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 박예슬;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51
    • /
    • 2016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control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self-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5 middle school students (172 boys; 143 girl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To measure the level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e Bullying/Victimization Questionnaire was use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control were measured via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cale and the Self-Control Scale,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level increas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level whereas self-control level decreas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addition, self-control moderated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at is, the influence of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was greater when self-control was low, compared to when it was high.

아동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검증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 Children)

  • 김상우;임소라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1-104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er attachment serves as a positive emotional resource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 addition, we aim to present alternative programs to reduce school violence and promote positive peer attachment among children. Design: We utilized data from the 13th year(2020)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r this stud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by surveyors, and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1,357. Results: First,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were confirmed. Second, it can be inferred that children with isolation in peer relationships may ultimately be more vulnerable to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as their interactions in cyberspace may also be undermined, highlighting the potential impa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Third, it can be observed that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eer attachment are emotionally stable, even when exposed to school violence and cyberviolence victimization, which may enable them to regulate the degree of victimization they experience. Conclusi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cyber violence experienc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relationship, positive peer attachment is a positive resource. Therefor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in preventing and overcoming school violence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solution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피해 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Human Rights Victimiz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 이창식;박지영;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7-44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인권피해인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청소년 554명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B군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일반적 특성 중 학교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인권피해인식은 읍,면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인권피해인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감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인권피해인식이 완전매개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과 인권침해로 자아존중감이 저하된 학생들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하였다.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 관련 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Victimization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 강현주;박현주;현혜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6-15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ctors related to violence victimization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total of 54,748 multicult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Weighted percentage and means were used to describe the sample.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using SAS 9.2. Results: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d more violence victimization than Korean-origin adolescents. In both groups, middle school students, habitual drug users, and those not living with their family showed a greater risk of becoming a victim of violence. In Korean-origin adolescents, while girls and those with mid-level family economic status showed a lower risk, those who had experienced sadness or despair, suicidal ideation, smoking and problematic drinking showed a higher risk of becoming a violence victim.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ose with a lowe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 lower stress level had a higher risk of violence victimizatio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violence victimization differ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Therefore, different approaches are required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violence victimization in different populations.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 이창식;박지영;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5-43
    • /
    • 2017
  •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1274명을 대상으로 충청남도 D시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교급,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자아존중감은 성, 학교급, 가족 형태,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행복감은 성별, 학교급,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모두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초, 중학생인 경우 부분매개하였고, 고등학생인 경우 완전매개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으로 인하여 행복감이 저하된 학생들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하였다.

공군장병의 거부민감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irmen's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 박원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 장병들의 거부민감성이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과거 중 고등학교 시절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군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에 있어 위험 요소들을 찾고 이들의 심리적 적응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하는 공군 장병 126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우울, 불안,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거부민감성, 학교 폭력 피해 경험, 이들 간의 상호 작용 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거부민감성과 불안의 관계에서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의 조절 효과도 역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은 거부민감성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상호작용 패턴에 대해 단순 주효과 기울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군생활 적응의 고위험 요소이며 이들을 위한 상담적 개입의 중요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동학대 및 학교에서의 폭력경험과 아동의 적응 (Child abuse, violences in school and childrens adjustment)

  • 박민정;최보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3호
    • /
    • pp.105-11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on childrens adjustment. The 451 subjects(238 boys and 213 girls) were selected from th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2nd graders of middle schools in Pohang City. The subjects reported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by peer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ys were more focused on physical.emotional abuse, physical.verbal victimization, and physical violence by teacher than girls. (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violence by teacher and peer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3) Influenc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on children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had difference among subtypes of child abuse, teachers violence, and peer victimization.

  • PDF

학교 밖 청소년의 가정폭력피해와 또래폭력가해와의 관계: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Impact of Family Violence Victimization on Peer Violence Behavior in Out-of-School Youths :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Aggression)

  • 최은희;황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97-609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또래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의 학교 밖 청소년 169명이다.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가정폭력피해는 또래폭력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직접효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가정폭력피해와 또래폭력가해와의 관계에서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공격성의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불안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피해가 학교 밖 청소년의 또래폭력가해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가정폭력피해를 줄이기 위한 개입 및 또래폭력 예방을 위한 공격성 감소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업중단 후 학교 밖 청소년과 그 가족에 대한 신속한 개입, 가족관계 및 기능 강화, 학교 밖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강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인식 전환을 제안하였다.

가정학대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Depression)

  • 조민경;조한익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1호
    • /
    • pp.17-38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생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대경험이 많을수록 이후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의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학대는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피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가해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매개로 다시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피해자의 경우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하게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는 상호인과적인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가정학대경험이 선행할 경우 학교폭력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학대가 공격성과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가정학대가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경로를 규명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가해 예측요인 (Prediction factors for dating sexual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 이미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4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grasp the Prediction factors of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A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for 500 students from one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buk-do,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5, 2015, to October 23, 2015, by filling out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mong the 450 subjects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s, a questionnaire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was applied to 317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a friend of the opposite sex, and variables and prediction facto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sexual behavior before entering college (𝑥2=6.52, p=.011),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damage before entering college(p=.045), the experience of sexual assault before entering college (p=.007) an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p=.002) were variables related to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R=4.831, p=.007) and controlling dating partners (OR=1.349, p<.001) were predictors of dating sexual violence. Dating sexual violence experience group were compared to dating sexual violence non-experience group, the relative degree of controlling dating partners was high (t=4.25, p<.001) and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2.94, p=.004).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358, p<.001) between controlling dating partners and gender role attitude.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among colleg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health education results will emerge if the contents of the school-ag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control of dating partners, which are predicted factors of sexual violence on dating, are included in th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