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ario based Analysis

검색결과 983건 처리시간 0.028초

최대전력 분석시뮬레이터 개발 및 조명설비 제어 시뮬레이션 (Maximum Power Analysis Simulator Development & Lighting Installation Control Simulation)

  • 장홍순;한영섭;서상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95-99
    • /
    • 2013
  • The maximum power analysis simulator took advantage of the facilities an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simulator test scenario development and testing of improvement in the scenario. As a maximum demand power controller, Maximum power analysis simulator performs control and disperasion of maximum demand power by calculating base power, load forecast, and present power which are based on signal of watt-hour meter to keep the electricity under the target. In addition, various algorithms to select appropriate control methode on each of the light installations through the peak demand power is configured to management. The simulation shows the success of control power for the specified target controlled by five sequential lighting installations.

치과용 유니트체어 유압구동 시스템 해석모델 개발 (Developing Analysis Model of Hydraulic System for Dental Chair)

  • 노대경;이동원;김택준;장주섭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20권1호
    • /
    • pp.27-33
    • /
    • 2023
  • From the perspective of dental chair manufacturers, it is important to of localizing hydraulic system in order to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analysis model of a dental chair which overseas companies secure core technologies. The study follows the steps below. First, the component parts of the solenoid valve unit of a foreign leading company are analyzed and implemented in virtual environment. Second, dynamic behavior scenario is established based on solenoid valve signal chart provided by a foreign leading company. The analysis model is verified and its performance is analyzed using dynamic behavior according to each scenario. Third, a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the cylinder velocity of designed hydraulic system surpasses 1cm/s as required by the design.

MODELING OF HUMAN INDUCED CO2 EMISSION BY ASSIMILATING GIS AND SOC10-ECONIMICAL DATA TO SYSTEM DYNAMICS MODEL FOR OECD AND NON-OECD COUNTRIES

  • Goto, Shintar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8
    • /
    • 1998
  • Using GIS and socio-economical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ctivities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Is Analysed from the view point of food productivity and CO2 emiss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population problem, the food problem and global warming due to energy consumption can be stabilized through managing land use, impacts of human activities such as consumption of food, energy and timber on global environment changes, and global population capacity are Analysed using developed system dynamics model in the research. In the model the world is divided into two groups: OECD countries and the others. Used global land use data set Is land cover map derived from satellite data, and potential distribution of arable land is estimated by the method of Clamor and Solomon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spatial distribution of climate data such as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In addition, impacts of CO2 emission from human activities on food production through global warming are included in the model as a feedbac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BaU scenario and Toronto Conference scenario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existing model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human habitability in 2020 is 8 billion people, and CO2 emission in 2020 based on BaU Scenario and on Toronto Scenario is 1.7 and 1.2 times more than the 1986's respectively. Improving spatial resolution of the model by using global data to distribute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sauce-economical indices is left for further studies.

  • PDF

Forecasting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in South Korea in the COVID-19 Era

  • Kim, Youbean;Park, Soyeon;Kwon, Ki-Seok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2호
    • /
    • pp.133-144
    • /
    • 2020
  • 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a very rapid growth largely due to the change of the innovation system since the last half century. The recent outbreak of COVID-19 impacts the global economy as well as Korea's innovation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shock to the Korean technological system, we have forecast the future of the system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chniques such as expert panel, cross impact analysis, and scenario plan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we have identified 39 driving forces influencing the change of Korea's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Four scenarios have been sugges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factors and core uncertainties. In other words, uncertainties of emergence of the regions and global value chains generate four scenarios: regional growth, unstable hope, returning to the past, and regional conflicts. The 'regional growth' scenario is regarded as the most preferable, whereas the 'regional conflicts' scenario is unavoidable. In conclusion, we put forward some policy implications to boost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by exploiting the weakened global value chains in order to move on to the most preferable scenario away from the return to the past regime.

지하터널기반 미래물류 운송체계의 운영 시나리오 및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요구사항 도출 연구 (Research on Deriving Requirements through Operational Scenarios and Interface Analysis of Future Logistics Transportation System based on Underground Tunnels)

  • 김명성;이성진;김영민;이나현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0권spc1호
    • /
    • pp.65-75
    • /
    • 2024
  • As the demand for logistics services increases rapidly in modern society, the existing freight delivery system through road transportation is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To solve that, the development of an 'underground logistics tunnel-based cargo transportation system' is currently being considered in Korea. In order to build a new concept stable and safe logistics system, derive system design requirements and functional specifications, and reflect them at the development of target system. In this study, to mak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an "underground logistics tunnel-based cargo transportation system," define system components through analysis from a hierarchical perspective, and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were analyzed and defined. We identified what interfaces the components have at each stage of the operating process. Lastly, we defined a detailed operation scenario based on the previously derived results, deriving target system functional requirements.

시나리오 기반 요구사항 추출 도구의 설계 (Design of Scenario-based Requirements Extraction Tool)

  • 김치수;김영태;공헌택;임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568-1574
    • /
    • 2009
  • 사용자 요구사항 공학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는 다양한 말단 사용자, 책임자와 소프트웨어 기술자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이해의 불일치이다. 시나리오는 다양한 책임자에게 일부 추상 모델 대신 그들의 언어로 기술하고 검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도출, 분석과 검증을 포함한 다양한 요구사항 공학 단계에 시나리오를 사용하는 진보적이고 반복적으로 삽입되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프로세스 모델은 본 논문의 TRES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기존 도구들의 단점을 없애기 위해 시제품, 시나리오와 사용 사례를 하나의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로 조합한다. 본 시스템은 시나리오 기반 요구사항 추출을 위한 XML 기반 시스템이다. TRES 시스템 내에서 시나리오는 사용의 문맥을 포함하여 사용자와 작업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TRES 시스템에서 시나리오는 XML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되고 XML 표기법을 사용하여 기술된다.

