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chievement and Interest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8초

자연탐사활동이 과학고 학생들의 환경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atural Exploration Activity on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김순식;최성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3-351
    • /
    • 2010
  • Sinc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class using textbooks or materials related to environment is limited,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for field experience is getting increased day by day. Thereby, the education tends to change into the type of education providing students with direct environmental experience. Students attending the science high school have excellent aptitude and ability for science and will lead the development of science in the future. Now it is urgent to develop various experiential programs which are helpful for them to establish desirable values on environment. However,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allow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equipped with ample environmental knowledge to improve environment sensitivity and have proper environment awareness is quite restricted as of now.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re the programs which provid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having lack of chan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good opportunities to contact nature and also play significant roles in arousing their interest in issues related with environmen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y will let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explore the natural features of Korea,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environment and ecosystem profoundly, and encourag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will of environmental practice. Thereupon, with the study subjects of 121 first and second graders at U Science High School, this article analyzed their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before and after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ir satisfaction after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analyzed i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were effective to raise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issues related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Second,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had effect upon enhancing the students' willingness of environmental practice.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their achievement in the science subject. Fourth, there also was a statistically non or weaknes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natur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preference for the science subjec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tudents preferring biology indicated higher satisfaction.

수자원 분야 공익형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Interest-based Technology Valuation Models in Water Resources Field)

  • 류승미;성태응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177-198
    • /
    • 2018
  • 최근 경제재로서 수자원(Water Resources)의 속성이 공공재 성격을 동시에 띠면서 수자원기술의 측정과 성과 관리 체계를 확보하고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 동안 수자원기술의 평가는 대부분 순현재가치(NPV)나 비용편익효과(B/C)를 바탕으로 경제성 평가(Feasibility Study) 혹은 기술(환경)영향평가(Technology Assessment)로 수행되어 왔으며, 연구성과의 확산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술 기반 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모델은 체계화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K-water(한국수자원공사)가 담당하고 있는 수자원분야의 기술적 특성에 적합한 기술평가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을 느끼고, 공익형 수자원기술에 대한 기술가치평가 모델을 개발하여 사례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적용된 K-water 평가대상기술은 공공재로서, 사회전반에 기여한 가치 및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회전반에 기여한 가치를 산출하여, 편익의 파급효과에 대한 성과 홍보자료, 혹은 비용 투입 당위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공공기술의 특성상 대규모 연구개발 투입 비용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재를 다루는 한국의 대표적 공기업인 K-water가 사업 운영상의 전략을 수립하고 투입개발 비용에 대한 성과산출 근거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K-water가 담당하고 있는 수자원분야의 기술적 특성에 적합한 기술평가 체계를 기반으로, 공익형 수자원기술에 대한 기술가치평가 모델을 개발하여 사례를 실증하였다. 특히,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의 평가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관 편익항목을 기준으로 비용계정에 매칭시킨 후, 기존의 비용-편익 접근법과 FCF(Free Cash Flow)법의 평가체계를 활용하는 'K-water 고유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K-water 연구성과 관리체계 상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동시에 "해수담수화" 관련 기술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수자원 분야 기술의 특성을 반영한 웹기반 가치평가시스템의 설계 구성로직과 평가프로세스를 분석하며, 기술통합관리시스템 상의 공익형 및 수익형 기술가치를 산출하기 위한 각 모델별 참조정보 및 DB 연계로직도 살펴본다. 종래의 타 분야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이 지닌 재무적 데이터 기반의 사업가치 산출로직에 수자원 특성이 반영된 정성평가지표의 정량화 지수를 함께 반영한 하이브리드형 평가모듈과 실제 웹기반 평가의 UI 구성화면을 검토한다. K-water의 가치평가 모형은 공익형과 수익형 수자원 기술을 구분하여 평가하게 되는데, 먼저 수익형 기술가치평가는 "기술의 경제성"이라고 하는 특성상 외부 산업유형의 수익(Profit)특성을 반영하여 화면을 설계 가능하다. 예를 들어 K-water 기술인벤토리 수도부문 기술은 수처리 멤브레인과 같이 수익 지향 기술이 다수 분포된다. 반면에, 공익형 기술가치평가는 공공의 편익(Benefit)과 비용(Cost)특성을 반영하여 화면을 설계하게 되는데, 댐과 같이 편익을 지향하는 기술을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본 고에서 제시된 비용-편익 기반의 공익형 기술가치평가 모형(K-water 고유 평가모델)에 대한 적정성 검토를 위해 사회적 수명(20년)을 지닌 수자원 기술의 편익흐름 추정으로부터 실제 사례에 적용해 보았으며, 향후에는 다양한 사업환경 특성을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별 평가모형 검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A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of sandblasted and acid-etched implants with different diameters: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during the initial healing period

