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8초

산업별 규제와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의 관계 탐색: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Regulations and the R&D Activities of Firms: Does the Size of the Firm Matter?)

  • 안승구;김권식;이광훈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2-80
    • /
    • 2017
  • 산업별 규제가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관하여 개별 기업단위의 정량 자료를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충분치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규제가 기업의 다양한 연구개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별히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미치는 규제의 영향력은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에 속하는 개별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산업별 규제수준을 설명변수로 하고, 연구개발활동의 투입 요소인 사내 연구개발비, 연구개발비 총액, 혁신활동 투입비, 연구개발 전담인력 수, 석사급 이상인력 수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양자의 관계를 OLS 및 2SLS 회귀분석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제조업 분야별 규제수준은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의 투입 지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와 같이 규제가 연구개발활동에 미치는 부의 효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각각에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규제의 강도에 의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의 어느 부분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경험적으로 밝히고, 규제의 영향이 산업특성이나 기업규모에 따라 달리 나타날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기업이 속한 산업은 물론 기업의 규모별로 규제가 미치는 차별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한 세심한 규제정책 수립이 요청됨을 시사하고 있다.

경기도 사물인터넷 생태계 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수립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ternet of Things(IoT) Ecosystem Analysis and Its Policy Direction in Gyeonggi Province)

  • 김명진;이지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32
    • /
    • 2016
  •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society)가 도래함에 따라 각 국가, 중앙정부와 일부지자체도 관련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지방자치단체로서 사물인터넷 관련산업의 역량이 뛰어나 능동적으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한다. 본 논문은 경기도의 사물인터넷 생태계를 산학연 중심으로 분석하고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정책수요를 파악해 올바른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데 있다. 경기도에는 사물인터넷 관련 중소기업이 디바이스분야 특히, 전자집적회로, 유무선 통신장비 제조업 등에 집중되어 있고, 대학은 경기도R&D와 중앙정부R&D로 사물인터넷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내에 위치한 중앙정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사물인터넷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각각의 혁신주체들은 협업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관련 산학연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좀 더 활발하게 작동하도록 경기도 지방자치단체는 사물인터넷 관련 산업육성을 위한 정책기반을 확보하고, 사물인터넷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사물인터넷 서비스 실현을 위한 실증지구를 지정하여 사물인터넷 적용 기회를 마련하도록 한다.

  • PDF

Exploring Near-Future Potential Extreme Events(X-Even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a Focus on Government Emergency Planning Officers FGI Results -

  • Sang-Keun Cho;Jong-Hoon Kim;Ki-Woon Kim;In-Chan Kim;Myung-Sook Hong;Jun-Chul Song;Sang-Hyuk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310-316
    • /
    • 2023
  • This study aims to predict uncertain future scenarios that may unfold in South Korea in the near future, utilizing the theory of extreme events(X-events). A group of 32 experts, consisting of government emergency planning officers, was selected as the focus group to achieve this objective.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technique, opinions were gathered from this focus group regarding potential X-events that may occur within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domains over the next 10 years. The analysis of these opinions revealed that government emergency planning officers regarded the "Obsolescence of current technology and system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cyber network paralysis as the most plausible X-event within science and technology. They also put forth challenging and intricate opinions, including the emergence of new weapon systems and ethical concerns associa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Given that X-events are more likely to emerge in unanticipated areas rather than those that are widely predic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rry significant importance. However,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is grounded in a limited group of experts,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subsequent research involving a more extensive group of experts. This research seeks to stimulate studies on extreme events at a national level and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for future X-event predictions and strategies for addressing them.

스마트도시에서 블록체인이 갖는 함의와 그 역할 (Implications and Roles of Blockchain for Smart City)

  • 조재우
    • 지역연구
    • /
    • 제37권2호
    • /
    • pp.35-48
    • /
    • 2021
  • 4차산업혁명 기술의 등장 및 발전과 함께 현대 도시는 스마트도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여러 4차산업혁명 기술 중 블록체인은 기술적 혁신성뿐 아니라 사회적 혁명성도 포함한다는 독특한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블록체인은 스마트도시가 종합적으로 발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스마트도시와 관련된 블록체인 연구나 정책은 주로 기술적인 측면에 머물고 있으며 그 이상의 잠재력은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와 블록체인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사회, 경제, 제도, 거버넌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스마트도시의 발전에 어떻게 이바지할 수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현재 각 영역에서 시범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프로젝트들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는 신원인증, 물류, 지역화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스마트도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시도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지만 아직 이들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개별로 추진되고 있을 뿐 스마트도시라는 공통된 영역에서 종합적으로 발전하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블록체인이 스마트도시에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 기업, 정부, 시민이 함께 블록체인의 지속가능성과 타 기술과의 융합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Research on the WIP-based Dispatching Rules for Photolithography Area in Wafer Fabrication Industries

