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Realis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7초

한의학 이론 연구의 관점에서 살펴 본 '모형 의존적 실재론' (Investigating 'Model-Dependent Realism'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ies Research)

  • 이충열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53-360
    • /
    • 2015
  • In a essay that was published on 'Science' in December 2014 as a part of the supplement "The Art and Science of Traditional Medicine," the eastern and western medical theories a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he model-dependent realism suggested by Stephen Hawking and Leonard Mlodinow. This paper examines what the model-dependent realism is, and how it affects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es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ories. The model-dependent realism holds a meaning in that it puts traditional medical theories in a perspective of models, and allows for application of recent studies in scientific philosophy for researches in traditional medical theories. Especially, the model studies by R. Giere et al. will help elaborate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ies from a model perspective. From a model perspective, the 'visceral manifestation', 'meridian and collateral', 'qi-blood', 'eight principles' and 'constitution' theories of traditional medicine have the potentials to develop into valid models, and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y's phenomenological and holistic perspective distinguishes it from western medicine, giving it a competitive edge. In addition, the epistemological pluralism of model-dependent realism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relativism or rationalism perspective which put eastern and western medicine in opposition until now.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에 대한 '기술-과학적 방식의 생각하기':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Techno-scientific Way of Thinking' on Women's Technoscientific Practices : From Barad's Agential Realistic Perspectives)

  • 임소연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97-119
    • /
    • 2011
  • 이 논문은 여성들의 다양한 '기술과학 실행(technoscientific practices)'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시론적인 논의로서 캐런 바라드(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을 중심에 두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자 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이 구성주의 과학기술학과 페미니즘의 '접점'에 속하는 분석 대상이면서 동시에 구성주의 이론과 페미니스트 정치학 사이의 '긴장'이 드러나는 장소임을 보이고자 한다. 두 번째 절에서는 이 '긴장'을 분석의 차원에서 해소하기 위한 '생각하기'의 방식으로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제시된다. 행위적 실재론에서 행위성(agency)의 재개념화, 행위성에서 해명책임(accountabilities)으로의 전위, 장치(apparatus)의 개념 등은 특히 기술과학 실행을 분석하는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에게 유용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하는데 특히 '장치'는 '기술-과학적 방식'을 형상화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마지막 절에서는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선행 연구들로부터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에 대한 '기술-과학적 방식의 생각하기'의 세 가지 사례를 찾아볼 것이다.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따라가고, 실행에 주목하며, 분석 대상인 과학기술에 책임을 지는 방식으로 생각하기는 '여성들'의 기술과학 실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학 기술 의료 관련 실행을 분석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관한 관점 조사 (A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oints of View on Nature of Science)

  • 조정일;주기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0-209
    • /
    • 1996
  • Recent literature in science education has emphasized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teaching. The theme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element for scientific literac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orean science teachers' points of view on topics related to nature of science, such as definition of scienc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hypotheses, scientific theories and scientific laws, and their construction, scientists, and scientific methods. The relevant 13 items were selected from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VOSTS) by the authors for this study. Most teachers perceived science as an exploratory process or problem solving. Some perceived science as an application of knowledge to make this world a better place to live in. Teachers viewed scientific activities as scholastic and individualistic instead of pragmatic or collective. They did not hold clear understandings of the idea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subject to change. A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teachers thought that scientific ideas develop from hypothesis to theories, and finally to scientific laws. They did not show sound understanding of inventiveness of scientific hypotheses and theories, nor discovery of scientific laws. In summary, teachers' major points of view reflected 'realism'. It suggested that they needed to understand nature of science in the ways which it has been described in recent literature of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teach science with personal and social contexts.

  • PDF

해양과학에서 mesocosm의 적용 사례 연구: 연성저질환경연구를 위한 도구 (Mesocosm as a Scientific Tool for Marine Science: Focused on the Soft-bottom Environment)

