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isandra Chinensi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7초

오미자 (五味子) 종 감별을 위한 RAPD 유래 SCAR Marker 및 Multiplex-PCR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APD-Derived SCAR Markers and Multiplex-PCR for Authentication of the Schisandrae Fructus)

  • 이영미;문병철;지윤의;서형석;김호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5-173
    • /
    • 2013
  • The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have been used as an edible ingredient and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Due to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dried mature fruits, the correct identification of S. chinensis from other closely related Schisandrae species is very difficult. Therefore, molecular biological tools based on genetic analysis are required to identify authentic Schisandrae Fructus. Random amplif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were used to develop an easy, reliable and reproducible method for the authentication of these four speci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several RAPD-derived species specific SCAR markers and established a multiplex-PCR condition suitable to discriminate each species. These genetic markers will be useful to distinguish and authenticate Schisandrae Fructus and four medicinal plants, S. chinensis, S. sphenanthera, S. repanda and K. japonica, in species level.

팽화처리에 의한 오미자의 품질 특성 (A Quality Characteristic in Schisandra chinensis by Puff processing)

  • 남현화;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93-90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팽화처리 된 오미자의 lignan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 평가를 통해 가공에 따른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팽화오미자의 lignan 성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증가하였고, $5kgf/cm^2$의 압력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또한 오미자를 팽화처리 하였을 때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증가하였고, 압력이 높아질수록 함량이 증가하다가 $5kgf/cm^2$의 압력에서는 다시 감소하였으며 DPPH radical, ABTS radical 소거능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팽화 처리에 의한 추출수율의 증가 및 약리성분이 변화됨으로써 생리활성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어느 일정 압력의 이상으로 처리할 경우 오히려 lignan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미자를 팽화처리 하였을 때 lignan 성분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3kgf/cm^2$의 압력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오미자를 함유한 복합물의 항균, 발한억제 및 소취효과 (Antimicrobial, Antiperspirant and Deodorant Effect of Herbal Extract Mixtures Including Schisandra chinensis)

  • 안지영;김준호;권세욱;김대기;이강수;이영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3-58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ntiperspirant and deodorant effect of herb mixtures including Schisandra chinensis(SC). This herb mixtures including Schisandra chinensis was made of Astragalus membranaceus(AM), Triticum aestivum(TA), Atractylodes japonica(AJ) and peppermint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Mentha piperita(MP). We examined antimicrobial activity, antiperspirant activity and L-leucine dehydrogenase activity of the herbal extracts. We found that the mixture of SC and MP have the best antimicrobial effects on B. subtilis subsp. spizizenii and mixture of SC, AJ, AM and TA have best antiperspirant effect. Moreover, the combination of SC and AM showed the most inhibitory effect on L-leucine dehydrogenas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herb mixtures Including Schisandra chinensis have good antimicrobial and antiperspirant effects.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잎 형질 및 광합성 특성 (Foliar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Trees Distributed in Korea)

  • 김판기;이갑연;김세현;한상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0-96
    • /
    • 1999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종간 및 종내 변리정도와 생장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낙엽 활엽성인 Schisandra속의 오미자와 흑미자(자웅동주, 숫그루, 암그루), 상록활엽성인 Kadsura속 남오미자의 엽형질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길이 및 폭은 변이의 폭이 커서 종간의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짧고 넓은 형태를 하였다. 엽병의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길었으며, 특히 흑오미자의 암그루는 남오미자에 비교하여 2배 이상 길었다. 그러나 엽병의 직경은 Kadsura속이 Schisandru속보다 두꺼웠다. 기공의 크기(폭,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에 비하여 켰으며, 기공밀도는 Kadsura속이 Schisandra속보다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생육환경에 따른 잎의 형태적 변화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흑오미자의 잎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종간 및 종내의 변이 폭이 켰으며, 흑오미자가 남오미자 또는 오미자보다 높았다. 광합성 특성은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광보상점 및 광포화점이 낮고, 광포화점에서의 광합성속도도 낮았다. 그러나 Schisandra속은 Kadsura속보다 낮은 호흡률을 나타내어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생장활동을 영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임내의 어두운 곳에서 생장한 개체는 높의 광도에서 생장한 개체에 비교하여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광합성작용을 하고 수행하였다.

  • PDF

오미자약주 제조 및 품질특성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chisandra chinensis Yakju)

  • 조경식;정은영;최한석;김명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3호
    • /
    • pp.163-167
    • /
    • 2012
  • 약주의 소비증대와 품질증진을 위해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과실을 0-20% 농도 별로 약주에 첨가하여 발효를 통한 품질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당농도와 알코올 생성량은 오미자 첨가구와 무첨가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났다. pH는 무첨가구가 4.17로 가장 높았고, 오미자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최종 3.57-3.90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가 무첨가구에서 9.22 mg/100 mL, 오미자 첨가구에서 161.38-634.96 mg/100 mL 검출되었다. 무첨가구에 비하여 오미자 첨가구에서 약 17.50-68.87배로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며, citric acid는 오미자 첨가구의 pH에 농도 의존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농도가 높은 오미자 첨가구의 pH가 가장 낮은 값을 가진 것과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첨가구의 색도는 명도 18.31, 적색도 -0.58 및 황색도 -0.38을 나타내었으며, 오미자 첨가구는 명도 13.55-15.14, 적색도 0.12-5.16 및 황색도 -0.78-0.02로 오미자 첨가로 인해 어두운 색조로 바뀌었으나 적색도가 증가하여 관능적인 요인을 향상시켰다.

