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wdust spaw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2초

액체종균(液體種菌) 접종(接種)에 의한 표고톱밥재배(栽培) 효과(效果) (Effect of Sawdust Culture o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by Inoculation of the Liquid Spawn)

  • 이태수;조남석;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9-28
    • /
    • 1998
  • For cultivation on sawdust-bed of oak-mushroom until present time, inoculation of spawn on sawdust bed has been performed by sawdust spawn. But, liquid spawn may have advantages for rapid mass production of spawn, and now, sawdust-cultivation by liquid spawn inoculation should be applied instead of sawdust spawn. Therefore,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awdust-cultivation by liquid spawn inoc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11 kinds of liquid media were applied, the oak-mushroom culture medium was the most excellent in growth. Most suitable temperature at PDA was $25^{\circ}C$, and $22.5\sim27.5^{\circ}C$ in range were optimal for liquid culture. In liquid culture, amount of mycelial growth increases rapidly up to 40 days of cultivation. Incubation at fermentor brought yield of 106mg dry mycelia per 40ml media after 17 days. 2. In 1l-spawn bottle, growth of mycelium by inoculation of 20ml-liquid spawns were faster than 6g-sawdust spawn in spread of mycelia. On 2kg-bag culture, inoculations of 10ml-, 20ml- and 30ml-liquid spawns were all slower than 20g-sawdust spawn in mycelial spread. So, amount increasement in ampunt of liquid spawn should be discussed. Yields of mushrooms until third sproutings of 2kg-bag culture were 580g in 30ml-liquid spawn inoculation, but 510g, 486g and 470g from 20g-sawdust spawn, 20ml-liquid spawn and 10ml-liquid spawn, respectively. Thus, 30ml-liquid spawn inoculation was highest in yield.

  • PDF

톱밥종균, 성형종균 및 액체종균을 사용한 표고톱밥배지에서의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Shiitake Productivity in Sawdust Media According to the use of Sawdust, Plug-shaped and Liquid Spawn)

  • 이봉훈;박원철;윤갑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9-83
    • /
    • 2006
  • 톱밥종균, 성형종균 및 액체종균 등을 사용함에 따른 생산성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배양 중의 배지오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액체종균 접종구에서는 오염이 없었고 톱밥종균과 성형종균 접종구의 오염율은 각각 6.7%였다. 3주기에 걸친 버섯 발생작업을 통해서 톱밥종균, 성형종균, 액체종균 접종구에서 각각 725.1g, 726.2g, 573.9g의 버섯을 수확했다. 배지당 버섯발생 개체수는 톱밥종균과 성형종균 접종구의 배지들에서 57.4개, 64.3개가 발생한 반면에 액체종균 접종구에서는 45.1개가 발생했다. 배지당 버섯수확량에 있어서 톱밥종균 접종구에서는 1,000g 이상 수확된 배지가 없지만 성형종균과 액체 종균에서는 배지의 13%와 7%로. 나타났다. 그리고 톱밥종균 접종구 배지의 79%, 성형종균 접종구 배지의 53%, 액체종균 접종구 배지의 33%에서 $600{\sim}999g$의 버섯이 수확되었다. 발생 주기에 따른 수확량을 비교해 보면, 액체종균 접종구는 다른 두 접종구에 비해 1주기에서는 수확량이 적은 반면에 2주기 및 3주기에는 수확량이 오히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잣버섯(Neolentinus lepideus) 재배를 위한 액체 및 톱밥종균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by Sawdust and Liquid Spawn for the Cultiv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 장명준;이윤혜;주영철;구한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5-129
    • /
    • 2010
  • 잣버섯에 적합한 액체종균용 주배지 재료는 대두분, 배양 기간은 12일, 통기량은 0.9 vvm이 적합하였다. 또한, 잣버섯 재배용 톱밥종균용 배지는 미송과 옥분을 부피비로 95 : 5로 혼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액체종균 및 톱밥종균을 사용하였을 경우 잣버섯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액체종균으로 재배한 경우 재배일수 43일로 톱밥종균으로 재배할 때보다 재배기간 보다 2일 단축되었고, 유효경수 11.3개, 수량 111.9 g로 우수하였다.

