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standard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학교도서관 자료기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andard of school library materia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61-91
    • /
    • 1998
  • In contemporary education, a school library is considered and valued as a vital and integral component of a school's instructional program. Especially, school library materials should contribute to execution of school curriculums through wide provision of resour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rm 'library materials' should be changed into 'library resources' with a broad meaning. And, the scope of school library materials should include printed materials, audio-visual materials, electronic materials, associated equipment and other library resources. 2. It is desirable that the minimal standards of total collection is 5 books and 3 AV for a student in elementary schools, 7 books and 5 AV for a student in middle schools, 10 books and 7 AV for a student in high schools. 3. Annual growth is 0.5 for a student in elementary schools, 1 for a student in middle schools and 1.5 copy for a student in high schools. And, the number of minimal serials is 20 titles in elementary schools, 30 titles in middle schools and 50 tides in high schools. 4. Besides, basic collection, with the advances of technology, the school library collection should include new formats and delivery systems such as CD, video discs, videotex, computer software, satellite transmission etc. 5. The recommendable annual ratio of withdrawl is 3 to 5% for update and functional materials.

  • PDF

학교도서관진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of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and Directions for Reform)

  • 장우권;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5-358
    • /
    • 2013
  • 학교도서관은 교육적 만남과 문화적 소통의 장이다. 2007년에 제정된 "학교도서관진흥법"은 기본법인 "도서관법"과의 통일성 부재, 업무주체, 전문인력 배치, 내용과 범위설정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된 과정과 법안의 제안과 개정의 목적, 주요내용을 살펴본다. 그 결과 제정된 진흥법안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교사 미 배치 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Consulting: Based on the Schools not Employing a Teacher Librarian)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35-35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특히 사서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학교도서관의 컨설팅을 활성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학교도서관 지원단을 통한 컨설팅은 자발성, 전문성, 자문성 그리고 독립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교육청이 마케팅 차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학교 컨설팅의 중요한 목적은 단위학교 공동체 중심의 자주적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성공을 위해서는 연합운영체제 구축, 표준업무지침서 개발, DLS를 활용한 온라인 컨설팅 체제 구축 그리고 컨설던트의 직무분석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인트 확충을 위한 개방형 학교도서관 운영방안연구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anagement Plans of the Open-Style School Library for the Expansion of Public Library Service-Points)

  • 김지봉;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7권1호
    • /
    • pp.1-14
    • /
    • 2008
  • Gyeonggi Province is try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from 100 as of December, 2006 to 150 in 2010. However most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preferred mid-to-large scale libraries, so they were restricted to b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For this reason most local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from right to use libraries and have difficulties to get library service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alternative to the small library is a school library. Both schools and public libraries ar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because residents can get an access to them easily. First, considering that small-scale public libraries of communities usually service about 10,000-20,000 people, I estimate that an open-style school library services 24class, 840people (24class*35people) of elementary school by 2003 Korean Library Standard (edited by Korean Library Association). Second, it requires systematic protection policies so that the open-style school of library can function as a local public library and a part of library cooper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local plans. All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don't intend to open and we had better consider the suitable service areas. Third, it's desired for the management efficiency that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being established afterward are divided into a branch-scale, a hall-scale and so on, not being uniform management model. And it also needs that one of them in the area enlarges the scale, and then supports other school librar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as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library policy of a local government and school library policy, it needs a systematic support.

  • PDF

미국학교도서관기준에 나타난 SLMP의 교육적 이념 (The Educational Idea Presenting In the SLMP's Standards)

  • 김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21-147
    • /
    • 1985
  • In the modern communicative age, the standards of the school libraries are the qualitative guarantee on the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s the guidline, the active guide, the policy documentation and criteria for the professional excellence. The standards of SLMP were revised the sixth time by the school library profession(ALA) with the members or agency of NEA in the U.S. There are the first standard was a quantitative; 'the Certain Report'(by A.L.A., 1920) appearing that the school library is the heart of the school, 2nd 1925; turning up the teaching material source and personel, 'School Libraries for today and tomorrow' (by AASL, 1945) incluse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7th educational ideas in the quantitative feature,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by AASL, 1960) express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 center, communicative environment,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Standards for school media programs' (by DAVI & AASL, 1969) implicating the instructional resource,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the condition precedent of qualitative education for excellence, 'Standards for media programs; District/school (by AASL & AECT, 1975) containing the improving user's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sonal freedom on the use of SLMP's services. Through changing the standards of SLMP in the US, We have known that the main educational idea in the standards are; (1) SLMP is the instructional force and resource for qualitative, excellence education by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instructional resource, communicative environment (2) SLMP is the actualizing force and resource for user's self-realization by intellectual and personal excellence, individualizing, humanizing and personalizing education.

  • PDF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에 나타난 핵심 가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re Values Appeared in Missions and Visions of School Library Standards)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5-247
    • /
    • 2009
  • 조직의 가치는 구성원의 신뢰를 형성하고 참여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도서관 가치인 접근성과 지원 이외에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핵심 가치를 찾는 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의 중심 단어를 분석하고 교육, 협동, 접근성, 문화적 소양, 민주시민 등 5개 영역의 핵심 가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평생학습능력과 물리적 접근성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 학교도서관 기준을 개정한 영국과 미국은 정보공학기술과 다중 정보활용능력 그리고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핵심 가치는 국내 학교도서관의 사명과 비전을 수립할 때 방향 설정과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일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한 거시적 환경에 관한 고찰 (A Study for Macro-Environ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 이원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1-136
    • /
    • 2011
  • 90년대는 일본 학생들의 문자이탈 현상 및 그에 따른 독해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던 독서의 위기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전환점으로 삼아 학교도서관 및 관련 기관들은 관련 법률을 제정 개정 하고, 학교도서관 및 독서관련 사업을 펼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어린이 독서활동의 환경 정비에 주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0년대부터 활발하게 진행된 학교도서관을 둘러싼 독서환경 정비를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정리함으로써 일본 학교도서관의 거시적 환경을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고한다.

대전시내 초등학교 도서실 현황에 관한 연구 - 교사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eachers)

  • 이정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50 schools a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on two groups of teachers, those that take charge of school library and those who do not.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ing issues are emerged. First, the present state of surveyed school libraries is below standard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books and size a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se poor conditions. Second, the space programs are not sufficient to conduct enlarging scope of school libraries, which is conspicuous in spaces for affording librarians, supporting various activities and serving user's convenience. Third, in spite of poor conditions in school library facilities, respondents' satisfaction rate is not so low and there's no obvious demand for diversity of spaces.

  • PDF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ISA Reading Domain and AASL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3-216
    • /
    • 2012
  • 최근 들어, 공공기관의 책무성이 강화되면서 교육기관의 교육 책무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교육 책무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물론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에 참여하고 있다. 교육기관의 지원을 받는 학교도서관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교육 책무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과 비교하여 학교도서관이 PISA의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의 독서 리터러시 영역과 PISA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PISA의 설문지에는 학교도서관 관련 요소를 상당수 포함하고 있으며, PISA의 독서 리터러시 영역은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과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법학전문도서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Law School Libraries)

  • 김원만;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5-183
    • /
    • 2010
  • 본 연구는 법학전문도서관이 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평가 내용을 다루어 법학전문도서관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법학전문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법학전문도서관의 주 이용계층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법학전문도서관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법학전문도서관의 건물과 시설 그리고 소장자료의 양과 함께 소장자료의 질, 법학도서관 사서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외적인 면과 함께 법학전문도서관의 내실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