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edesmus sp.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East River, Korea)

  • 조용철;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21-33
    • /
    • 2012
  •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22개 지점에서 총 4 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강수계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59종으로서 7강 58속 113종 21변종 25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조강이 90종류로 전체 중 56.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녹조강이 47종류로 29.6%의 점유율을 나타냈으며 남조강이 17종으로 10.7%, 유글레나강이 2종으로 1.3%, 황색편모조강, 갈색편모조강, 와편모조강이 각각 1종 0.6%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모든 시기 20정점 이상에서 출현한 보편종은 Cocconeis placentula, Cymbella minuta, Diatoma vulgare, Melosira varians, Navicula cryptocephala,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등 6종이었다. 현존량은 86 cells $mL^{-1}$~1,467 cells $mL^{-1}$의 범위로 나타났고, 점유율이 10% 이상인 우점종은 Achnanthes minutissima,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Cocconeis placentula, Coelastrum microporum, Cyclotella sp., Cymbella affinis, C. minuta, C. tumida, Diatoma vulgare, Fragilaria capucina, F. construens, F. crotonensis, Gomphonema affine, G. clevei, Melosira varians, Merismopedia elegans, Navicula cryptocephala N. pupula, Nitzschia tryblionella, Oscillatoria anna, O. limosa O. tenuis v. tenuis, Pediastrum duplex v. reticulatum, Phormidium tenue,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S. acutus v. acutus, S. ecornis v. ecornis, S. quadricauda v. quadricauda, Spirogyra sp., Stigeoclonium sp., Synedra acus, S. ulna, Ulothrix sp. 등 34종이었는데, 가장 중요한 종은 90개 시료 중 52개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Cymbella minuta이었다 종다양성지수는 1.58~3.10, 균등도지수는 0.51~0.95, 우점도지수는 0.22~0.74의 범위로 연구지역이 상당히 안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상류정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는 도암호에서 나오는 방류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Scenedesmus sp.를 이용한 하수의 영양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 Removal of Wastewater Using Scenedemus sp.)

  • 이희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43-449
    • /
    • 1999
  • This paper describe the working of algal culture system under batch and continuous feeding effluents i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determination of fundamental opeating parameters such as dilution rates, light intensity, biomass concentration, nutrients contents, which engender an effective nutrient and organic waste removal proc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algae system will remove effectively nutrient and organic waste. In batch cultures, 91.8% dissolved orthophosphate and 83.3% ammonia nitrogen were removed from the sewage in ten days. In continuous flow systems, a detention time of 2.5 days was found adequate to remove 91% T-P, 87% T-N and 95% $NH_3-N$. At 22-28$^{\circ}C$, 60 rpm, with an intensity of 3500 Lux, the specific growth rate, k was 0.59/day in batch experiments.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and nutrients rate (N/P) were respectively $25^{\circ}C$ and 3~5. With an abundant supply of untrients, it was possible to sustain substantial population densitie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2~28$^{\circ}C$.

  • PDF

Effect of Scenedesmus sp. CHK0059 on Strawberry Microbiota Community

  • Cho, Gyeongjun;Jo, Gyeong Seo;Lee, Yejin;Kwak, Youn-Si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7호
    • /
    • pp.862-868
    • /
    • 2022
  • Microalgae are photosynthetic cyanobacteria and eukaryotic microorganisms, mainly living in the water. In agriculture,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utilize microalgae as a biostimulant resource. Scenedesmus has been known to be one such microalga that can promote plant growth by secretion of auxin or cytokinin hormone analog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effect of microalgae treatment on plant microbiota commun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de of action of microalgae as biostimulants in a plant microbiota perspective by using Scenedesmus sp. CHK0059 (also known as species Chlorella fusca), which has been well documented as a biostimulant for strawberries. The strawberry cultivar Keumsil was bred with Seolhyang and Maehyang as the parent cultivars. Using these three cultivars, microbiota communities were evaluated for changes in structur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HK0059 treatment. CHK0059-treated Seolhyang, and CHK0059-untreated Maehyang were similar in microbial diversity in the endosphere. From a microbiota community perspective, the diversity change showed that CHK0059 was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t. Conversely, when CHK0059 treatment was applied, populations of Streptomyces and Actinospica were observed in the crown endosphere.