  • Lin, Yu-Hsin;Tsai, Chih-Hung;Lee, Ching-En;Chiu, Chung-Ch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8권2호
    • /
    • pp.132-146
    • /
    • 2007
  • Constructing an effective production control policy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wafer fabrication factories. Most of researches focus on the input regulations of wafer fabrication. Although many of these policies have been proven to be effective for wafer fabrication manufacturing, in practical, there is a need to help operators decide which lots should be pulled in the right time and to develop a systematic way to alleviate the long queues at the bottleneck works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hotolithography workstation dispatching rule (PADR). This dispatching rule considers several characteristics of wafer fabrication and influential factors. Then utilize the weights and threshold values to design a hierarchical priority rule. A simulation model is also constr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PADR dispatching rule. The PADR performs better in throughput, yield rate, and mean cycle time than FIFO (First-In-First-Out) and SPT (Shortest Process Time).

21세기 대비 기초과학정책의 방향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ward the 21st Century))

  • 송충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1998년도 춘계정기학술대회
    • /
    • pp.6-6
    • /
    • 1998
  • 다가오는 21세기를 대비하여 많은 나라들이 정보와 지식을 확보함으로써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지식의 공급원천인 기초과학에 대해서는 그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기초과학을 국가경쟁력 강화에 어떻게 연계시키느냐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21세기를 앞둔 지금 우리의 바람직한 기초과학정책의 방향은 우리의 현실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이면서, 기초과학이 지니는 특성을 충분히 감안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21세기 우리의 기초과학정책이 추구해야 할 목표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정하고자 한다. 첫째 지식의 증진, 둘째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셋째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이다. 이 세 가지 목표는 상호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이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ⅰ) 기초과학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지원의 강화 :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은 정부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창의적 연구와 학제간 연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야 한다. (ⅱ) 연구와 교육의 연계를 통한 과학기술인력의 양성에 기여 :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연구를 통해 훌륭한 과학기술인력이 양성되어야 한다.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훌륭한 과학기술인력은 미래의 우리 나라의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ⅲ) 국제적 연계의 강화 : 우리 나라의 SCI 점유율은 1%에 불과하다. 국제적 과학기술연계를 통하여 세계의 과학기술지식에 접근하고 협력의 이익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ⅳ) 프로그램 위주의 지원방식과 분야별 지원방식의 병행 추진 : 기초과학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분야의 특성과 경제 사회적 요구를 감안하여 분야별 우선 지원을 병행하여야 한다. 분야별 우선 지원을 위해서는 분야별 전망보고서가 작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분야별 우선 지원 분야의 도출 및 이의지원은 창의적 연구에 대한 보완적 개념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선진국의 경우에도 우선 지원분야에 대한 연구비 배분은 5-10%사이이다. (ⅴ) 성과관리를 통한 지원효과의 극대화 : 기초과학의 지원에 있어서 그 성과를 특정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연구비 지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성과관리를 하여야 한다. (ⅵ) 효율적인 혁신시스템의 구축 : 혁신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연구부문과 산업부문을 연결시킬 수 있고, 새로운 분야를 담아낼 수 있는 유연한 분야분류체계를 정립하여야 하고, 둘째 연구결과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연구지원기관간 연계시스템의 구축을 구축하여야 한다.

  • PDF

기초과학연구의 연구사업비 모형설정 (A Cost Model for Basic Research Grants and Cooperative Agreements)

