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illumination qualit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Automatic detection of tooth cracks 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s

  • Kim, Jun-Min;Kang, Se-Ryong;Yi, Won-Ji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1호
    • /
    • pp.41-50
    • /
    • 2017
  • Purpose: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compare the image quality and visibility of tooth cracks between conventional methods and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 and to develop an automatic detection technique for tooth cracks by SS-OCT imaging. Methods: We evaluated SS-OCT with a near-infrared wavelength centered at 1,310 nm over a spectral bandwidth of 100 nm at a rate of 50 kHz as a new diagnostic tool for the detection of tooth cracks. The reliability of the SS-OCT images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crack lines with those detect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After performing preprocessing of the obtained SS-OCT images to emphasize cracks, an algorithm was developed and verified to detect tooth cracks automatically. Results: The detection capability of SS-OCT was superior or comparable to that of trans-illumination, which did not discriminate among the cracks according to depth. Other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tooth cracks did not sense initial cracks with a width of less than $100{\mu}m$. However, SS-OCT detected cracks of all sizes, ranging from craze lines to split teeth, and the crack lines were automatically detected in images using the Hough transform. Conclusions: We were able to distinguish structural cracks, craze lines, and split lines in tooth cracks using SS-OCT images, and to automatically detect the position of various cracks in the OCT images. Therefore, the detection capability of SS-OCT images provide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cracked tooth syndrome.

Forward Error Correction based Adaptive data frame format for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 Nguyen, Quoc Huy;Kim, Hyung-O;Lee, Minwoo;Cho, Juphil;Lee, Seon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2호
    • /
    • pp.94-102
    • /
    • 2015
  •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is an extension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ifferent from tradition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s is an almost no additional cost technology by taking the advantage of build-in camera in devices. It was became a candidate for communication protocol for IoT. Camera module can be easy attached to IoT device, because it is small and flexible. Furthermore almost smartphone equip one or two camera for both back and font side with high quality and resolution. It can be utilized for receiving the data from LED or positioning. Actually, OCC combines illumination and communication. It can supply communication for special areas or environment where do not allow Radio frequency such as hospital, airplane etc. There are many concept and experiment be proposed. In this paper we proposed utilizing Android smart-phone camera for receiver and introduce new approach in modulation scheme for LED at transmitter. It also show how Manchester coding can be used encode bit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successfully decoded by Android smart-phone camera. We introduce new data frame format for easy decoded and can be achieve high bit rate. This format can be easy to adapt to performance limit of Android operator or embedded system.

전국 일부 학교 건축물 내의 실내 공기 및 인식도 조사 (The Assessment and Recognition on Indoor Air Quality at Schools in Korea)

  • 손종렬;윤승욱;김종혁;이용식;최한영;김영성;손부순;양원호;김민회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3호
    • /
    • pp.1-9
    • /
    • 2005
  • Recently, indoor air quality (IAQ) in workplac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chools has been concerned of people, scientists and related the public, and has recognized the healthy effectsrelated to IAQ, specially in schools in Korea. Therefore, objectives of this study in this study were to measure and compare the perception of TAQ of selected air pollutants in Seoul from April to September 2004. Measurement place measured 2 schools of Seoul and local 9 schools (by Kyonggi Province, Chungchong-bukdo Chungchong-namdo, Chollado-bukdo, Cholla-namdo, Kyongsang-bukdo, Kyongsang-namdo, Kwangju, schoolin Pusan each 1 plac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TBC (total bacteria count), noise, PM10,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HCHO (formaldehyde)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Also, we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50 students and 50 teachers about their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IAQ in their schools. Among this article, we handled nois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TBC, TVOC, HCHO, PM 10 in our conclusion.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 Carbon monoxide (CO) was lower than indoor air standard of Korea. Carbon dioxide $(CO_2)$ appeared that 4 schools among our sample target school exceeded in normal standard. 4 schools were almost similar with normal standard. TBC appeared that 7 schools among 11 schools were higher than standard. Noise measured school's mean value passed exceeded standard. And school which passed over standard appeared to 7 schools among 11 schools. HCHO was exceeded 4 schools by standard that excess and certainly interrelation between school's establishment year and facilities of construction was detected. PM10 was exposed all schools by fitness in standard. TVOC appeared that 9 schools among 11 measurement school was exceeded health effect standard of Japan.