영산강 수계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Yeongsan River Watershed)

  • 손미선;박종환;임채홍;김세경;임병진
    • 환경생물
    • /
    • 제31권2호
    • /
    • pp.105-112
    • /
    • 2013
  • 본 연구는 2010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영산강수계의 4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수질과 일차생산량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 (수온, 용존산소량, pH, 총질소, 총인, 부유물질),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Chlorophylla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규조강 43종, 녹조강 93종, 남조강 16종, 기타 강 22종으로 총 174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개체군 밀도는 $275cells{\cdot}mL^{-1}{\sim}58,600cells{\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봄철과 가을철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 여름철에는 Scenedesmus quadricauda, Pediastrum biwae 및 Coelastrum sp.와 같은 녹조강과 Aulacoseira granulata와 같은 규조강이 우점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과 Aphanizomenon sp., Oscillatoria sp.와 같은 남조강이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hlorophyll-a의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동과 대부분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배양조건에 따른 물벼룩의 개체생산 특성 (Reproduction of Water Flea by the Culture Conditions)

  • 최성헌;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208-214
    • /
    • 2003
  • 국내산 물벼룩의 배양조건에 따른 개체 생산특성을 비교하고 최적 배양환경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배양조건에 따른 물벼룩의 개체생산특성을 조사하였다. Daphnia magna, D. pulex, Moina macrocopa는 퇴비를 이용한 배양액으로 배양하는 것이 생존기간과 개체 발생 수 측면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D. galeata는 이와는 달리 비료를 이용한 배양액에서 가장 성장률이 좋았다. D. galeata는 전반적으로 배양이 어려웠으며 배양기간 동안의 새끼 발생도 적어 인공 배양시에 상당한 관심이 요구되었다. 남조류 Microcystis sp.의 microcystin이라는 독소는 포유류를 비롯한 여러 생물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금번 실험에서는 물벼룩의 생존여부에 대해서는 독소의 영항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남조류 Microcystis sp.를 공급받은 물벼룩은 제한된 먹이 제공으로 적은 양의 Microcystis sp.를 불가피하게 섭취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생존기간이 짧았으며 개체 생산율도 낮았다. Scenedesmus sp.를 먹이로 공급한 경우는 물벼룩의 종류와 배양액의 종류에 상관없이 Microcystis sp.를 먹이로 공급한 경우보다 생존기간이 길고 개체발생수도 많았다. 각 물벼룩은 $20^{\circ}C$에서보다 더 생존기간이 길고 더 많은 개체를 발생하여 물벼룩 배양은 $15^{\circ}C.$보다 $20^{\circ}C$가 적절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D. galeata와 M. macrocopa는 물벼룩을 이용한 수질감시와 독성실험에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종이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D. magna와 국내에서도 분포하고 있는 D. pulex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Microalga Scenedesmus sp.: A Potential Low-Cost Green Machine for Silver Nanoparticle Synthesis

  • Jena, Jayashree;Pradhan, Nilotpala;Nayak, Rati Ranjan;Dash, Bishnu P.;Sukla, Lala Behari;Panda, Prasanna K.;Mishra, Barada 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4호
    • /
    • pp.522-533
    • /
    • 2014
  • Bionanotechnology has revolutionized nanomaterial synthesis by providing a green synthetic platform using biological systems. Among such biological systems, microalgae have tremendous potential to take up metal ions and produce nanoparticles by a detoxification process.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biogenic syntheses of silver nanoparticles (SNPs) using the unicellular green microalga Scenedesmus sp. Biosynthesized SNPs were characterized by AAS, UV-Vis spectroscopy, TEM, XRD, FTIR, DLS, and TGA studies and finally check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Intracellular nanoparticle biosynthesis was initiated by a high rate of $Ag^+$ ion accumulation in the microalgal biomass and subsequent formation of spherical crystalline SNPs (average size, 15-20 nm) due to the biochemical reduction of $Ag^+$ ions. The synthesized nanoparticles were intracellular, as confirmed by the UV-Vis spectra of the outside medium. Furthermore, extracellular synthesis using boiled extract showed the formation of well scattered, highly stable, spherical SNPs with an average size of 5-10 nm. The size and morphology of the nanoparticles were confirmed by TEM. The crystalline nature of the SNPs was evident from the diffraction peaks of XRD and bright circular ring pattern of SAED. FTIR and UV-Vis spectra showed that biomolecules, proteins and peptides,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and stabilization of SNPs. Furthermore, the synthesized nanoparticles exhibit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Use of such a microalgal system provides a simple, cost-effective alternative template for the biosynthesis of nanomaterials in a large-scale system that could be of great use in biomedical applications.

