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ies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3초

일본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화 사업의 현황과 특성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Project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Japan)

  • 윤유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9-333
    • /
    • 2013
  •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타 관종, 그 중에서도 특히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역할의 강화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협력형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의 적용가능성을 고민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일본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화 사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일본학교도서관의 인적 시설적 현실을 살펴보고, 관련정책을 정리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협력 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해보고, 정부적 차원의 협력사업과 지자체차원의 협력 사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협력사업의 특징을 정리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해 고민하였다.

일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한 거시적 환경에 관한 고찰 (A Study for Macro-Environ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 이원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1-136
    • /
    • 2011
  • 90년대는 일본 학생들의 문자이탈 현상 및 그에 따른 독해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던 독서의 위기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전환점으로 삼아 학교도서관 및 관련 기관들은 관련 법률을 제정 개정 하고, 학교도서관 및 독서관련 사업을 펼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어린이 독서활동의 환경 정비에 주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0년대부터 활발하게 진행된 학교도서관을 둘러싼 독서환경 정비를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정리함으로써 일본 학교도서관의 거시적 환경을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고한다.

대전시내 초등학교 도서실 현황에 관한 연구 - 교사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eachers)

  • 이정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50 schools a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on two groups of teachers, those that take charge of school library and those who do not.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ing issues are emerged. First, the present state of surveyed school libraries is below standard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books and size a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se poor conditions. Second, the space programs are not sufficient to conduct enlarging scope of school libraries, which is conspicuous in spaces for affording librarians, supporting various activities and serving user's convenience. Third, in spite of poor conditions in school library facilities, respondents' satisfaction rate is not so low and there's no obvious demand for diversity of spaces.

  • PDF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for Rural Communities)

  • 이미영;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43
    • /
    • 2013
  •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의 수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의 학교도서관이 학교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와 함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네이버 문화재단 등의 민간단체에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확대를 위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들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정보소외지역에서 실질적인 정보격차 해소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외부지원의 확보, 운영자들의 직무 교육 실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다양한 도서관서비스의 마련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ffice of Education -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이상복;배경재;류주현;박옥남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3-209
    • /
    • 2013
  •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 정체성 확립 및 발전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교육특화형 공공도서관으로의 모형개발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학교도서관 지원체계를 분석하고 연구결과로 교육중심의 패러다임 전환, 학교도서관 지원과 평생교육영역의 구분 및 확대, 지역교육청 중심의 협의체 구성 및 역할정립, 공공도서관의 창의지성교육 공간으로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청과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제시하고, 다른 지역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발전모형을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성과 분석 - 대구광역시의 경우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9-341
    • /
    • 2010
  • 이 연구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추진된 대구광역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성과를 평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통계분석과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두 가지 연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교도서관의 운영 및 활동의 주요 요소인 예산, 시설, 장서, 인력, 그리고 대출을 연도별로 분석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활성화 사업의 효과와 만족도, 학교도서관의 기능에 대한 인식, 전담 인력의 자격, 향후 학교도서관 발전의 이니셔티브와 교육청의 정책과제 등에 관하여 학교장, 교과교사, 그리고 사서교사 및 도서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 PDF

경상북도내 고등교육기관 도서관실태조사 및 분석

  • 김남석;최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권
    • /
    • pp.69-87
    • /
    • 1974
  • As a part of the status report of all the libraries of Gyeong Buk Province, the libraries of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rovince were first examin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for this investigation: 1)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libraries to gather necessary data and 2) the library standards as set by the government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other related statistical studies and reports were consulted. Eighteen libraries in the 22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rovince were examined as of August 1974. For the convenience of the study, the 18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our-year college library, two-year normal school library, two-year junior college library, and three-year nursing school library. Paul Buck contends that the library is the center of academic life and that the quality higher education is not possible without a quality library. This is so because all the research activities have to be supported by good library facilities. Moreover it is difficult to justify the raison d'etre of an academic community if there is no active research activities in it. If the proposition is accepted that the library pl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in research and that resear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an academic community, it cannot be helped but observe that the role the libraries in the province play today is irregular and is far from the educational ideals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envisage.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not a single library in the province which could truly support the research and classroom activities of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ollege and the normal school libraries, nonetheless, had some facilities to be analyzed. The nursing school and the junior college libraries unfortunately had virtually nothing. It is hoped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tudy that the libraries should reorganize themselves and look for new directions for active support of research activities.

  • PDF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 김미나;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1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다음, 학교도서관에서의 북큐레이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304개 학교도서관 목록을 확보하여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121개 학교도서관을 선정한 다음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한 83개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북큐레이션 운영현황과 사서와 사서교사의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북큐레이션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의 확대와 제공, 2)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관한 자료의 개발과 보급, 3) 북큐레이션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서들의 지속적인 노력, 4) 학교도서관 사서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의 교수 - 학습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 of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for School Libraries)

  • 함명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7-219
    • /
    • 2002
  • 교육은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학습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그 심리적 기제를 설명하는 법칙이나 이론적 체계는 학습이론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학교교육을 지원하는 기본 시설로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수-학습이론과 어떤 관련이 있고,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은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객관적 통찰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탐구와 학문적 탐구를 위한 기반이 된다. 본고에서는 학습이론의 큰 흐름인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한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 등을 중심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수-학습 이론적 기반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초를 도서관기반교육접근법 (LBEA)으로 정립하고 있다.

  • PDF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e Stydy on the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Academic Achievement)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3-71
    • /
    • 2003
  • 본고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연구 영역을 설정하여 대표적인 관련 논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하는 메타 연구 방법론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였다. 본고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연구 영역, 연구 방법, 통계 기법, 우리나라에 적합한 연구 탐색 등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학교도서관이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밝히는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유학 분야의 석. 박사 논문 등 학술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우리나라에서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과학적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