  • 조성표;권선국;황준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151-175
    • /
    • 1999
  • This study develops principle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sts applicable to grants and cooperative agreements for basic research. We investigated financial management policies of funding agencies and foundations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Canada, Germany, Japan and Korea. Also we surveyed opinions of researchers and research fund administrators in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our review of funding agencies and our survey, the recommended management policies for grants and cooperative agreements are as follows: (1) Cost Structure. Cost of a sponsored agreement is comprised of the allowable direct costs and allocable portion of the allowable indirect costs. Direct cost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alaries and wages, equipment, and other direct costs. (2) Salaries and Wages. Salaries and wages applied to a grant are paid for services rendered to the project during the period of performance of the particular agreement. In order to give researchers financial incentive, researcher allowance can be paid up to 30% of his/her regular salary. (3) Equipment. Any property purchased with grants which has an acquisition cost of 5,000,000 won or more per item and a normal life expectancy of two years or more is defined as equipment. Expenditures for special purpose equipment are allowable provided the acquisition of items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 supported by the grant. (4) Other Direct Costs. Other direct costs are comprised of travel (both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s, other costs. Other costs may not exceed 30% of total other direct costs. (5) Indirect Costs. Since there is no clear consensus on indirect costs and additional budget is necessary to support actual indirect costs, the practical policy at the moment is to give a research support expense in lieu of indirect costs. In the future, however, some form of actual indirect costs should be supported. This study develops principle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sts applicable to grants and cooperative agreements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other governmental agencies to give consistency and uniformity in administration of grants and cooperative agreements.

  • PDF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n Collaborative Activiti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 조용래;우청원;최종화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089-1121
    • /
    • 2017
  •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출연(연) 융합연구의 성공 핵심요소를 '협업'으로 보고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개발 목적과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서 융합연구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둘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과 그 성과를 유형화하고 새로운 분석지표를 제안한다. 셋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 특성과 그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NST 융합연구사업을 통한 융합연구 과제 수행 경험이 있는 각 출연(연) 104명의 연구책임자들에게 협업의 방식 및 정성적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업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업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업활동은 특허 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 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업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선도기술개발사업의 경제.사회적 평가방법연구

  • 김상준;임윤철;최기련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9년도 제16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6-239
    • /
    • 1999
  • Korean government has planned a large scale multidepartment-participated national R&D program to advance and improve her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level of advanced(especially G-7) countries in the forthcoming 21st century. It is called as "Highly Advanced National projects" or "G7 projects", which was initiated in 1991 with 18 sub-programs to date. It has planned to be continued until 2001 with its total fund of 4, 591 billion Won, comprised of 2, 033 billion Won from the public sector and 2, 558 billion Won from the private sector. Evaluation activities, the country has carried out to date, for national R&D programs including HAN projects are focused mainly on the assess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ults to decide that a specific program should be continued, terminated, or modified. Thus, it is necessary for national R&D programs to be evaluated socioeconomically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he nationwide economic and social impact from the program. Socioeconomic evaluation would be told how and where the program contributed to the society, and what the socioeconomic impacts are resulted from the program. It would be useful for the means of (ⅰ) fulfillment of public accountability to legitimate the program and to reveal the expenditure of pubic fund, and (ⅱ) managemental and strategical learning to giv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the making. program and policy decision making,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modeling the socioeconomic evaluation, and build up the practical socioeconomic evaluation model of the HAN projects includ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ffects. Since the HAN projects consists of 18 subprograms, it is difficult In evaluate all the subprograms simultaneously. Despite, each program is being performed under the category of HAN projects, so the common socioeconomic issues are existing, The followings are main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socioeconomic evaluation are constructed; Evaluation Perspective, Evaluation Bounds, and Evaluation Aspect. Second, based on the goals of the HAN projects, the evaluation perspectives are established as (ⅰ) the strengthening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ⅱ) the enhancement of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apability, (ⅲ)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ird, the evaluation bounds for each evaluation objective are defined to specify the affected area. Finally, the evaluation aspects for each evaluation bounds are formulated containing essential elements describing the evaluation bounds.

  • PDF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의 문제점 분석 및 기업성과에 미친 효과성 연구 (Problems of Benefit Sharing Support Policy and its Policy Effectiveness affecting the Firm Performance)

  • 이홍열;이은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37-24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성과공유제 운영 및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이 기업 성과에 미친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현 성과공유제 운영현황 문제점을 분석하고, 225개 성과공유제 도입(위탁)기업과 협력(수탁)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과공유제는 다양한 인센티브 부족에 따른 도입기업의 증가와 확산 어려움, 현금배분 등 실질적인 성과공유 미흡, 신기술 신제품 혁신유도가 어려운 경영관리시스템 모델 증가, 1차 이외 2 3차 협력사로 제도 확산 한계 등 일부 개선점이 발견되었다. 반면, 그간 정부의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은 성과공유제 도입(위탁)기업과 협력(수탁)기업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협력(수탁)기업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과제로, 협력(수탁)기업의 매출증가 또는 R&D 역량증가 등과 같은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현황과 기업성과간 상호 연관성 등의 검증을 통한 연구 수행을 통해 객관성과 정확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