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and Cultural Conten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3초

스큐어모피즘을 적용한 패션 에듀테크 XR 콘텐츠 연구 (Research on Fashion Edutech XR Content Applying Skeuomorphism)

  • 김향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0-567
    • /
    • 2023
  •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industrial value of a borderless service in the hyper-connected era by producing fashion content at the forefront of the cultural industry as XR content and contributing to developing fashion content for edutech.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design aesthetic theory, while the empirical proposal utilized scientific knowledge information to build a framework for 3D convergence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tent exhibitions that apply the neumorphism technique are as follows: The first is a virtual space that produces clothing culture by type. Africa, where dyeing and crafts are developed, selects a product-oriented exhibition type; Asia, where weaving and textiles are excellent, selects a random movement type; and Europe, where the evolution of clothing design over time is evident, selects a guided movement type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fashion edutech. The goal was to produce content. The second is creative reproducibility, which combines a new fashion design that embraces the aura of the original with a trendy sense. The realistic folk costume style of the original allowed for its implementation in the AR exhibition space using historical traditional style techniques such as weaving and textiles. The third is building organic, modular content. By designing and then saving/editing/arranging the basic VP zone for each style, learners and instructors can freely edit the content for each fashion class topic and create various presentations to ensure that it functions as non-face-to-face edutech content around the world.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제작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제작 단계별 형상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used for the production of celadon maebyeong inlaid with cloud-and-crane designs and changes in their morphological properties by production stage)

  • 김지혜;하지향;한민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63-84
    • /
    • 2021
  • 본 연구는 전통도자기의 제작 전과 후, 소성 전과 후에 기물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의 재현품을 성형 → 조각 → 상감 → 초벌 → 유약 → 재벌 등의 6단계로 제작하여 과학적 조사 및 3차원의 정밀한 투과 이미지 촬영으로 획득한 이미지를 세부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재현편의 제작 재료는 각각의 재료가 가진 성분에 따라 다른 광물상이 존재하며, 산화철(Fe2O3)의 함량이 높은 흑상감은 어두운 색을 나타냈고, 알루미나(Al2O3)의 함량이 높은 백상감은 백색이 나타나는 것과 같이 색상에도 영향을 준다. 재현편의 색도와 전암대자율, 주요성분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CT이미지를 통해 밀도의 차이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세조직과 흡수율, 겉보기기공률, 주요구성광물 등의 번조에 따른 특성 변화는 영상 분석에서 기물 내부의 기공 유무와 존재량, 균열의 발달과 확장으로 파악하였다.

CT(Cultural Technology)로서의 감성공학

  • 지상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 /
    • 제9권3_4호
    • /
    • pp.27-35
    • /
    • 2005
  • 문화컨텐츠의 개발과 관련된 일체의 기술을 CT라고 한다. CT는 문화컨텐츠시장을 둘러싼 여건들의 변화와 더불어 같이 변화해야 한다. 문화컨텐츠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그 변화는 다섯까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화상품 소비자들의 취향이 감각적으로 변하고 있다. 둘째, 문화상품 소비 경험이 늘어나면서 상품의 인지적(cognitive) 특성에 둔감해지고 있다. 셋째, 소비자들의 문화적 안목의 성장이 공학적 기술의 발전속도를 추월하고 있다. 넷째, 문화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컨텐츠 개발의 목표가 "성공하는 상품"에서 "실패하지 않는 상품"으로 변하고 있다. 다섯째, 문화적 다양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변화는 문화상품 개발자와 소비자들 간의 감성 차이를 크게 만들어 커다란 감성적 괴리를 만든다. CT에서 감성공학은 이런 문제에 대한 중요한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다 감성공학은 체성 감성과 심미적 감성의 배후 원리와 응용기술을 연구하는 분야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감성의 생리적 혹은 심리통계적 지표를 통한 감성측정과 감성을 유발하는 지각적 속성의 파악이 기본이 된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하려 노력한다. 문화컨텐츠 산업에 대한 몇 가지 오해 가운데 하나는 이들 분야가 반짝이는 아이디어 나 어느 개인의 재능 하나로 승부를 걸 수 있는 분야라고 믿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문화컨텐츠 산업을 면밀히 관찰해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자본이 들어가거나 세련된 마케팅 기술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에게는 부족한 요소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가운데 하나가 감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감성공학은 외국과 견주어 아직까지 나름의 경쟁력을 갖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 PDF