상담 챗봇 구현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유용성 검증 (Developing Scenario for Implementation of Counseling Chatbot and Verifying Usefulness)

  • 이지원;양현정;김지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2-29
    • /
    • 2019
  • 본 연구는 상담 챗봇 구현의 기반이 되는 대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룰 기반 상담 챗봇을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울감과 관련된 호소문제 탐색 및 초기 상담관계 확립을 위한 상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를 룰 기반 상담 챗봇으로 설계하였으며, 상담심리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명확한 상담 구조화, 선택형 및 서술형 응답의 적절한 활용, 룰 기반 챗봇에 특화된 경청반응이 상담 챗봇의 중요 요소로 확인되었다. 상담 챗봇 유용성 평가에서는 대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최종 개발된 상담 챗봇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적극적 경청은 사용자의 상담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 기분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자 평가의 질적 분석을 통해 상담 챗봇이 지니는 고유한 장점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상담 챗봇이 극복해야 하는 한계점이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연속호우사상기반의 댐 붕괴 시나리오에 따른 최적대피소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helters according to Dam Break Scenario Based on Continuous Rainfall Event)

  • 김경훈;임종훈;김형수;신성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433-447
    • /
    • 2023
  • 이상기후와 댐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댐에 대한 위험관리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저수지·댐 등의 붕괴에 따른 비상대처계획에서는 단일호우사상에 의해 댐 붕괴가 발생한 경우만을 다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속호우사상으로 인한 댐 하류부의 피해 발생 상황을 모의하고, 각각의 상황에 대한 최적 대피소를 선정하여 저수지·댐 등의 붕괴에 따른 비상대처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5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거대강우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거대홍수량을 산정하였다. 거대강우 시나리오가 충주댐에 발생하였을 때 무피해방류량 이상의 방류로 인해서 하류부에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시나리오 A)와 댐 붕괴가 발생하는 경우 (시나리오 B)로 나누어 하류부에 발생하는 피해를 분석하였다. 2개의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피해를 분석한 결과, 시나리오 A에서의 침수면적은 50.06 km2이며, 시나리오 B에서의 침수면적은 약 6.1배 큰 307.45 km2로 나타났다. 침수피해가 발생한 하류부 지역 중 시가화 지역의 비율이 높은 충주시를 대상으로 행정구역별 최적 대피소를 선정하였다. 국내·외 대피소 선정기준들을 이용하여 7가지 대피소 평가지표들을 설정하였으며, 계층화(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기법을 활용하여 대피소 대안들을 평가하였다. 각 시나리오별로 최적 대피소를 선정한 결과, 선정된 6개의 최적 대피소 중에서 5곳이 학교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상대처계획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연속호우 사상에 의한 상황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비상대처계획 수립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공간정보 기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EEAT) 개발 (Development of Extreme Event Analysis Tool Base on Spatial Information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 한국진;이명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5-486
    • /
    • 2020
  •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후변화 대응 연구의 기반이 되는 사항으로, 대용량 시공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의 관점에서는 1종의 시나리오가 약 83 기가바이트(Giga bytes) 이상의 대용량이며, 데이터 형식은 반정형으로 검색, 추출, 저장 및 분석 등 활용상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다중시기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을 편리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과거 발생한 집중호우 임계치가 미래 발생 가능한 시기와 공간에 대한 시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일 누적 강우량 587.6 mm 이상인 날이 2080년대 약 76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집중호우는 국지적으로 발생하였다. 개발된 분석도구는 초기 설정부터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전 과정이 단일 플랫폼에서 구현되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용 소프트웨어가 없어도 분석결과를 다양한 형식(웹 문서형식(HTML), 이미지(PNG), 기후변화 시나리오(ESR), 통계(XLS))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분석도구 활용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미래 전망이나 취약성 평가 등의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제공될 기후변화 보고서에 따른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도구 개발에도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가뭄기상시나리오 모델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Model of Drought Climate Scenarios for Agricultural Drought Mitigation)

  • 유승환;최진용;남원호;김태곤;고광돈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67-75
    • /
    • 2012
  • Different from other natural hazards including floods, drought advances slowly and spreads widely, so that the preparedness is quite important and effective to mitigate the impacts from drought. Evaluation and forecast the status of drought for the present and future utilizing the meteorological scenario for agricultural drought can be useful to set a plan for agricultural drought mitigation in agricultur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his study, drought climate scenario model on the basis of historical drought records for preparing agricultural drought mitigation was developed. To consider dependency and correlation between various climate variables, this model was utilized the historical climate pattern using reference year setting of four drought levels. The reference year for drought level was determined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 of monthly effective rainfall. On the basis of this model, drought climate scenarios at Suwon and Icheon station were set up and these scenarios were applied on the water balance simulation of reservoir water storage for Madun reservoir as well as the soil moisture model for Gosam reservoir watershed. The results showed that drought climate scenarios in this study could be more useful for long-term forecast of longer than 2~3 months period rather than short-term forecast of below one mon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