Development of a Novel Spawn (Block Spawn) of an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in Liquid Culture and its Cultivation Evaluation

  • Zhang, Wei-Rui;Liu, Sheng-Rong;Kuang, Yun-Bo;Zheng, Shi-Zhong
    • Mycobiology
    • /
    • 제47권1호
    • /
    • pp.97-104
    • /
    • 2019
  • Mushroom cultivation has gained increased attention in recent years. Currently, only four types of spawn, including sawdust spawn, grain spawn, liquid spawn, and stick spawn, are commonly available for mushroom cultivation. This limited spawn diversity has led to difficulty in selecting suitable inoculum materials in some cultivation. In this study, three small blocks of lignocellulosic agro-wastes and one block of a synthetic matrix were prepared as support for growing Pleurotus ostreatus in liquid medium. Mycelium-adsorbed blocks were then evaluated for their potential as block spawn for fructificat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dible fungus was adsorbed and abundantly grew internally and externally on loofah sponge and synthetic polyurethane foam (PUF) supports and also has the ability to attach and grow on the surface of sugarcane bagasse and corncob supports. The mycelia of P. ostreatus adhered on corncob exhibited the highest metabolic activity, while those on the PUF showed the least activity. Mycelial extension rates of block spawns made of agro-waste materials were comparable to that of sawdust spawn, but the block spawn of PUF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at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opping time and yield were observed among cultivations between experimental block spawns and sawdust spawns. Moreover, the corncob block spawn maintained its fruiting potential during an examined period of 6-month storage. The developed block spawn could be practically applied in mushroom cultivation.

버들송이(Agrocybe cylindracea)의 액체종균 배양조건과 접종량 (Culture Condition and Inoculum Volume of Liquid Spawn on the Bottled Cultivation of Agrocybe cylindracea)

  • 정종천;홍인표;장갑열;박정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4-97
    • /
    • 2003
  • 버들송이의 액체종균 제조를 위한 배양조건과 종균으로 사용시의 접종량을 검토하기 위한 시험 결과 배지 종류로는 감자추출배지(PSB)가 가장 좋았으며 온도는 $25^{\circ}C$, pH는 7.0에서 좋았다. 접종량별로는 $10{\sim}15ml$ 접종한 것이 우수하였다. 버들송이의 액체종균은 13l들이의 간이배양 장치를 제작하여 감자추출배지 10l에 10일간 배양후 균체건조량 21.8 g을 얻었다. 이를 병재배용 850 ml PP병의 톱밥배지에 10m1(균체량 21.8mg상당)씩 접종한 결과 배지 배양기간은 30일로써 톱밥종균을 사용할 때 보다 5일이 단축되었다. 또한 버섯발생병은 톱밥종균을 사용할 때의 75%에 비하여 92%로 높아졌고 자실체 수량도 122g으로 톱밥종균보다 10% 증수되었다. 따라서 본 액체종균 배양기술은 버섯 병재배 시설을 활용한 버들송이의 연중 재배에 도입하므로써 안정된 버섯생산으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표고톱밥재배시 톱밥종균과 액체종균의 접종량 차이에 따른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Productivity according to Different Quantity of Sawdust and Liquid Spawn for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 박원철;이봉훈;가강현;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4
    • /
    • 2008
  • 중온성 품종을 사용했을 때 톱밥종균과 액체종균의 접종량에 따라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했다.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은 수확이 차수별로 분산되고 자실체도 산발적으로 발생되었다. 반면에, 액체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은 톱밥종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확이 1차 발생에 집중되었고 자실체들도 조밀하게 발생되었다. 7차 발생까지의 총수확량과 버섯 개수도 액체종균 처리구가 톱밥종균 처리구보다 더 많았다. 또한 배지무게의 30%가 생산된 액체종균 20 ml 접종 처리구의 생물적효율은 69%로 처리구들 중 가장 높은 반면에, 톱밥종균 10 g 접종 처리구의 생물적효율은 42%로 처리구들 중 가장 낮았다. 그리고 비록 총수확량 중 10 g 이상 되는 버섯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지만, 10 g 이상 되는 버섯의 양은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이나 액체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표고 톱밥재배시 중온성 품종의 종균 형태에 따른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productivity among various spawn shapes of middle-temperature type strain for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 이봉훈;박원철;가강현;유성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8-41
    • /
    • 2008
  • 종균의 종류에 따라 중온성 품종의 생산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버섯의 발생 경향은 세 처리구 모두 비슷했으며, 성형종균과 액체종균 처리구는 2차발생까지 총수확량의 50% 이상, 4차까지 80%이상 발생되었다. 기형버섯조사에서는, 세 처리구 모두 2차 발생까지만 기형버섯이 발생되었다. 하지만 기형버섯 발생률에 있어서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액체종균 접종구에서의 발생률이 낮았다. 수확량조사에서는 액체종균을 접종했을 때 배지당 411 g으로 처리구들 중 가장 많았고 10 g이 넘는 버섯도 309 g으로 톱밥종균과 성형종균에 비해 많았다. 그리고 발생된 자실체 개수는 톱밥종균과 성형종균 간에 유의성이 있었지만 자실체 개당 무게는 세 처리구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 PDF