Analysis of Iron Production Technology of Army against Japanese through Slag from Saengsoegol Iron Production Site

  • Kim, Minjae;Chung, Kwangyong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7-329
    • /
    • 2019
  • Slag was collected from the iron-producing furnace site in Saengsoegol, Baegun mountain, where iron was manufactured by a righteous army against Japan in the Gwangyang region; then, the iron-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early modern period was investigated through scientific analysis. In the microstructure analysis results of the selected samples, iron bloom was mainly observed together with magnetite and fayalite. In the component analysis results of the compoun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urnace was built by using gangue of alkali feldspar or plagioclase series, and the ironmaking work wa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of at least 1050℃, because mullite was identified together with cristobalite and hercynite.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t was speculated that low-grade iron ores were used as raw materials, and it seemed that the yield was low, because the total Fe content of the smelting slag samples was 37.72-49.93%. It wa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a slag former was used, and it seemed that materials easily obtained nearby were used when the furnace was built, without considering the corrosion resistance. It appeared that the ironmaking work was performed at the Gwangyang Saengsoegol iron-producing furnace based on the direct ironmaking method in an environment that could escape the vigilance of the Japanese Empire to produce weapons that would be used for the resistance against Japan. It seemed that there was neither an advanced ironware production system nor a mass production system, and small-scale works were performed in short periods of time.

Study on the Iron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By-Products Found at Jiǔdiàn Iron Production Site, China

  • Bae, Chae Rin;Cho, Nam Chul;Jo, Young Hoon;Chen, Jianli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3-281
    • /
    • 2018
  • $Ji{\check{u}}di{\grave{a}}n$ iron production site in China is a relic smelting site, which in the past produced pig iron. In this study, scientific analysis of the smelting furnace and collected slag was conducted to reveal some aspects of the ancient Chinese smelting technique. A 3D model of the smelting furnace showed a narrow lower part and an upper section which increased in diameter upwards. Although the smelting furnace relic does not include the upper part and its complete shape cannot be predicted, the remaining part suggests that the furnace had a larger diameter in the central part compar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Most of the collected slag was completely vitrified. Long prismatic fayalite was observed in the matrix of some samples. The iron particles contained phosphorus, which could not be discharged during smelting work. In addition, as the $CaO/SiO_2$ ratio was 0.42 or lower i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no CaO slag former had been added. However, the ratio of $CaO/SiO_2$ to $Al_2O_3/SiO_2$ did not have a constant trend. This needs to be investigated in a further study.

충주 수룡리 원모롱이 야철지 수습 철재 및 노벽의 과학적 분석 (Scientific Analysis of Slags and Furnace Wall collected from Iron Production Site at Suryong-ri Wonmorongi in Chungju)

  • 조현경;조남철;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9-147
    • /
    • 2013
  • 충주 수룡이 원모롱이 야철지에서 수습한 슬래그와 노벽을 분석하여 제철관련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슬래그의 전철량은 36.98~44.47wt%이며 이는 고대 제철조업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철 회수율이다. 슬래그에 포함된 CaO는 노벽에 포함된 0.36wt%보다 많으므로 조재제로서 제련 시 의도적으로 첨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노벽의 경우 $Al_2O_3$의 함량이 낮아 고알루미나질의 내화점토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획인되었다. 슬래그의 미세조직과 주성분 분석을 통해 Fayalite와 Wustite가 나타난 No.1~3 슬래그는 철광석으로 제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No. 4 슬래그의 경우 $TiO_2$을 함유한 Ulvospinel이 나타나 사철을 이용하여 제련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이 지역에서는 제철 원료로서 철광석과 함께 사철도 이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노벽은 $Al_2O_3$의 함량이 낮은 일반점토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 지역 전통식품 영광굴비의 역사·문화·과학적 콘텐츠 설계 및 서비스 방안 연구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local food historical, cultural and scientific content and service of Yeonggwang gulbi)