  • Kim, Hyun-Joo;Kim, Yeun-Kang;Joo, Ji-Young;Lee, Ju-Yo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2호
    • /
    • pp.106-115
    • /
    • 2017
  • Purpose: The possibility of immediate or early loading has become popular in implant dentistry. A prerequisite for the immediate or early loading of an implant prosthesis is the achievement of initial stability in the implant. Moreover, in response to clinicians' interest in verifying clinical stability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point for functional loading, a non-invasive method to assess implant stability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stability of 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implants with different diameters during the early phases of healing by RFA. The secondary objective was to evaluate how the initial stability of implants varied depending on different surface modifications and other contributing factors. Methods: Thirty-five implants (25 SLA implants and 10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implants) placed in 20 subjects were included. To measure implant stability, RFA was performed at baseline and at 1, 2, 3, 4, 6, and 10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were similar for the SLA implants with different diameters and for the RBM implants. During the initial healing period, the ISQ decreased after installation and reached its lowest values at 1 week and 2 weeks, respectively. The mean ISQ values in the SLA impl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varnothing}5.0mm$ implants than in ${\varnothing}4.0mm$ implants. Men showed a higher ISQ than women. Mandibular sites showed a higher ISQ than maxillary sites. Conclusions: All implants used in this study are suitable for immediate or early loading under appropriate indications. A wider diameter and SLA surface treatment of implants could improve the stability, if the implant is fixed with at least 30 Ncm of insertion torque.

GSIS를 이용한 교량 유지보수 이력관리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Bridg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GSIS)

  • 유복모;주현승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141
    • /
    • 1999
  • 거대 토목구조물의 붕괴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모든 구조물은 자체의 결함뿐만 아니라 자연의 힘이나 인간의 실수에 의해서도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중이나 건설 후에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건설 후의 유지보수에도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건설안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여 토목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체계(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GSIS)를 이용하여 교량관리의 편이성 제공 및 유지보수 이력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종 도면과 부재에 대한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자료기반화 하였으며, 이들 자료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관련자료의 기록유지, 보완, 첨가 등을 관계형 자료기반으로 구축하여 영상이나 도면, 이력정보관리화면 등을 통하여 기록된 자료에 손쉽게 접근하여 유지보수 이력관리에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about Learning with a Humanoid Robot in Elementary School)

  • 김영애;채경화;손영준;양재명;구찬동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85-19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learning with a humanoid robot and seek for a policy implication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using humanoid robot.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as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subject through the use of humanoid robot. While the students consider Physical Education as the major subject, the teachers consider Science as the one. The students recognize that the use of humanoid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learning while the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teaching. As an expected positive effect, both of them choose an increase in interest in learning as the main effect of the use of humanoid robot, but the students, unlike the teachers, consider the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its main effect as well. Thes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use of humanoid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nd in addition,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m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한의학(韓醫學)에서 환경의학(環境醫學)의 중요성에 관한 고찰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Medicine in Korean Medicine)