  • 양재삼;정용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3-106
    • /
    • 2011
  • 본 연구는 mesocosm의 정의, 규모, 연구사례, 국내 외 연구동향, mesocosm 조성 시 일반적인 문제점, 해결방안을 거론하고, 끝으로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지면의 제약 때문에 주로 연성저질생태계(soft-bottom ecosystem)를 위한 mesocosm의 조성에 관련된 내용에 중점을 두었다. Mesocosm이란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형(1~1000 $m^3$)규모이며, 외부에서 먹이 공급 없이 스스로 유지가 가능하며, 환경의 일부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한 인공생태계"를 말한다. 이러한 연구는 1960년대 중반부터 해양/담수생태계, 특히 해양식물플랑크톤이 주 연구 대상이었으나, 점차 확대되어, 최근에는 독성학, 육수학, 환경학, 환경공학, 지구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흔히 사용하는 도구가 되었다. 과학적인 도구의 하나로서 mesocosm은 기본적으로, 1. 재현성(replicability), 2. 반복성(repeatability), 그리고 3.생태학적 현실성(ecological realism or accuracy)이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에 구체적으로 필요한 규모(scaling), 퇴적물과 해수의 조성, 광량, 난류(亂流), 물 교환율, 포식자 등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상세히 언급하였다. Mesocosm이라는 과학적인 도구의 미래 발전 방향은 1. 다양한 통계기법을 통한 객관성의 확보, 2. 수치모델분야와 상호 보완하여 "생태계의 살아 움직이는 모델"로서 보다 더 광범위한 적용이 될 것이다. 앞으로 독성물질에 대한 생태계의 반응 및 독성물질의 거동과 지구온난화에 대한 생태계 및 지구환경의 반응 등을 예측하는데 mesocosm은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디지털 시대: 디지털 캐릭터와 리얼리즘 -ACM 시그래프 아시아 출품작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igital Character and Realism in the Digital Age -Focused on the CG Works of the ACM SIGGRAPH Asia-)

  • 추혜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7호
    • /
    • pp.439-461
    • /
    • 2014
  • 예술은 시대마다 새로운 표현 도구를 탄생시켜 온 과학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예술 형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움직이는 이미지의 '환상성'을 내세우며 그 시작부터 과학 기술 시대를 배경으로 탄생한 영화와 유사한 영상 매체라는 점에서 기술적인 측면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성을 갖는 대표적인 예술 장르이다. 이런 이유로 애니메이션에 대한 미학적 접근은 기술매체 발전을 전제로 고찰되는 측면이 강하기도 하다. 지금의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모태가 된 컴퓨터 그래픽스 아트의 선구자인 존 휘트니는 기술적 실험을 통해 테크놀로지를 하나의 도구가 아닌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시도로 이어 나갔다. 이러한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단순히 표현을 위한 도구나 수단 뿐 아니라 예술을 바라보는 수용방식과 의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1980년대를 전후로 애니메이션은 디지털 컴퓨터 기술과 본격적인 접목으로 기술적 완성도를 앞세워 새로운 영상미학을 열게 된다.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애니메이션의 사실주의적 환영을 더욱 견고히 해나가기 위해 극사실주의적 디지털 캐릭터 구현 방식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애니메이션의 가장 대표적인 표현양식인 이미지의 왜곡이나 변형을 강조한 고전적 카툰 캐릭터 방식을 내세워 사실적 환영효과를 추구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그래프 아시아에 출품된 작품들을 토대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정 속에서 어떻게 새로운 애니메이션의 디지털 리얼리즘을 만들어 나가고 있는지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디지털 캐릭터 스타일의 수용방식을 통해 기술 변화에 따른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상호 보완적 가능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박사학위논문에 나타난 간호학 탐구경향 (Trends of Nursing Science Inquiry in Doctoral Dissertations)

  • 김의숙;김광숙;김대란;김은정;성경미;신현숙;신혜경;이영자;정석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15-323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inquiry in the discipline of nursing by analyzing doctoral dissertations. Method: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277 doctoral dissertations from five universities in Korea. The framework for the study was derived from Kim's(l993) alternative linkage among philosophy, theory, and method in nursing science. Result: Of the 277 disserta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3 types of linkages out of a possible 54 types. Most of the dissertations (128 of 277) were done within the linkage of realism/etic/quantitative/explanatory knowledge type. Of the 218 dissertations within scientific realism, 42 were within relativism, and 17 within practicism. There were 134 dissertations of the explanatory knowledge type, 112 descriptive ones, and 31 prescriptive ones. Studies done within the etic quantitative methodology included 209 dissertations and within the emic perspective, 43 with qualitative methodology, and 7 with quantitativ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alternative linkages for nursing practice and this will lead to expanding nursing knowledge.