유색 스크린에 투영된 빔 프로젝터 영상의 색 보정 (Color Correction of a Projected Image on Colored-Screen for Beam-Projector)

  • 손창환;이철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35-43
    • /
    • 2007
  • 모바일 폰의 디지털 융합과 함께, 카메라,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와 같은 다양한 입출력 장치가 소형화되어 모바일 폰에 내장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소화면의 크기를 극복하고 임장감이 넘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폰에 일반 빔 프로젝터를 설치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모바일 빔 프로젝터는 백색 스크린에 투영되는 일반 빔 프로젝터와는 달리 다양한 배경색을 가진 유색 스크린에 투영될 때, 출력 영상이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광원 추정에서 사용되던 칼라 항상성 개념을 도입하여 유색 스크린에 투영된 빔 프로젝터의 출력 영상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Low Rate VLC Receiver Design Using NCP302 Voltage Detector for IoT/IoL Connected Smart Homes

  • Lee, Beomhee;Mariappan, Vinayagam;Khudaybergenov, Timur;Han, Jungdo;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4호
    • /
    • pp.50-56
    • /
    • 2018
  •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is opening up new services in lighting industry by integrating sensory network features in addition to standard illumination functionality. In this progressive developments, the next generation lighting devices for smart homes are capable to sens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ransfer the captured data through lights to gateway controller to access remotely. The smart home environmental sensor information's are few kbps only so VLC systems need to built-in with low rate light connectivity to transfer data to the gateway. To provide error free communication, the quality of a received light signal is important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n VLC receiver.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of robust low rate IoL receiver design using NCP302 voltage detector for micro controller to adapt the IoT/IoL front end module for system integration. To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performance, the Arduino UNO based IoT/IoL controller designed with lighting, sensors and lights connectivity interface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robust interference rejection is feasible on proposed VOL receiver and possible to have an error-free communication up to 10 kbps at a low SNR using OOK modulation.

Quad Chip 외관 불량 검사를 위한 2D/3D 광학 시스템 (2D/3D Visual Optical Inspection System for Quad Chip)

  • 한창호;이상준;박철근;이지연;유영기;고국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84-692
    • /
    • 2016
  • LQFP/TQFP(Low-profile Quad Flat Package/Thin Quad Flat Package) 패키지 공정에서는 높은 수준의 품질 관리를 위해 3차원 형상 측정 방법을 도입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최종 외관 불량 검사를 위하여 projection moire 방식의 3D 영상 검사를 위한 광학 시스템과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LQFP/TQFP칩에서 발생하는 불량들은 2D 불량항목과 3D 불량 항목으로 구분하여 불량 항목을 상세히 정의하였다. 광학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2D 측정 광학계는 돔 조명을 사용하여 일정한 광분포도를 갖도록 설계하고, 3D 측정 광학계는 PZT를 이용하여 모아레 패턴이 90도씩 정확한 위상을 갖도록 이송을 위한 기구적 메커니즘을 설계한다. 물체의 모아레 측정시 위상 변화에서 나타나는 $2{\pi}$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측정된 모아레 무늬를 비교하여 $2{\pi}$ 위상의 모호성이 발생하는 부분에서 수정된 다른 위상을 참고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검사 시스템은 LQFP/TQFP 외관 검사 공정에 적용하였으며, 실험에서 최대 높이의 측정 오차는 $1.34{\mu}m$ 이내로, 3차원 외관형상 불량 검사 조건을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였다.

청정도 가스 이송용 재료의 특성과 전해연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 Polishing and Utility Materials for Transit High Purity Gas)

  • 이종형;박신규;양성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59-263
    • /
    • 2004
  • In the manufacture progress of LCD or semiconductor, there are used many kinds of gas like erosion gas, dilution gas, toxic gas as a progress which used these gas there are required high puritize to increase accumulation rate of semiconductor or LCD materials work progress of semiconductor or LCD it demand many things like the material which could minimize metallic dust that could be occured by reaction between gas and transfer pipe laying material, illumination of the surface, emition of the gas, metal liquation, welding etc also demand quality geting stricted. Material-Low-sulfur-contend (0.007-0010), vacuum-arc-remelt(VAR), seamless, high-purity tubing material is recommend for enhance welding lower surface defect density All wetted stainless steel surface must be 316LSS elecrto polishinged with ${\leq}0.254{\mu}m$($10.0{\mu}in$) Ra average surface finish, $Cr/Fe{\geq}1.1$ and $Cr_2O_3$ thickness ${\geq}25{\AA}$ From the AES analytical the oxide layer thickness (23.5~36 angstroms silicon dioxide equivalent) and chromum to iron ratios is similar to those generally found on electropolished stainless steel., molybdenum and silicon contaminants ; elements characteristic of stainless steel (iron, nickel and chromium); and oxygen were found on the surface Phosphorus and nitrogen are common contaminants from the electropolish and passivation steps.

