizoctonia solani AG2-2에 대한 포장방제 실험결과, TGR-N1 500배액의 방제가는 각각 86.1%와 83.3%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 식물유래 천연물 TGR-N1의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는 바 천연물 농약으로서의 잠재성을 보여 주었다.

잔디 주요 토양 병해에 대한 토양세균 Pseudomonas spp.의 길항 효과 (Antagonistic Effects of Pseudomonas spp. against Turfgrass Pathogenic Soil Fungi)

  • 장석원;장태현;최병진;송정희;박경숙;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의 방제가능한 생물학적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강원도 소재 골프장의 잔디 근권토양으로부터 채취한 100여개의 미생물로부터 4개의 길항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배지를 이용한 저지원 실험에서 4개의 균주는 한국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옐로우패취(Rhizoctonia cerealis), 브래운패취(R. solani AG-1(1B)), 동전마름병(Sclerotinia homoeocarpa), 그리고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 (Typhula incarnata)에 대하여 효과적이었다. 옐로우패취, 브래운패취, 동전마름병을 대상으로 온실실험 결과, 4개의 균주는 병의 종류, 기주 식물체 및 병 발생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달랐지만 한개 혹은 그 이상의 병에 대해 60% 이상을 방제가를 기록하였다. 4개의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p.로 밝혀졌다. 현재 4개의 균주는 적정 배양조건과 제제화를 위한 연구 중에 있다.

Antifungal activity of pinosylvin from Pinus densiflora on turfgrass fungal diseases

  • Lee, Dong Gu;Lee, Seong Jun;Rodriguez, Joyce P.;Kim, Ik Hwi;Chang, Taehyun;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13-218
    • /
    • 2017
  • The objective was to examine the antifungal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extract for the control of turfgrass fungal diseases.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various fractions of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 ethyl acetate (EtOAc), and n-butanol from P. densiflora were evaluated against Rhizoctonia solani AG1-1B, R. solani AG2-2IV, Sclerotinia homoeocarpa, R. cerealis, Pythium spp., and Colletotrichum graminicola. The Ch and EtOAc fractions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ythium sp. and C. graminicola in paper disc assay. The effective concentration to produce 50% mycelial inhibition ($EC_{50}$) using five discriminatory concentrations of pinosylvin (1) from the Ch fraction of P. densiflora was evaluated on R. solani AG1-1B, R. solani AG2-2IV, R. cerealis, and S. homoeocarpa. S. homoeocarpa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with the lowest mean $EC_{50}$ value ($8.426{\mu}g/mL$) among the four pathogens. Among the three Rhizoctonia pathogens, R. cerealis had the highest mean $EC_{50}$ value ($99.832{\mu}g/mL$) and R. solani AG2-2IV, with the lowest sensitivity, had the lowest $EC_{50}$ value ($39.696{\mu}g/m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inosylvin (1) from P. densiflora could be a valuable lead compound in the improvement of a novel antifungal agent.

식물병원성 진균에 항균 효과를 지닌 슈도모나스 균주의 항진균 활성 증진을 위한 배양조건의 최적화 (Antifungal Activities of Pseudomonas spp. Strains Against Plant Pathogens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 장석원;최병진;홍점규;노용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8-254
    • /
    • 2010
  • 골프 코스 잔디 뿌리부근의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4종 Pseudomonas spp.의 배양조건과 잔디에 갈색마름병의 원인이 되는 R. solani와 동전마름병의 원인이 되는 S. homoeocarp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배양조건으로는 pH 7.0으로 $20-25^{\circ}C$에서 배양할 때 생육도 우수하며 양호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량배양을 위한 기본배지로 King's B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탄소원으로 sucrose를, 질소원으로 tryptone을, 무기염류로는 $K_2HPO_4$를 첨가하였을 때 균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며 항진균 활성도 높았다. 갈색마름병과 동전마름병에 대해 전반적인 항진균 활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지역에서 생존하는 YUD-F군(P. mandelii와 P. fluorescens)의 Pseudomonas spp.가 YUD-O군(P. trivialis와 P. jessenii)의 Pseudomonas spp. 보다 항진균 활성이 보편적으로 넓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지역별 평균 기온차가 각각의 Pseudomonas spp.의 최적 생육온도와 항진균 활성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YUD-O군의 Pseudomonas spp.는 동전마름병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성을 보이지만, 갈색마름병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약한 항진균 활성을 보여주고 있다.

잔디 병해 방제를 위한 항균성 약용식물의 탐색 (Screening of Antifungal Medicinal Plants for Turfgrass Fungal Disease Control)

  • 권수민;김대호;장태현;전민구;김인섭;김익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6-181
    • /
    • 2010
  • 잔디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로 한지형 잔디에서 갈색잎마름병(Rhizoctonia solani AG1-1), 동전마름병(S. homoeocarpa), 피시움마름병(Pythium. spp.), 탄저병(C. graminicola)과 난지형 잔디에서 누른잎마름병(R. cerealis), 라이족토니아마름병 (R. solani AG2-2)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잔디 주요 병원균 6종에 대한 한약재 23종의 항진균 활성을 알아보았다.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진균 활성이 있는 한약재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한약재를 대상으로 균사생육억제 효과를 실험하여 검정하였다. 항진균 활성 시험 결과, 한약재 23종 중고삼 외 11종의 시료에서 항진균 활성이 있었으며, 균사생육 억제효과를 통한 검정에서는 10 mg/10 ml(1000배) 추출물 첨가 배지에서 잔디 병원균 6종 중 1종이라도 균사 억제율이 80% 이상인 추출물은 고삼, 울금, 대황, 황련, 족두리풀로 나타났다. 특히 고삼 추출물은 실험 대상인 잔디 병원균 6종에 대해 모두 항진균 활성이 나타났고, 울금 추출물 10 mg/10 ml(1000배), 5 mg/10 ml(2000배), 2 mg/10 ml(5000배) 첨가 배지에서 S. homoeocarpa 에 대해 100% 균사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ythium spp. 균사 억제효과가 100%인 것은 고삼, 대황, 황련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