Thermophile mushroom cultivation in Cambodia: Spawn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a new substrate, acacia tree sawdust

  • Chang, Hyun-You;Huh, Youn-ju;Soeun, Pisey;Lee, Seung-ho;Song, Iva;Sophatt, Reaksmey;Seo, Geum-Hui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16
  • 이 연구는, 느타리버섯과 풀버섯만 재배하던 캄보디아에서 영지버섯, 목이버섯 그리고 표고버섯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고온성 버섯들의 종균을 생산하고, 캄보디아에서 생산되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새로운 버섯배지를 찾기 위해 시도되었다. 종균 및 버섯재배 배지로, 여러 종류의 유기물찌꺼기, 곡물, 그리고 톱밥이 사용되었다. 고무나무 톱밥배지에서 자란 균사 (10.9 cm/15일)는 곡물배지에서 자란 균사 (11.2 cm/15일)에 비해 성장이 조금 느렸지만, 고무나무 톱밥은 낮은 가격 및 취급의 용이성이 있어, 비싼 곡물종균을 대치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배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생산을 위해서, 고무나무톱밥(60.8% BE), 사탕수수박(60% BE), 그리고 아카시아나무 톱밥 등에 미강과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는데, 사탕수수박과 고무나무 톱밥은 매우 비슷한 높은 생물학적 효율(BE)을 보여주었고, 아카시아나무 톱밥은 비교적 낮은 22.4%의 생물학적 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낮은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아카시아톱밥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높은 가격의 배지들과 혼합하여 사용된다면 매우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배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톱밥의 가격 (20 kg 고무나무톱밥=6500 Riel 혹은 1.6 USD)과 비교했을 때, 아카시아톱밥의 가격(20 kg=1000Riel 혹은 0.25USD)이 매우 낮아 버섯의 생산에 투자되는 비용을 크게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Fermented Sawdust on Pleurolus Spawn

  • Oh, Se-Jong;Shin, Pyung-Gyun;Weon, Hang-Yeon;Lee, Kang-Hyo;Chon, Gil-Hyong
    • Mycobiology
    • /
    • 제31권1호
    • /
    • pp.46-49
    • /
    • 2003
  • A method of spawn making procedur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fermented sawdust for the purpose of avoiding contamination by undesirable fungi in the course of Pleurotus ostreatus mycelial growth was evaluated. Of three kinds of supplements, rice bran was the most effective to raise temperature up to $70^{\circ}C$. Mycelial activity and density was more considerably improved in the case of using fermented sawdust supplemented with rice bran than the case of non-fermented sawdust. Primordia of Pleurotus ostreatus were formed on fermented sawdust. The substrate of fermented sawdust showed potential to prevent the growth of Trichoderma sp. which caused a symptom on mushroom mycelium, whereas there was nothing to inhibit the growth of Trichoderma sp. during 30 days after inoculation in non-fermented sawdust.

목이재배를 위한 배지선발 및 최적 접종조건 (Condition of the most suitable inoculation and manufacture of spawn of ear mushroom)

  • 유영진;최규환;정종성;이기권;김효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5-148
    • /
    • 2013
  • 목이버섯의 톱밥종균을 제조하는데 참나무톱밥은 영양원으로 미강을 20%첨가하고, 포플러톱밥은 밀기울을 10%첨가하였을 때 목이버섯의 균사와 밀도가 양호하였다. 이때 봉지재배에 적합한 종균 접종양은 참나무톱밥종균은 15 g, 포플러톱밥종균은 25 g를 접종할 때 오염발생률이 줄고 배양완성률이 높아 적합한 접종양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