암 환자의 피로에 관한 문헌 분석 (An Analytical Review on Fatigue of Cancer Patients)

  • 이윤정;김달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97-90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nd address the state of the knowledge development and the nature of knowledge regarding fatigue.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63 fatigue related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01. The analysis schema was 'Alternative linkages among philosophy, theory, and method for nursing science' (Kim, 1993). Result: The 63 articles had been studied only within 5 types among all 96 types of linkages. Most of the articles (59 among 63 articles) had been studied within scientific realism and deductive logic. Fifty-three articles among 59 articles were the type of explanatory and predictive theory, grasping reality by the etic method on the controlled sett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more development of knowledge regarding fatigue with various logics, especially with discovery logic such as inductive and retroductive or methods in multiple designs on various subjects under various philosophy needed for nursing practice.

반 프라쎈의 경험동등성 논변과 시공간에 대한 해석 (Van Fraassen on Empirical Equivalence Argument and Interpretations of Space-time)

  • 양경은
    • 논리연구
    • /
    • 제15권1호
    • /
    • pp.85-107
    • /
    • 2012
  • 본 논문은 반 프라쎈의 뉴턴 시공간에 대한 해석에 기초한 경험동등성 논변을 비판한다. 필자의 주장은 반 프라쎈이 시공간에 대한 오해에서 절대속도라는 뉴턴 시공간이 가지는 여분의 구조를 통해 부적절한 비판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반 프라쎈의 경험동등성 논변은 모형의 다양한 측면을 무시한 뉴턴 시공간에 대한 부주의한 해석에 근거한다.

  • PDF

루드빅 볼츠만의 과학 방법론에 대한 역사-비판적 검토 (Critics on Ludwig Boltzmann's Methodology of Science)

  • 문장수;이우붕
    • 철학연구
    • /
    • 제117권
    • /
    • pp.57-84
    • /
    • 2011
  • 본 연구는 루드빅 볼츠만의 과학 방법론 및 물리학적 인식들에 대한 인식론적 지위 문제를 역사-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잘 알다시피, 그는 열역학의 확률론적 해석을 통해 통계 물리학의 발판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과학 방법론에 대한 많은 논문들을 발표했고 직접 철학을 강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물리학의 인식론에 대한 그의 입장은 실재론과 현상론, 유물론과 관념론, 절대적 진리관과 상대적 진리관 사이에서 배회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 및 과학 철학의 관점에서 19 세기 말에서 20 세기 초에 걸쳐 전개된 물리학의 방법론 및 인식론들에 대한 다양한 논쟁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볼츠만의 이러한 배회의 배경을 해명하면서 동시에 그에게서 볼 수 있는 일관된 과학방법론 및 인식론을 도출하여 재구성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단정적으로 말하면, 우리는 그것을 '정신-물체 동일성 이론'으로 특성화하면서, 아울러 이러한 동일성 이론은 작금의 물리학적 인식론의 바람직한 한 형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정당화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과학에 관한 인식 조사 도구를 활용한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 과학의 대상과 과학의 방법을 동시에 고려한 분석 - (The Effect of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in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 Dichotomous Analysis Considering the Method of Science and the Target of Science Simultaneously)

  • 김혜경;김경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33
    • /
    • 199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do this. this study used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studied the topic by instructional program using textbook and reference book. Experimental group studied by instructional program: (1)evaluating personally one'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using Nott and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2)studying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focusing five dimensions presented in it; (3)knowing other'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4)discussing and evaluating reflectively the various aspect about it. Because the tru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is not only to know about the method of science but also to know the target of science. We plan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struction by such dichotomous way as evaluating simultaneously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thod of science and the target of science. Therefore the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effect of instruction consisted two pairs of open-ended Questions: first pair is consisted of questions for the representation and judgement of scientific theory, second pair is consisted of questions for components and sources of scientific manipulation of the structure of scienc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by experimental group(n=75) and control group(n=77) are as follows: (1) Analysing responses about first pair of questions in dichotomous way, we identified four different patterns i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theory. And the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i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of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theory, but effective in driving out scientifically valid understanding, naturalistic realism, about scientific theory from the students having realistic aspect in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theory; (2) Analysing responses about second pair of questions in dichotomous way, we identified five different patterns in students's understanding about structure of science. And the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of understanding about structure of science, and effective in driving out scientifically valid understanding, dualistic-circular view or dualistic-circular view, about structure of science from the students having dualistic or dualistic aspect in components of structure of sc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