  • 장대자;김상희;김희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1-222
    • /
    • 2016
  • 본 논문은 한국 지역 전통식품의 콘텐츠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역사, 문화, 과학적 근거 발굴과 핵심요소의 정보 체계화를 통해 명확하고 신뢰성 있는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지역전통식품의 핵심요소를 위한 정보 수집 및 분석과 통합분류를 체계화하여 영광굴비를 시범 콘텐츠로 구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한국 전통식품의 우수한 기술과 전통성을 근거기반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아시아 5개 국가의 초등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내용 비교: 외국인 근로자 가정 초등 학생들을 위해 (Analysis of Earth Science Conten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Five Asian Countries : For the Children of Foreign Workers)

  • 신동희;오가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38-50
    • /
    • 2011
  • As the rate of foreign workers increasing, the rates of their children are rising, as well. The children's native countries vary from Japan, China to Indonesia, and difficulty of learning is expected in their entering the regular education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and curriculum they had learnt. This study analyzed the science textbooks of five Asian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Korea, China, Indonesia, Thailand, and Iran-in diversified sides focusing on the content of earth science, for the children of foreign work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subject countries were compared in seven criteria-the rate of earth science in the textbooks, how units are arranged, whether the earth science contents are included, the contents highly related to their socio-cultural traits, photographs, scientific inquiries, and test items. The textbooks showed numerous differences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hildren of foreign workers would face difficulties in studies taking parts in the Korean formal education. Hereupon, this study proposes the needs of development of sub-materials for the children of foreign workers adapting to schools, and reinforcement of educating teachers for understanding children, with a national plan for the children excluded from education due to problems such as an illegal residence.

Degradation Phenomena of Wooden Pillars in the Main Hall of the Fengguo Monastery, Yixian, Liaoning, China - Scientific Investigation with XRD, IC, and FTIR Analysis -

  • Zhou, Yishan;Matsui, Toshiya;Liu, Cheng;Wang, Fei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27
    • /
    • 2020
  • The Main Hall of the Fengguo monastery in Yixian county, Liaoning province, China, is the best preserved and largest wooden Buddhist structure, typical of the Liao dynasty style, in China. However, some degradation to the timber frame of the Main Hall has been noted, and this is causing concern in terms of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the structure. In this study, wooden pillars showing the degradation phenomena of whitening, for areas in contact with the stone floor, and extensive surface damage at higher locations(mostly above 1 m) have been examined. Samples taken from wooden pillar surfaces were analyzed using X-ray powder diffraction,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ion chromatography, and pH measurements. With respect to the whitening phenomenon, we found inorganic calcium precipitates and oxalate ions, along with higher pH values. These symptoms indicated that chemical changes were taking place in response to alkaline conditions, suggesting that alkaline mixtures with calcium content in the foundations may be responsible. Regarding the upper surface-damaged areas, no valid evidence for chemical degradation was found using FTIR analysis, while damaged areas exhibited the presence of more bat guano-related materials than which were apparent in undamaged areas. The occurrence of this surface-damaged phenomenon has therefore been attributed to physical damage caused by bat activity over long periods of time.

장흥 풍길리 청자요지 출토 도자기들의 소성특성 및 재료학적 상관성 비교 연구 (Scientific Comparis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ring and Making Materials for Sherds Excavated from Celadon Kiln Site of Punggil-ri, Jangheung)

  • 한민수;이장존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2-122
    • /
    • 2020
  • 본 연구는 장흥 풍길리 출토 도자기들의 소성특성 등 제작기술과 재료학적 비교 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색차 분석결과 넓은 영역에서 분포하였으며, 유약층과 태토층의 단면 미세조직에서도 청자와 백자, 흑유자기, 도기편들이 서로 특징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성광물과 열분석을 통해 소성온도를 추정한 결과, 대부분 1100℃에서 소성된 도편과 일부는 1200℃ 이상의 고온 소성된 도편들도 있었다. 태토의 주요성분분 함량에서도 청자와 백자의 명확한 구분이 어려웠으며, 통계분석에서도 유약은 도자기의 종류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태토는 청자와 백자, 흑유자기가 유사한 1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는 원재료의 차이라기 보다는 수비와 같은 정선과정에서 일부 성분이 제거되거나 첨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양한 도자기를 제작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시도가 있었고, 도자기의 제작 기술과 재료가 안정화되지 않은 초기 단계였음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