  • PDF

가로공간 보행증진을 위한 보행만족도 평가 -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 상업·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Satisfaction Evaluation for the Pedestrian Improvement of Street Spaces - Focused on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in the First District of Administrative-Centered City -)

  • 련등;최재혁;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5-126
    • /
    • 2018
  • 여성, 아이, 노인, 장애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친화가로를 조성하기 위하여,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도시환경변화의 패러다임을 반영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도시 가로의 보행환경의 질을 높이고, 보편적 이동권을 확보하여 사회통합을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에 위치한 상업 주거지역 주변의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보행도로 현황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보행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위성지도와 수치지도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지역의 기본자료에 대해서 정리하고, 가로 현황과 보행 환경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하여 의식과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15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조사 대상지 4곳의 보행서비스 수준은 모두 최상급인 A급이었으며, 녹지 시설의 배치도 비교적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영향력 있는 요인들은 높은 순서에 따라 디자인>편리성>가로수 및 휴게시설>안전성>안전 보호시설>교통 및 안내시설>연속성>노면 기본상태>쾌적성 이다. 주거지역: 교통 및 안내 시설>노면 기본 상태>쾌적성>편리성>연속성>디자인>조명 및 범죄 방지시설>안전성>가로수 및 휴게시설로 나타났다.

비영어권 외국인 내원객의 조명 신호와 안내서를 이용한 검사방법 개선 효과(흉부 방사선 검사자를 대상으로) (Improvement of Inspection Methods using Lighting Signals and Guidebook for Non-English speaking Foreign Visitors (For chest X-ray Screening Examinees))

  • 곽종혁;최민경;김능균;김아연;김경립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77-584
    • /
    • 2020
  • 본 연구는 비영어권의 내원객 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 언어의 소통 및 의사전달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검사를 위해 제작한 안내서를 배부 후 설명 전후에 따른 개선 효과를 알아 보았다. 검사 부위 인지 여부는 점수 척도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 검사의 불편 정도, 호흡 지침 이해 정도, 검사 설명 만족도는 제작한 안내서 설명 전후에 따라 점수 척도가 향상되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비영어권 외국인 내원객의 경우 영어나 한국어로 했을 때 보다 자국의 문자로 설명하는 것에 만족하였고, 그 방법 또한 검사실 내 조명 신호를 이용하여 외국인 내원객에게 호흡을 조절해야 하는 시기를 알려 줌으로써 효과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언어 통역 프로그램과 다양한 검사 부위에 따른 안내서 제작과 도구 개발, 방사선사 및 의료진의 외국어 능력 향상 등 여러 관점에서 의사소통 수단이 구현 될 때 비로소 의료서비스 및 영상 의학적 검사의 질이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다른 영상의학 검사실에서도 영어나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비영어권 외국인을 검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광(光)이 Ganoderma lucidum의 자실체 원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on fruit body primordium formation of Ganoderma lucidum on nutrient agar medium)

  • 서건식;미곡호;유승헌;갑원계개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167-175
    • /
    • 1996
  • Ganoderma lucidum 균주는 인공 배지 상에서 광에 의하여 자실체 원기가 형성되었으며, 광질이 자실체 원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자실체 원기 형성능을 가지고 있는 5균주중 3균주는 공시한 모든 형광등의 아래에서 즉, BLB, 순청색, 순녹색, 순황색, 순적색 형광등의 아래에서 자실체 원기가 형성되었고, 2균주는 BLB 형광등을 제외한 가시광선 영역에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암상태에서는 공시한 모든 균주가 자실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자실체 원기는 광도 0.05에서 $10.0\;{\mu}mol\;m^{-2}s^{-1}$의 범위에서 형성되었고, 광도가 $0.5\;{\mu}mol\;m^{-2}s^{-1}$ 이상에서는 자실체 원기의 수가 감소하였다. 주기적인 광조사가 자실체 원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Gl-009균주는 자실체 원기의 수와 무게가 연속광을 조사한 경우보다 증가하였다. 자실체원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4일간의 광조사가 필요하였다. 단색광의 조사가 자실체 원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Gl-003 균주는 400에서 800 nm의 모든 단색광 처리구에서 자실체 원기가 형성되었고, 그 외의 4균주는 400에서 500 nm, 그리고 700에서 750 nm 범위에서 형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