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life Adjustment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5초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아동.청소년의 사회.정서 및 인지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S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SPPREWI] on School Children's Psychosocial and Cognitive Adjustment)

  • 정연정;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5-33
    • /
    • 2009
  •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빈곤 아동 청소년 정책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하 교육복지사업)의 정당성 확인과 지속적 실시 여부를 확인해 보기 위해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교육복지사업에서 기대되는 성과지표에 기반하여 사회 정서적 발달('긍정적인 자아개념', '우울 불안 자살충동', '공격성 분노', '비행', '학교생활적응', '사회적 변화')과 인지적 발달('학습자기조절인지', '학습행동통제전략', '직업준비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사업을 운영하는 학교[즉, 실험집단]와 동일한 지역 내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비운영학교[즉, 통제집단] 간 비교 그리고 사업운영학교의 서비스 이용수준에 따른 실험집단 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교육복지사업이 성과지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열악한 환경이라는 위험요인에 대한 완충효과를 갖는 동시에 서비스제공에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학교 건강성'의 조절효과 확인을 통해 교육복지실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청소년의 적응에 대한 Beavers의 Ssytems 모델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Beavers Systems Model on Adolescent Adjustment)

  • 전귀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1호
    • /
    • pp.201-21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Beavers Systems Model on adolescent adjustment. For this study adolescents' perceptions of family health/competence family style and adolescent adjustment were utilized. The 443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the city of Taegu.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SFI I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Depression Scale Self-Esteem Scale and Delinquency Scale. Factor Analysis Cronbach's a, MANOVA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findings was as follow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 nadolescents' anxiety depression global self-esteem social-peer self esteem property predatory behaviors and school-norm avoidant behaviors by the family functioning types of BSM. Therefore the group classification by BSM was generally useful in evaluating adolescent adjustment.

  • PDF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성역할 정체감과 내외통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Personality on the Adjustment in Mid-Life)

  • 김현화;조병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0권1호통권19호
    • /
    • pp.207-228
    • /
    • 199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adjustment in the mid-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74 married persons(185 men and 189 women) who live in Seoul and are 40 to 50 years old and whose last child is in middle school. Bem's short form BSRI, Rotter(1966)'s Internal-External Scale and Hayes & Stinnett(1977)'s MYLSS were used as measurements tool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While sex-role identity of middle aged men appeared in the follwing order ; Androgynous, masculine, undifferentiated, feminine, sec-role identity of middle aged women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 Undifferentiated, androgynous, feminine, masculine. Both men and women had the moderate scores on the locus of control. The middle aged expressed a moderat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ith middle aged men reporting significantly a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did women. 2)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occuption and income hav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As for the life satisfacton of middle aged women, age, education, husband's occuption and relig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However, employment status of women, family structure, marital duration, number of child, status of last child, status of first child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Mid-life satisfaction. 3) Mid-life satisfaction of men and women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sex-role identity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Those men described as masculine and those women androgynous in the sex-role identity had the highest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ose of undifferentiated in the sex-role identity had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High levels of intern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life satisfaction. 4) The variabl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and women were education, income, sex-role identity, internal control. These 4 variables explained 27% of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and 24% of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women.

  • PDF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related to Relational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 오정아;남부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2호
    • /
    • pp.185-209
    • /
    • 2014
  •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광역시와 군소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들이 관계적 요인(부모, 교사, 친구)과 학교적응 요인(학교생활, 수업,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55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5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467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학교적응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및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 그리고 학교생활과 수업이 진로준비성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계적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고 부모와 교사관계는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친구요인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셋째, 학교적응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변인은 친구이며 학교생활이 이들의 진로준비성과 독립성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 내 진로교육 강화, 동아리 활동, 그리고 진로교육연수를 통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 임경민;박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95-20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7월 22일부터 8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B광역시, U광역시, G시 소재 8개 대학의 간호학과 1, 2학년 학생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205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학년, 건강상태, 대인관계. 희망진로, 학교성적, 가정생활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공만족도가 높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학년들이 간호대학생으로의 전공에 대한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내외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입학시부터 지도교수나 교과담당교수진과의 다양한 의사소통이나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농촌가정 자녀들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연구 (After-school activities of rural children)

  • 옥경희;김미해;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103
    • /
    • 2001
  • After-school activities were examined for 449 rural children in first through seventh grades. Childrens engagement of after-schoo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especially childrens age and behavior control ability. Findings showed a decline in amount of time spent studying and reading and a raise in going to a game-room.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ere also differed by a range of after-school activities. Children spent more time in studying and reading showed higher grades, happiness, school life. Teachers reported greater aggressive behavior and less adjustment of school life among children participating more in game related activities and hanging out. Watching TV, doing house chores and visiting friends were not variables which showed different outcomes.

  • PDF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게임중독 영향요인: 남여비교 (Factors Affecti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지영주;김경남;김영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023-503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개의 도시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남여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300명의 4, 5, 6학년 초등학생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3년 4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정도는 남학생 28.82점, 여학생 24.61점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 적응도는 남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을 14% 설명하였고, 학교생활 만족과 학교생활 적응도는 여학생의 경우 인터넷 게임 중독을 1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남여 학생들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효과가 높은 중재 기법을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구조적 관계 - S대학교 대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Impact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이은정;송영수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6호
    • /
    • pp.63-83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이 개인 발달 단계에서 중요한 시기인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나아가 학업적인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개인 특성 요인으로서의 셀프리더십과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사회적지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및 그 과정에서의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소재 4년제 S 사립대학교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271개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구성개념타탕도을 확인하고, 구조모형방정식, 부트스트랩, 소벨테스트를 통해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개인 특성 변수인 셀프리더십 및 사회 환경적 변수인 사회적지지와 대학생의 학업성취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이 학업에서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인 특성적인 요인과 사회 환경적인 요인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을 통해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성취의 중요한 선행 변수임을 증명할 뿐만 아니라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지지와 학업성취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이 새로운 교육환경에 잘 적응하여 학업적인 성취까지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인 특성요인과 사회 환경적 요인에 대한 대학차원에서의 지원 필요성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학문적,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의 관계 -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early adjustment of the infant daycare cent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aring attitude -)

  • 허영순;이주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183-19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the rearing review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for the early adjustment of 1 to 2 years old at a nursery. First, the result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how significance in the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in the top quarter of the total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econd, the level of the self-differentiation depends on the early adjustment results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elements; except for the emotional fusion that results in the higher the level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that leads to higher early adjustment. Third, the impact of affectional-autonomic and affectional-controlling attitude reflected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entire early adjustment based on the effect of the child-rearing attitude. Finally, the results on whether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fluences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transition of the infant would mediate the early adjustment-relationship as shown i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Each type of mediation effect showed an affectional-autonomic and affectional-controlling attitude. In this study, th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the infant nursery process shows the early adjustment associated with variables, the mother'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parenting attitude that effects the early adjustment that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early adjustment of child-rearing attitudes.

아동학대 및 학교에서의 폭력경험과 아동의 적응 (Child abuse, violences in school and childrens adjustment)

  • 박민정;최보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3호
    • /
    • pp.105-11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on childrens adjustment. The 451 subjects(238 boys and 213 girls) were selected from th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2nd graders of middle schools in Pohang City. The subjects reported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by peer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ys were more focused on physical.emotional abuse, physical.verbal victimization, and physical violence by teacher than girls. (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violence by teacher and peer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3) Influenc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on children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had difference among subtyp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