오미자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Gomisin J의 생산 (Production of Gomisin J from Cell Suspension Culture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 황성진;표병식;이학주;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42-447
    • /
    • 2004
  • Cell growth and gomisin J production by suspension culture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culture media, initial sucrose concentrations, shaking speeds, and inoculum sizes. Callus was induced from in vitro cultivated leaf segments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mg/{\ell}$ NAA. The maximum dry cell weight of 2.23 g was obtained at inoculum size of 0.5 g fresh cell weight and in MB5 medium supplemented with $1\;mg/{\ell}$ NAA, 3% sucrose after 8 weeks. The production of gomisin J in suspension cell cultures was maximized in WPM medium containing 5% sucrose. The shaking speed for maintaining maximal cell dry weight was 100 rpm while the best shaking speed for gomisin J accumulation was 140 rpm.

오미자의 형질전환된 근으로부터 리그난 화합물의 검출 (Detection of Lignans from Transformed Root Culture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 황성진;표병식;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48-453
    • /
    • 2004
  • Transformed roots of Schisandra chinensis were obtained following co-cultivation of in vitro cultivated plantlet segments with Agrobaterium rhizogens ATCC15834. This root was examined for its growth and gomisin J contents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Among the six basal culture media tested, WPM (Lloyd & McCown, 1980) medium supplemented with 5% sucrose was the best roots growth 6.2 (g D.W/flask) and gomisin J accumulation 1.56 $(X10^{-3}\;ug/g\;D.W)$. Initial inoculum size correlated with the yield of biomass while gomisin J contents was not affect. Gomisin J production was influenced by the initial sucrose concentration and the highest production yield was achieved at the concentration of 7%. The optimal shaking speeds for roots growth and gomisin J production was 120 and 140 rpm, respectively.

Characterization of a Septobasidium sp. Associated with Felt Disease of Schisandra chinensis

  • Choi, In-Young;Lee, Wang-Hyu;Lee, Jong-Jin;Park, Mi-Jeong;Ko, Jeong-Ae;Choi, Jeong-Ran;Shin, Hyeon-Dong
    • Mycobiology
    • /
    • 제44권1호
    • /
    • pp.58-62
    • /
    • 2016
  • Extensive disease surveys performed during the summers of 2013 and 2014 in Schisandra chinensis orchards resulted in the finding of a Septobasidium sp. associated with felt disease. The fungus was characterized to be symbiotic with a scale insect (Pseudaulacaspis cockerelli).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 Septobasidium isolates were investigated. The isolates were morphologically and phylogenetically close to S. bogoriense. We tentatively describe this isolate as a Septobasidium sp., mainly because of the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the ribosomal DNA of Septobasidium spp.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의 국내 산지별 화학적마커 선정을 위한 LC/MS 기반의 대사체학 접근법 (LC/MS-based metabolomics approach for selection of chemical markers by domestic production region of Schisandra chinensis)

  • 김인선;오선민;송하은;김두영;윤다혜;이대영;류형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67-476
    • /
    • 2023
  •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에 속하는 낙엽활엽덩굴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오미자에 함유된 주요 성분에는 리그난 화합물뿐만 아니라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 산지별 오미자의 특성을 구별하기 위해 대사산물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 분석 기법인 PCA을 수행하여 판별식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 triterpenoids 16종, lignan 9종, flavonoid, phenylpropanoid, fatty acid 각 1종을 동정하였다. 또한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OPLS-DA의 s-plot 모델을 적용하여 단양, 문경, 거창, 평창의 4개 그룹을 구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lanostane, cycloartane, 그리고 schiartane triterpenoid, dibenzocyclooctadiene lignan 이 각각 화학적마커로 동정하였다.

Lignans with NADPH Oxidase 2 (NOX2)-inhibitory Activity from the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 Park, Jung-Min;Pel, Pisey;Chin, Young-Won;Lee, Moo-Yeo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59-65
    • /
    • 2018
  • An isoform of NADPH oxidase (NOX), NOX2 is a superoxide-generating enzyme involved in diverse pathophysiological events. Although its potential as a therapeutic target has been validated, there is no clinically available inhibitor. Herein, NOX2-inhibitory activity was screened with the constituents isolated from Schisandra chinensis, which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oxidant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scavenging effects. Among the partitions prepared from crude methanolic extract, a chloroform-soluble partition showed the highest NOX2-inhibitory activity in PLB-985 cell-based NOX2 assay. A total of twenty nine compounds (1 - 29) were identified from the chloroform fraction, including two first isolated compounds; dimethyl-malate (25) and 2-(2-hydroxyacetyl) furan (27) from this plants. Of these constituents, two compounds (gomisin T, and pregomisin) exhibited an NOX2-inhibitory effect with the $IC_{50}$ of $9.4{\pm}3.6$, and $62.9{\pm}11.3{\mu}M$, respectively. They are confirmed not to be nonspecific superoxide scavengers in a counter assay using a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gomisin T (6) and other constituents of S. chinensis to inhibit NOX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