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standard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omestic School Library Standard)

  • 목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34
    • /
    • 2011
  •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학교도서관 기준을 분석하여 기준별 특이성과 차이성을 조사하였다. 현행 적용되는 기준으로 7가지 학교도서관 기준이 조사되었으며, 분석결과, 예산편성, 교육서비스, 자료, 인력 등 4가지 주요 문제점이 진단되었다. 기존 학교도서관 기준을 검토하여 학교 도서관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학교도서관 기준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의 발전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trends of school libraries in western world)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475-50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development trends of school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namely U. S. A., Canada by analyzing such items as education and environment, staff, policy, standard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to find out how and why they were able to maintain efficient library service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are school district supervisor whose functions are to direct and supervise the school libraries in the district. (2) The school district supervisor, school administrator, Teacher and Teacher librarian a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s educational role and cooperate together for the development. (3) They gether statistical data on school library for continuous revision of statement, guideline and standard. (4) Not only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he library organization but also the private foundation conduct systematic research and extend financial aid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5) The Compulsory Codes and pertinent laws have been enacted to promote school library development.

  • PDF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Evaluation Index of School Library)

  • 남영준;정경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99-131
    • /
    • 2010
  • 이 연구는 지난 5년 동안 수행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결과로 거의 모든 학교에 도서관이 설치된 상황에서 미흡한 분야를 점검하고 앞으로 수행할 분야를 개발하여 학교도서관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09년 평가지표,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 평가지표, 선행연구인 학교도서관의 BSC 성과지표,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2단계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 계획과 "학교도서관진흥법", 교육과학기술부의 시 도교육청 평가지표를 분석함으로써 8개 영역 54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개 영역 48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분석결과에 대한 검증은 1차적으로 학교도서관 관련전문가를 통해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2차 평가는 학교도서관 담당 교사를 통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연구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2단계 검증을 수행하였다.

  • PDF

영국. 미국. 일본의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recent school library standards : Britain, United State and Japan)

  • 김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51-82
    • /
    • 1996
  •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s recent school library standards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Britain, United States and Japan. The examination is based on the changing process of standards and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in the each countries. To Suggest the model of reasonable standard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in Korea,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common elements ; staff, material, environments, management and cooperative system, and learning skill with curriculum of school library standards showed in the each of advanced countries.

  • PDF

법학전문대학원 평가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법학전문도서관 평가조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the Evaluation Standard for the Law School : Focusing on the Evaluation Clauses of Law School Library)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23-142
    • /
    • 2013
  • 복잡한 법적분쟁을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법조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범한 법학전문대학원에 대한 서면평가 및 현장평가가 2012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평가의 기초자료로 제공된 평가기준, 평가매뉴얼, 질의응답집과 평가수행과정에서 실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평가항목 중 법학교육의 전문성을 위해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법학전문도서관에 대한 평가조항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평가조항의 경우 일률적인 양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보다 대학원별 규모를 감안하고 추상적인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향후 법학전문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특성화를 비롯한 발전방안의 구상 및 실천, 그리고 대학원 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운영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서관에 대한 평가를 별도의 장으로 구성하고 도서관 시설에 대한 부분은 대학원의 기타 시설들과 함께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학원별 규모를 감안한 모범사례 발굴을 통해 각 대학원에 표준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설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ing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 김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104
    • /
    • 1997
  • 본 연구는 영국 미국 일본 및 한국의 학교도서관 발전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이 교수와 학습의 자료를 확보하여 정보화 사회에서 인간성과 창조적 정보활용력을 배양하는 학교교육과정의 핵심임을 규명하고 각 국의 최신 기준에서 "직원, 자료, 공간과 시설, 관리 및 협력체제, 학습기법"을 공통요소로 비교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한국학교도서관 현황을 규명하여 한국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기준설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Analysis of America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3-223
    • /
    • 2009
  •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의 각 주(州) 정부의 학교도서관 정책은 물론 전 세계 학교도서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교육학회(NEA) 주도로 1920년에 처음으로 제정된 이래 교육 및 기술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약 10여 차례 개정되어 왔으며, 가장 최근의 기준으로는 2009년에 AASL에서 발행한 "학습자 힘 기르기"가 있다. "학습자 힘 기르기"는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발행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학교도서관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제정한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과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정책의 바로미터로 삼고자 한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비전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기준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 곽철완;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3-19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 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학교도서관 평가에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국내 외 학교도서관 관련 평가지표를 조사 분석하여 다양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생들에게 학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도서관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평가 항목은 도서관 프로그램 분야, 학교지원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평가 방법은 조사지 이용 평가, 학교 도서관 통계 이용 평가,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이중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를 제안하였다. 평가항목은 양적인 항목과 질적인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양적인 항목은 투입분야의 예산항목에 2개 지표와 산출분야의 장서 항목의 3개 지표, 이용 항목의 3개 지표가 제시되었다. 질적인 항목에는 소장도서와 해당 연도에 구입한 도서의 이용비율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7-84
    • /
    • 2005
  • 교구$\cdot$ 설비기준은 학교 교육과정을 위한 기본 요소를 의미한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도서관은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정보활용과 독서지도를 위한 기본적인 교육환경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학교도서관의 사명을 담아야 하며,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행 기준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불충분하다. 따라서 학교교구·설비기준 개정 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시설 지침; 2. 기본 설비 방안; 3.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교구 기준; 4. 기본 공간별 설비 종목; 5. 보다 상세한 정보기기 종목; 6. 특수학교도서관 기준 개선

초등학교 도서실의 배치유형과 실내공간 규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Type and Space Size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 허영환;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9-86
    • /
    • 2005
  • According to the new multi-media appeared as a result of rapid growth of the information and science technique, the school library must be changed to the integration of the teach-study media resource from the existing print media. It means that the school library has to play a role of the study center with a different media from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 teaching instrument, facility and opportunity. The Information education must be conducted in the way of an integrated education course and able to do both information transaction and problem settlement. The education facility to solve this problem is the school library. Therefore, the school library becomes important more and more. It means that the school library is the center of entire study and education material for the teacher and student is focused on it. It is urgent to make the standard of the school library In order to cope with the new education and information environments. And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a plan about the location and scale of the school libr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ren's studying activity. The location of the school library is decided under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 room of school house and the proper scale of it is between 2.5units and 7.0units of classroom based on the number of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