미세조류를 이용한 오·폐수 영양염류 제거효율 평가 (Evaluation of Nutrients Removal Efficiency in Effluents of Sewage and Wastewater using Microalgae)

  • 김숙찬;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187-194
    • /
    • 2017
  • 본 연구는 경상북도에 위치한 하천과 호소에서 채집한 미세조류의 배양실험을 통해 영양염류 제거에 유용한 미세조류를 탐색하고, 실제 배출되는 폐수, 개인하수 및 가축분뇨 방류수에 미세조류를 접종하여 질소와 인 제거효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류를 채집하여 예비 배양조에서 배양한 미세조류 군집의 우점종은 Monoraphidium contortum, Scenedesmus acutus, Coelastrum microporum, Chlorella sp.로 나타났으며, 4000 Lux와 8000 Lux 조도에서 인공폐수를 배양액으로 배양한 미세조류 군집의 우점종은 Chlorella sp., Scenedesmus obliquus로 나타났다. 8000 Lux 조도에서 $NO_3-N$ 제거율은 63.0%~83.6%로 나타났고, 4000 Lux 조도에서 $NO_3-N$ 제거율은 27.2%~88.1%로 나타났다. 4000 Lux와 8000 Lux 조도에서 $PO_4-P$의 제거율은 95.3% 이상으로 $NO_3-N$의 제거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NO_3-N$$PO_4-P$의 제거 효율은 $1.0{\times}10^6cells\;mL^{-1}$ 농도로 접종하였을 때 $1.0{\times}10^5cells\;mL^{-1}$$1.0{\times}10^7cells\;mL^{-1}$ 농도로 접종하였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세조류를 이용한 인공폐수에서의 TN과 TP 제거율은 각각 94.9%과 90.0%로 나타났으며, TN과 TP 제거속도는 $1.961mg\;L^{-1}\;day^{-1}$, $0.200mg\;L^{-1}\;day^{-1}$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폐수에서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영양염류가 제거되었고, 그중 개인하수 방류수가 영양염류 제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수 유입량 변동으로 인한 경포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1998년과 2012년도의 비교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ith Inflow of Sea Water in Gyoungpo Lake; Comparison between 1998 and 2012)

  • 이은주;이규송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48-56
    • /
    • 2014
  • 동해안 석호 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시공간적인 수체의 환경요인의 변화에 매우 빠르게 반응하여 변한다. 경호교에 설치한 보의 철거로 해수의 유통이 되기 전과 후인 1998년도와 2012년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밝히기 위하여 두 해의 4월부터 11월까지 일주일 간격으로 수체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 비교하였다. 1998년과 2012년도의 4월부터 11월까지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각각 99종과 80종이었고, 공통적으로 출현한 식물 플랑크톤은 40종이었으며 1998년과 2012년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유사도 지수는 0.465로 수체환경요인의 변화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크게 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998년도와 2012년도의 수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2012년도는 1998년도 보다 염분도가 증가해 해수성 수질로 바뀌었고 1998년도에 비해 pH는 다소 낮아졌고, 투명도는 증가하였으며, SS, $NO_3$-N- 그리고 N/P비는 낮았다. 그러나 2012년도에도 갈수기인 4월과 5월에는 상대적으로 염분도가 낮아지고 영양염류 함량이 증가해 SS와 Chl. a의 함량이 높아져 투명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구성하는 주요 종을 대상으로 ordination을 시행한 결과 1998년도 군집이 조사시기에 따라 보다 큰 변동을 한 반면 2012년도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의 군집을 나타내었다. 그 이유는 2012년도에는 보의 철거로 인하여 해수의 유통량 증가와 전환속도의 증가로 인한 수체환경의 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Gymnodium sp., Peridinium sp., Prorocentrum sp., Nitzschia longissima, Schroederia setigera, Lyngbya sp., Asterococcus limneticus, Asterococcus superbus 및 Cyclotella meneghiniana는 2012년도의 염분도가 높은 경포호의 수체에 잘 적응하는 종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sterrionella formosa, Nitzschia frustulum, Chlorella ellipsoidea, Scenedesmus bijuga 및 Scenedesmus ellipsoideus 상대적으로 염분도가 낮은 1998년도의 경포호의 수체에 잘 적응한 종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98년도와 2012년도의 염분도가 다른 수체를 구분하는 데 유용한 종은 Peridinium sp., Prorocentrum sp., Nitzschia longissima 및 Schroederia setigera의 4종으로 이들은 모두 2012년도에의 염분도가 높아진 경포호에서만 출현하는 종이었다. 경포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크게 상이하게 변하는 시기는 담수의 유입량이 적고 해수위가 낮아져 수체에 영양염류 함량이 높아지는 봄철과 홍수로 인하여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양이 증가하는 시기인 여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봄철에는 수체환경의 관리가 집중되어야 하고, 홍수기 에는 담수의 대량 유입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에 유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