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Policy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도서관 정책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licy Evaluation Models for School Libraries)

  • 이재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5-84
    • /
    • 2007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정책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책학에서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 평가모형에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정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학교도서관 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은 여러 학자가 제시한 이론 중에서 교육정책과 학교도서관 정책에 관한 선행 평가모형을 근거로 하였다. 선정된 평가기준은 평가자에게 배부한 설문지와 전화인터뷰를 통하석 검증하였다. 학교도서관 정책에 대한 평가결과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나 일부 정책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제기되었다.

학교도서관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Policy)

  • 이재원;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7-126
    • /
    • 2006
  • 지식정보화사회의 도래와 제7차 교육과정 시행에 따른 사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국민들은 학교도서관에 다양한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학교도서관 정책과정을 교육정책 평가모형에 근거하여 정책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과정으로 구분하여 문헌정보학의 시각이 아닌 정책학 행정학의 시각으로 분석하는 틀을 개발하고 이 틀을 이용하여 학교도서관 정책을 과정별로 평가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로 반세기만에 나온 학교도서관 정책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다 나은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발전적 원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Principles of the School Library Opening Policy)

  • 김종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31
    • /
    • 2010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 정책의 문제점과 한계를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한계로 지역주민 이용률 저조, 담당 인력의 고충 가중, 학교도서관 인력체제 왜곡, 학교도서관의 기능 확립 저해 등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이면과 배경에는 지역개방을 위한 기본 조건의 미성숙, 지역 개방에 대한 개념과 인식의 오류, 정책 취지의 오해와 왜곡, 협력에 익숙하지 않은 조직 문화와 관행 등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탐구하였다. 그리고 이런 문제점의 성격과 정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역 개방을 위한 원리로 타당성과 목적성의 원리, 지역공동체 연대 원리, 단계적 접근과 전략적 운영 원리 등을 제안하였고 성공적인 지역개방을 위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인력정책을 중심으로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School Library Polic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1-70
    • /
    • 2016
  •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학교도서관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의 본질을 밝혀내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문제의 실효적인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글은 특히 교육부가 추진해온 학교도서관 인력정책의 부작용과 폐해에 주목하면서, 인력정책이 파행적으로 추진되어온 배경과 원인을 토착적인 시각에서 밝혀내고, 인력정책의 건강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실사구시적인 처방을 강구하는데 논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학교도서관의 본질적 기능'과 '전담인력의 자격과 역량'에 관한 기존의 주장과 논리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인력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을 위해 한국 고유의 교육문화와 도서관문화 그리고 인력구조를 반영한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960년대 정부 지원 정책 부재로 인한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정체(停滯)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agnation of Korean School Libraries in 1960s Due to the Absence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 이재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1-67
    • /
    • 2019
  • 본 연구는 1960년대 정부의 지원 정책 부재가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1960년대에 학교도서관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실효성 있는 <도서관법> 제정이 동반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후 학교도서관이 쇠락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주로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그간 정부의 지원 정책에서 소외되어 온 학교도서관 역사를 되돌아보고, 어느 때보다 제도적 지원이 절실한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이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학교도서관′ 학교의 중심으로 육성 (Rebuilding the School Library as Center in the School)

  • 홍강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12
    • /
    • 2003
  •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창의적$\cdot$자율적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책 읽기 습관 함양과 탐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수행평가, 재량활동$\cdot$특별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본시설로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수립하게 되었는데 그 주요내용은 열악한 학교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 장서, 재정, 인력운영 계획과 함께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도서관 활용 수업 방안까지 포괄됨으로써 학교도서관이 명실상부하게 학교의 중심부로 자리잡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 PDF

일본의 독서교육에서 학교도서관의 의미 - 학생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 (The Meanings of School Libraries in Japanese Reading Edu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Students)

  • 윤유라;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7-20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독서교육에 있어 학교도서관이 갖는 의미를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일본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주목하면서 그들의 관점에서 일본의 학교도서관을 기반으로 한 독서교육 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접근하면서, 학교도서관을 명실상부한 독서교육의 주체로 만들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책적 그리고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조사와 관련자들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일본의 수도권에 위치한 5개의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관찰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 (Cooperative Link between the Academic and School Libraries through Academic Library Visit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75
    • /
    • 2006
  • 정보사회에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신장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매개로 연계가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대학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으로 대학도서관 방문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제안한다. 학교도서관의 입장에서 이 프로그램은 자료와 사서교사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서관 기반 학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의 입장에서는 지역사회개방에 따른 자료부족 문제, 사서의 업무 증가 문제. 열람석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서의 교육적 역할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학교도서관 헌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 변우열;송기호;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92
    • /
    • 2014
  •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방침이나 규범을 열거한 규칙이나 법칙이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해 본 결과 IFLA/UNESCO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임무,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 목적, 직원, 운영 및 관리, 선언의 구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IASL 학교도서관 선언은 학교도서관의 기능, 자료, 시설, 인적자원, 정보활용능력, 정부 및 공공단체의 지원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정보활용능력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이념, 기능, 직원, 자료, 시설, 운영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학교도서관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선진국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여 교육 영역을 별도의 항목으로 하고 학교도서관의 임무, 시설, 인적자원, 교육, 예산, 운영 및 관리, 헌장 구현을 위한 정부의 책임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성과 분석 - 대구광역시의 경우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9-341
    • /
    • 2010
  • 이 연구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추진된 대구광역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성과를 평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통계분석과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두 가지 연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교도서관의 운영 및 활동의 주요 요소인 예산, 시설, 장서, 인력, 그리고 대출을 연도별로 분석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활성화 사업의 효과와 만족도, 학교도서관의 기능에 대한 인식, 전담 인력의 자격, 향후 학교도서관 발전의 이니셔티브와 교육청의 정책과제 등에 관하여 학교장, 교과교사, 그리고 사서교사 및 도서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