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b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44초

Different Phytohormonal Responses on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Leaves Infected with Host-Compatible or Host-Incompatible Elsinoë fawcettii

  • Shin, Kihye;Paudyal, Dilli Prasad;Lee, Seong Chan;Hyun, Jae W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3호
    • /
    • pp.268-279
    • /
    • 2021
  • Citrus scab, caused by the fungal pathogen Elsinoë fawcetti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gal diseases affecting Citrus spp. Citrus scab affects young tissues, including the leaves, twigs, and fruits, and produces severe fruit blemishes that reduce the market value of fresh fruits. To study the molecular responses of satsuma mandarin (C. unshiu) to E. fawcettii, plant hormone-related gene expression was analyzed in response to host-compatible (SM16-1) and host-incompatible (DAR70024) isolates. In the early phase of infection by E. fawcettii, jasmonic acid- and salicylic acid-related gene expression was induced in response to infection with the compatible isolate. However, as symptoms advanced during the late phase of the infection, the jasmonic acid- and salicylic acid-related gene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were compared between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nteractions. As scabs were accompanied by altered tissue growth surrounding the infection site, we conducted gibberellic acid- and abscisic acid-related gene expression analysis and assessed the content of these acids during scab symptom development. Our results showed that gibberellic and abscisic acid-related gene expression and hormonal changes were reduced and induced in response to the infection, respectively. Accordingly, we propose that jasmonic and salicylic acids play a role in the early response to citrus scab, whereas gibberellic and abscisic acids participate in symptom development.

배 우량계통의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평가 및 광합성률이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구명 (Evaluation of Scab Resistance and Effect of Photosynthetic Rates on Fruit Characteristics among Elite Pear Seedlings)

  • 원경호;강삼석;김윤경;;임경호;이한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2
    • /
    • 2013
  • 배는 국내 전체 과수 수출량의 74.6%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과수인데, Venturia nashicola에 의한 배 검은별무늬병은 해마다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큰 피해를 주고 있어 배 재배의 주요 애로사항으로 여겨지고 있다. 국내 배 재배면적의 82%를 차지하고 있는 신고 품종은 검은별무늬병에 민감한 품종으로서 이를 대체할 새로운 품종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배시험장에서는 2010년부터 검은별무늬병 이병률 포장 조사 및 실내검정을 통하여 환경 및 품종의 차이에 따른 저항성 기작을 연구하고 있다. 검정 결과, 우량계통 중 원교 나-55호가 3.3%의 이병률을 나타낸 것을 비롯하여, 원교 나-48호, 49호, 58호, 59호, 65호 등 6 계통이 15% 미만의 이병률을 나타내어 대조 품종인 신고가 기록한 이병률 69.4%보다 낮아 저항성 계통들로 여겨지는데, 일부 계통의 저항성은 서양배로 부터 도입된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합성은 식물이 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생산하는 과정이므로 식물의 광합성량과 양분합성량이 정비례할 것으로 예상되며, 생산된 양분은 과실 발달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하여 순간광합성량이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측정 결과, 원교 나-45호, 55호, 58호, 60호, 63호 등 5계통이 $18{\mu}molCO_2{\cdot}m^{-2}{\cdot}s^{-1}$ 내외의 값을 보여 다른 계통에 비해 순간광합성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과실 특성을 조사한 결과, 원교 나-52호의 과중이 749 g, 원교 나-45호의 당도가 $16.2^{\circ}Bx$로 다른 계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순간광합성량에 따른 과실 특성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요인들 간에 상관관계를 밝혀낼 수 없었으며, 이를 통해 과실 품질은 품종 고유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Rapid Identification of Potato Scab Causing Streptomyces spp. from Soil Using Pathogenicity Specific Primers

  • Kim, Jeom-Soon;Lee, Young-Gyu;Ryu, Kyoung-Yul;Kim, Jong-Tae;Cheon, Jeong-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4.2-135
    • /
    • 2003
  • The plant-pathogenic species S. scabies, S. acidiscabies, and S. turgidiscabies cause the scab disease of potato and produce the phytotoxins, thaxtomins. necl, a gene conferring a necrogenic phenotype, is involved in pathogenicity and physically linked to the thaxtomin A biosynthetic genes. Identification of the pathogenic strains of Streptomyces from soil was performed through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by using specific pathogenicity primer sets derived from the necl gene sequences of Streptomyces smbies. The DNA was extracted from soil using a bead-beating machine and modifications of the FastPrep system. The DNA was suitable for direct use in the PCR. The PCR products showed the bands of approximately 460 bp. This methods can be very usuful in identifying species responsible for scab diseases and studying on the ecology of plant-pathogenic Streptomyces spp.

  • PDF

Specific and Sensitive Detection of the Pear Scab Fungus Venturia nashicola by SYBR Green Real-Time PCR

  • Yun, Yeo Hong;Yoon, Seong Kwon;Jung, Jae Sung;Kim, S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1호
    • /
    • pp.1782-1786
    • /
    • 2015
  • A new improved PCR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the rapid, reliable, and sensitive detection of Venturia nashicola, a destructive pathogen of scab disease in Japanese pear. The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1 alpha gene-derived PCR primers specifically amplified a 257-bp-sized DNA band of the target gene from the genomic DNA of V. nashicola. No amplicon was produced from the genomic DNA of other Venturia spp. and reference fungal species tested. With the high detection limit of 10 fg DNA content, our real-time method could be used for the quarantine inspection and field monitoring of V. nashicola.

