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chievement

검색결과 1,821건 처리시간 0.021초

독자적 탐구방법(IIM)을 활용한 자유탐구가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Process Ski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freedom Inquiry Using IIM)

  • 이용섭;홍순원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er grades in elementary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by IIM. To verify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ive-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 the experimental group is composed of thirty-four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IIM teaching model situation. During six weeks, the IIM learning-based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 experimental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We look into detailly th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sis science process skill. In particular, The sub-factor 'Observation', 'Measurement', 'expectation'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effect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IIM teaching model was more effective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curriculu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curriculum.

  • PDF

중학교 지구과학 영역에서 POE 수업모형 적용의 효과 (The Effects of POE Model in the Earth Science Unit of Middle School)

  • 이은주;최성봉;김상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4
    • /
    • 2009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y effect of a POE model in the earth science unit of middle school(POE: 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So this report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 that POE class and teacher-oriented class have on the level of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wo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66 students and 64 students of middle school 2rd grade in Gyeongsangnamdo for this study, respectively,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rough the pretest, the level of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ere investigated. And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verified with t-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or finding out the effect of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on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the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was shown effective for improving learner science process skill. However, the POE class was found significantly effective for improving the sub-factors of operationally defining, designing investigations, graphing and interpreting data, but not effective for identifying and stating hypothesis, identifying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or finding out the effect of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on learne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e class offering the POE model was shown effective for learne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 PDF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Science at Grade 9)

  • 김현경;정진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394-407
    • /
    • 2012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과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력 미달에 속하는 학생의 비율이 8.1%로 그 비율이 높았다. 이것은 많은 수의 중학교 학생들이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이 규정한 국민으로서 갖추어야할 최소한의 과학적 소양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기초학력 미달에 속하는 학생의 비율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두 배 정도 많았다. 즉, 기초학력 미달 학생 중 남학생이 10.4%로 여학생의 5.5%보다 2배정도 높았다. 셋째, 성별에 따른 성취도 분석 결과여학생이 197.55점으로 남학생의 195.09점보다 높았다. 또한 여학생들의 표준편차가 남학생들보다 작아 여학생들의 점수가 남학생들에 비해 평균 가까이에 분포하였다. 내용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도 여학생의 정답률이 남학생의 정답률보다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모두 높았다. 뿐만 아니라 행동 영역별 분석 결과도 지식 영역의 하위 영역인 이해 이외의 모든 지식 영역과 탐구 영역의 하위 영역에서 여학생의 정답률이 남학생의 정답률보다 높았다. 끝으로, 지역별 성취도를 보면 중 소도시가 196.81점으로 가장 높았고, 대도시가 196.15점, 읍 면지역이 194.86점이었다. 한편 표준편차는 대도시가 33.73점으로 가장 컸으며, 중 소도시 33.70점, 읍 면지역 32.92점이었다. 대도시와 중 소도시의 학생들이 읍 면지역 학생들에 비해 과학과 성취도가 높긴 하지만 학생들 간의 학력 격차 또한 크게 나타났다.

  • PDF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Achievement)

  • 임희준;최경숙;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7-14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를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라 비교하였다.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에서는 학습의 책임을 학습자에게 보다 많이 부여하고, 고급 사고 수준의 활동이 포함된 과제를 학습자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은 소집단 토론을 통하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였고, 개별학습 집단은 동일한 활동지를 개별적으로 해결하였다. 전통적인 수업은 교사 설명 위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이었으며,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총 10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협동학습 집단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가 개별학습 집단이나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도 협동학습 집단이 보다 긍정적이었다. 모든 변인에서 수업 처치와 학습자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효과적이었다.

  • PDF

Differential Effect of Item Characteristics on Science Achievement Between Genders

  • Shin, Dong-Hee;Moon, Nan-Moo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2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differences between genders in science achievement. Eleventh grade, 140 female and male students were sampled from a school in Seou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pilot study, 20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main study. To sharpen our interpretations of the factors and provide some confirmation, we supplemen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a more detailed cognitive study of the items using think-aloud protocols and interviews with student test takers. The analysis of this study took into account the different item formats, contexts, and presentation sty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between multiple-choice and open-ended items. Second, male students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in multiple-choice items. Third, male students favored items presented as written texts. Fourth, in problem-solving process, female students tend to apply their science concepts, whereas male students tend to apply their everyday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indicate that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 depends heavily on item characteristics.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y Implementing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 김은주;이진숙;이훤;김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11-923
    • /
    • 2016
  • 현재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현장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2명의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활용은 '과학 수업과 평가의 통제적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으로의 이해와 '평가중심 활용에 무게'를 두고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 수업의 이정표의 의미로 성취기준을 이해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과학 수업과 평가 상황에서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과 핵심으로 층위가 나뉜다고 이해하고, 핵심 성취기준에 대한 양과 수준의 정선 문제를 제기하였다. 한편 과학과 성취기준의 활용 측면에서는 학기 초 교육과정 업무 해결을 위하여 끼워 맞추기식 양상과 평가 활동을 위한 활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관심과 교육과정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고 과학 성취기준을 정선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장학과 관련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on Academic Achievement in Turkey

  • Bae, Yejun;Sahin, Erc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75-199
    • /
    • 2021
  •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is described as an immersive argument-based science inquiry focusing particularly on learning through epistemic practices. In the literature, several previous studies indicate how academic achievemen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SWH. In addition to these previous studies, several meta-syntheses of qualitative data have been conducted on this particular topic. With these literatures in mind, a quant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ten studies (N = 724)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WH on student achievement in Turkey. To present a thoroughly detailed repor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following moderators: grade level, subject area, school location, intervention length, and report source. Overall, this study found that in Turkey, the SWH classrooms performed better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than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rooms. Additionally, the SWH is more likely to be effective regardless of grade levels, subject areas, and school locations.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Academic Library Usage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종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다양한 도서관 이용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는 S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이용과 학생들의 평점평균(GPA) 정보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차이검증은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규명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른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이용요인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학술정보 자료와 학습시설을 많이 이용하는 학생이 더 높은 등급의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Using the Interactive Electronic Models in Teaching Mathematical Concepts on Students Achievement in the University Level

  • Alzahrani, Yahya Mizhe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149-153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using interactive electronic models to teach mathematical concepts on students' achievement in the linear algebra course at university. The field sample consisted of 200 students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100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100 students. The researcher used an achievement test in some mathematical concepts related to linear algebr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0.05) between the average achievemen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post application of the achievement test, in favor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factor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is "interactive electronic forms", on the dependent factor, which is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epared test, had a very large effect. Als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0.05)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re and post applications of the achievement test, in favor of the post application. The researcher recommended the use of interactive electronic models in teaching mathematical concepts at the university level and diversifying the strategies of teaching mathematics, using technology to attract learners and raise their academic achievement.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 이미경;김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99-40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를 성별, 지역별, 성취수준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과학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는 하나 그 정도가 매우 약했으며, 초등학생보다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덜 긍적적이었다. 또한,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과학에 대하여 좀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지역간에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는 중학생들의 경우에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 초등학교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남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가 컸으며,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여학생들의 상관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는 과학 성취도가 높은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