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used for the production of celadon maebyeong inlaid with cloud-and-crane designs and changes in their morphological properties by production stage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제작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제작 단계별 형상학적 특성 변화

  • Kim, Jihy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Ha, Jihyang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Han, Minsu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김지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하지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1.03.31
  • Accepted : 2021.04.29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verse physicochemical changes that occurred in traditional Korean pottery during its production, including before and after firing, this study produced six replicas of a celadon maebyeong inlaid with cloud-and-crane desig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of shaping, carving, inlaying designs, first firing, glazing and second firing, respectively. It then conducted a scientific study of these six replicas and analyzed their images through high-resolution three-dimensional transmission imaging. The materials used for the replicas show different mineral phases and even colors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each material. For example, black inlay with a high content of iron oxide (Fe2O3) shows dark colors and white inlay with a high alumina (Al2O3) content appears whi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chromaticity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nd major components of the replicas were confirmed by the differences in the density in the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fired products such as fine structure, absorption ratio, apparent porosity,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mineral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the presence of pores and the formation of cracks inside the replicas in the image analysis.

본 연구는 전통도자기의 제작 전과 후, 소성 전과 후에 기물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의 재현품을 성형 → 조각 → 상감 → 초벌 → 유약 → 재벌 등의 6단계로 제작하여 과학적 조사 및 3차원의 정밀한 투과 이미지 촬영으로 획득한 이미지를 세부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재현편의 제작 재료는 각각의 재료가 가진 성분에 따라 다른 광물상이 존재하며, 산화철(Fe2O3)의 함량이 높은 흑상감은 어두운 색을 나타냈고, 알루미나(Al2O3)의 함량이 높은 백상감은 백색이 나타나는 것과 같이 색상에도 영향을 준다. 재현편의 색도와 전암대자율, 주요성분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CT이미지를 통해 밀도의 차이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세조직과 흡수율, 겉보기기공률, 주요구성광물 등의 번조에 따른 특성 변화는 영상 분석에서 기물 내부의 기공 유무와 존재량, 균열의 발달과 확장으로 파악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0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연구개발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윤용이, 한국도자사 고려청자의 이해, p5-9,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서울, (2007).
  2. 국립기술품질원, 요업기술원, 전통도자기 제조기술 개발(1차년도 중간보고서), p23-25, 통상산업부, 서울, (1997).
  3. 고유섭, 고려청자 우현 고유섭 전집 5, p50-56, 열화당, 파주, (2010).
  4. 장성윤, 문화재 과학적 분석-재질별 연구 사례, p14,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