감자 더뎅이병 저항성 품종 선발 (On Selection of Resistant Potato Cultivars to Common Scab(S. scabies))

  • 홍순영;강영길;함영일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5-137
    • /
    • 2004
  • 제주지역 감자재배포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더뎅이병의 방제대책 마련의 일환으로 1997년과 2001년에 감자 더뎅이병 저항성인 품종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외국에서 도입하여 재배 가능성을 검토 중이거나 국내에서 재배중인 감자품종 중 더뎅이병 발생이 적은 포장에서는 알파, 젬칩, 대서, 조풍, 유곤골드 품종이 더뎅이병에 매우 강한 편이었으며, 더뎅이병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젬칩, 대서, 조풍이 더뎅이병에 비교적 낮은 이병율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장려품종 중에는 수미, 추백, 조풍 품종이 더뎅이병에 저항성이었다.

Streptomyces turgidiscabies에 의한 감자 더뎅이병 (Potato Common Scab by Streptomyces turgidiscabies)

  • 김전순;박덕환;임춘근;최용철;함영일;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1-554
    • /
    • 1998
  • Bacterial specs isolated from common scab lesion on potato (Solanum tuberosum L. c.. Dejima) tuber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turgidiscabies. This organism had flexuous spore chains and grey spore mass color, produced melanin pigment on ISP 7, but did not produce on ISP 6. S. turgidiscabies grew on agar media at pH 4.5, used L-arabinose, D-fructose, D-glucose, D-mannitol, raffinose, rhamnose, sucrose, D-xylose and meso-inositol as carbon sources, and was susceptible to 7% NaCl, thallium acetate (10 $\mu\textrm{g}$/ml, 100$\mu\textrm{g}$/ml), crystal violet (0.5 $\mu\textrm{g}$/ml), phenol (0.1%, wt/vol), oleandomycin (100 $\mu\textrm{g}$/ml), and streptomycin (20 $\mu\textrm{g}$/ml).

  • PDF

Streptomyces acidiscabies에 의한 감자 더뎅이병 (Potato Scab Caused by Streptomyces acidiscabies)

  • 김점순;박덕환;최용철;임춘근;홍순영;이승돈;함영일;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89-692
    • /
    • 1998
  •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common scab lesion on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acidiscabies. This organism had flexuous spore chains and white spore mass color, produced melanin pigment on tyrosine agar medium but did not produce on peptone agar medium. S. acidiscabies grew on agar medium at pH 4.0, used L-arabinose, D-fructose, D-glucose, D-mannitol, rhamnose, sucrose, D-xylose and meso-inositol except reffinose as carbon sources. It was also susceptible to thallium acetate (10 $\mu\textrm{g}$/ml, 100$\mu\textrm{g}$/ml), phenol (0.1%, wt/vol), streptomycin (20 $\mu\textrm{g}$/ml), and was resistant to 7% NaCl, crystal violet (0.5 $\mu\textrm{g}$/ml), penicillin (10 IU/ml) and oleandomycin (25 $\mu\textrm{g}$/ml, 100 $\mu\textrm{g}$/ml).

  • PDF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한 배 주요병해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f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Materials against Major Pear Diseases)

  • 윤덕훈;박혜준;남기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1-406
    • /
    • 2010
  • 배 친환경재배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 재배에 있어서 경제적 손실이 가장 큰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포자비산 요인 및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한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점은별무늬병원균 및 배붉별무늬병원균에 있어서 포자의 최초 비산은 온도와 관련이 깊으며, 최대비산은 습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제재인 Trichoderma harzianum-YC459과 황제품(80%)을 대상으로 배검은별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발병율이 무처리 75.3%에 비해 화학농약인 hexaconazole 이 11.7%, 미생물제재가 29.3%와 황제품이 43.3%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관행 배 재배농가에서 농가관행 방제구와 비교하여 미생물제 및 황제품의 단독 및 교호로 추가 살포한 경우, 배검은별무늬병의 발병율은 다소 낮았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배 재배농가에서 배검은별무늬병은 농가 관행방제구 10.3% 대비 황제품 추가 처리구에서는 7.8%의 발병율은 보여 유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배붉은별무늬병은 미생물제와 황 제품을 교호로 추가 살포한 처리구에서 4.3%의 낮은 발병율을 보여 농가 관행방제구 7.1% 대비 유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제주지역 감자더뎅이병 발생 특성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Potato Common Scab in Jeju Inland)

  • 홍순영;강영길;함영일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37-144
    • /
    • 2003
  • 제주지역 감자재배포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더뎅이 병의 방제대책 마련을 위해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더뎅이병의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감자재배 기간이 오랠수록 더뎅이병 이병율은 증가하였고, 토양 pH가 높아질수록 발병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감자 연작포장의 더뎅이병 발생율이 54.8% 인데 비해, 감자 재배 전 보리 혹은 배추를 재배하거나 휴경을 한 포장에서는 더뎅이병 발생율이 20.8~26.3%로 비교적 낮았다. 분리한 균주에서 Stteptomyces scabies, S. turgidiscabies, S. acidiscabies가 동정되었으며, 이들 균의 분리 비율은 각각 37.7%, 14.8%, 18.0%였다. 더뎅이병원균의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8~30^{\circ}C$ 였으며, 최적 pH는 6~7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