  • 김훈;이상협;이해웅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6
    • /
    • 2013
  • Environmental medicine has interest in the effect of natural environment on the human health. Nature is usually understoodas' sky(天)' and 'earth(地)' which implies the harmony of humankind and nature(天地相應). As can be shown above, environment concept is the basic in Korean Medicine which originate in "Huangdi's Internal Classic" as clear medical form. According to "Huangdi's Internal Classic" man ought to abide by the nurturing 'Tao(道)' which is the way of life.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principle of balance, specially of yin(陰) and yang(陽) as is represented by the transformation of the energies from the universe. Life through the four seasons is also referred in the classic upon when four different climates have some effect on people, and the regional effect on health is also written there. Under the strict modem view, the achievement of the classic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medicine may be treated as primitive, but it was induced through long-term observation, so that once was state-of-the-art result at that time. But to solve the intrinsic weak points in tradi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and also to harmonize with modern science to contribute to national health, the way of modem research can be applied to traditional concept on environmental medicine. Natural scientific approach is to avoid superstition and incantation. Strict method approach is to enhance accuracy and reliance in clinical observation. Overall, predictability can help develop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iagnosis, treatment, recurrence, and prevention in environmental disease with holy method of Korean Medicine.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조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충남 지역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to Vitalize Culinary Education Based on Recognition Survey of Culinary Practice - Focused on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Chungnam Areas -)

  • 강경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6-139
    • /
    • 2011
  •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조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성과 학년, 졸업학교 유형에 따른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다음과 같다. 조리 실습 교육의 흥미도와 필요성은 매우 높으나, 조리 실습 교육의 실시 정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효과적인 조리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이론 교육과 실습시연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호텔요리와 기능사요리에 중점을 두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자세한 실습 시연과 보충실습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변인에 따라서는 남학생과 고학년,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실습의 비중을 높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열린 실습실의 운영, 사회 변화를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등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성취 욕구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조리 실습 교육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언플러그드 활동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c review of unplugged activity)

  • 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3-111
    • /
    • 2018
  • 언플러그드 활동의 교육적 효과 및 향후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E-article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언플러그드', '놀이중심' 등의 옵션으로 검색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에서 선정한 프로토콜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추출한 결과 최종 선정된 논문은 37편이었으며 연구현황,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어, 학습 유형, 교육 방법, 연구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언플러그드 활동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으며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흥미, 호기심, 동기 부여 측면이 가장 많았다. 문헌분석 결과를 기초로 언플러그드 활동이 지닌 특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Explor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mproving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of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서선진;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3-144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 한 초등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과학영재교육을 받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지표에 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토요일에 진행되는 과학영재수업이 끝난 후에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초등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수업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으로는 선행연구의 일반 학생에게서 나타난 '체험 중심의 탐구 활동', '학생 주도적 수업', '긍정적이고 전문적인 피드백', '탐구를 통한 지식 구성',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반영한 수업',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 활용', '모둠활동에서의 원활한 협업과 소통', '학습 내용의 적절한 난이도'의 8가지 교수-학습 경험과 과학영재 학생에게서 새롭게 나타난 '과학적 창의성 향상 전략을 통한 학습 경험', '꼬마 과학자로서의 탐구 경험', '심화 또는 속진 학습 경험', '우수한 학생과의 학습 경험', '다른 학생을 도와준 경험', '높거나 낮은 성취 경험'의 6가지 교수-학습 경험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 방안에 대한 실제적인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SW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ogramming Learning of Non-SW Majors for SW Convergence Education)

  • 서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123-132
    • /
    • 2017
  • 최근 SW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비전공자 대상의 SW교육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는 SW중심대학을 필두로 전공과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SW를 기초교육으로 필수화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수업 사례를 통해 SW 전공자와 비전공자, 비전공자의 경우 인문 계열과 이공 계열의 차이가 프로그래밍 학습 능력과 느끼는 어려움에 연관을 보이는 지를 학업 성취도 분석과 설문 및 개인 상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공에 따른 학업 성취도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인문 계열이 이공 계열보다 실습, 과제, 팀프로젝트와 같은 실제 프로그램 구현에 대한 체감 난이도는 높게 분석됐다. 상담 결과로 프로그래밍 문제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 학습과 과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친구나 튜터와의 관계 부족, 단편적 교과 지식만으로는 학습 동기를 높이기 힘듦이 주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비전공자를 위한 SW교육 운영 방향에 대해 제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