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sage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28초

돈육 도체등급 및 쑥 분말 첨가에 따라 제조된 소시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Prepared with Mugwort Powder and Different Carcass Grade)

  • 현재석;문윤희;강세주;김종기;정인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2-298
    • /
    • 2003
  • 본 연구는 쑥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도체등급 B 돈육에 쑥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소시지(A)와 첨가한 소시지(B), 도체등급 E 돈육에 쑥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소시지(C)와 첨가한 소시지(D)를 제조하고, 일반성분, 열량, 보수력, pH, 아질산염 잔류량, 표면색깔, 조직특성,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및 조회분 함량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은 B 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높았다. 그리고 조단백질 함량은 E 등급 돈육소시지가 B 등급육 소시지보다 높았다. 열량, 보수력 및 pH는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아질산염 잔류량은 쑥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낮게 나타났다. 돈육소시지의 L$^{*}$ 값은 B 등급육 소시지가 높았고, a$^{*}$ 값은 E 등급육 소시지가 높았으며, b$^{*}$ 값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 특성에서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은 소시지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탄력성은 B 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높았고, 뭉침성은 쑥 분말을 첨가한 B 등급육 소시지가 720 g으로 가장 낮았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A, B, C 및 D 소시지가 각각 0.603, 0.515, 0.618 및 0.531%이었다. 관능적인 향기,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색깔, 맛 및 조직감은 B 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쑥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이 첨가한 것보다 높았다.

들깻잎 분말 첨가가 돈육소시지의 표면색깔, 아질산 잔류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on the Surface Color, Residual Nitrite and Shelf Life of Pork Sausage)

  • 정인철;김영길;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4-660
    • /
    • 2002
  • 본 연구는 들깻잎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들깻잎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4 종류의 돈육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돈육소시지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게 나타났다. B 등급 돈육소시지의 a*값은 저장 8주 째에 가장 낮았고,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4주 째에 가장 높았으며, E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E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중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a*값이 낮았으며, b*값은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높았다.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들깻잎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B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의 pH는 4주까지 감소하다가 6주부터 증가하였다. VNN 함량은 저장초기 6.7~8.4mg%이던 것이 저장 중 증가하여 8주 째에는 16.1~19.5mg%를 나타내었다. 돈육소시지의 TBARS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저장 중 더 낮았다. 총균수는 모든 돈육소시지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았다.

훈제품 제조시 유출되는 Shrink를 이용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Sausage Processed with Shrink Discharge during Process of Smoke Meat Products)

  • 정인철;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65.1-87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se the shrink discharged during process of smoke meat products. Qualities of sausage were grasped, and investigated storage properties during five weeks. The gel strength of pork sausage were 1,461~1,847g.cm, this of chicken sausage were 865~1,733g.cm. The cooking yield of sausage were 81~ 85% in general, contents of salt were 2.5~2.9%. The L value(lightness) of pork sausage were 44.8~47.2, those of chicken sausage were 43.1~48.0, and the L value of the interior was higher than the surface. The remainder contents of nitrite were 3.1~9.4ppm, the sorbic acid contents of all sausage were 0.8g/kg. The amino acid contents of chicken sausage were higher than those of pork sausage. The pH of sausage not changed uniformly during storage. The TBA value and the VBN contents were a slight tendency to increase during storage. The total plate counts of all sausage maintained 104 less than during storage.

  • PDF

드립 첨가가 돈육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ed Drip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Pork Sausage)

  • 문윤희;김종기;정인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3-13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ip addition on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 The pH of pork sausage was not affected by addition of nitrite or drip. Hunter's "a" value of pork sausage nitrite added was higher than pork sausage none added nitrite. The remained content of nitrite in nitrite added pork sausage was not over the permitted value(70ppm). The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of pork sausage added drip was higher than pork sausage none added drip.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pork sausage prepared by addition of nitrite and drip. The sensory value was not different between samples. The VBN, TBARS and total plate count during storage was low in pork sausage prepared by addition on nitrite. There, the drip was desirable to use in preparation of meat product.

  • PDF

훈제 처리가 가열소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quality boiled sausage)

  • 정청송;유상훈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1-41
    • /
    • 2001
  •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quality sausage Sausages were prepared from beef, port, chickens, games, fish and shellfish with polyphosphate salt and spices. Sausage history goes back to 3,000 years of age. The procedure of sausage 1) Meat Curing 2) Meat Control 3) Add Spices 4) Permissible Ingredients 5) Grinding 6) Mixing Emulsion 7) Stuffing 8) Showing 9) Smoking 10) Cooking 11) Drying 12) Packaging Sausage Product to get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smoking onto the quality of meat produces. Sausage was smoked under a given conditions. Smoking was conducted as 35f$^{\circ}C$to 6$0^{\circ}C$ the related humidity of smokehouse was still at 60 to 70 percen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enetrated smoke in sausage was prolonged < p.<0.02 when sausage was smoked 2hours at 60~$65^{\circ}C$ the penetrated amount of free acetone in sausage was 0.5mg%. 2. Peroxide value of sausage as heating treatment both at 3$0^{\circ}C$ and at 5$0^{\circ}C$ was prolonged. 3. When sausage was heated at 3$0^{\circ}C$, bacteria of sausage increased In number while at 60~$65^{\circ}C$ bacteria of sausage increased In number fourteen hours. 4. When sausage was treated with smoking the distribution of free amino acids in sausage was changed markedly. 5. The longer smoking time of the products was the higher the content. 6. In case of oak wood smoke flavoring all of test samples. 7. Rapid decrease of does-response mutagenic curve of the smoke flavoring of oak wood and apple wood by in the peak of curve and phenol in the smoke flavoring.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make sausages easily in the butcher shops and in the restaurants. 8. Sausage texture evaluation has 13 rules. It is Elasticity, Surface Moisture, Surface Smoothness, Center Hardness, Skin Toughness, Cohesiveness, Denseness, Moisture Release, Cohesiveness of Mass, Lumpiness, Graininess (of Contents), Skin separation, Oiliness and sensory 11 rules evaluation is color, texture, mold, flavor, sweet test, salty, sourness, bitter, and savory taste. 9. Smoked, component, peroxide value, bacteria, color, free amino acid, tenderness, flavor, shrinkage are important values.

  • PDF

솔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 권순용;신명은;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7-364
    • /
    • 2012
  •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0%, 0.5%, 1.0%, 1.5%, 2.0%, and 2.5%) as an ingredient. The basic ingredients of sausage consisted of pork meat 60%, olive oil 20%, and ice water 20%. Sensory properties of sausage were analyzed by a sensory test, and the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a texturometer and color meter,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highest in the sample with added 1.5% pine needle powder. The sausage with added 1.5% pine needle powder was moderate in color intensity, pine needle flavor, and astringent taste. Hardness and gumminess of sausage were higher in 1.0% and 1.5% pine needle powder. However, springness and chewiness of saus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lor intensity of sausage, L-value and a-value were lower and b-value was higher, depending on the pine needle powder amount. Development of off-flavor of sausage during storage was greater in 0% and 1.5% added sausages than in 2.0% sausage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s a conclusion, sausages with added 1.5% and 2.0% pine needle powder were the most suitable for making functional sausage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깻잎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Pork Sausage)

  • 정인철;강세주;김종기;현재석;김미숙;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0-355
    • /
    • 2003
  • 본 연구는 깻잎 분말의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pH, 칼로리, 보수력, 아질산 잔류량, 표면색깔, 조직 특성,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을 실험하였다. 수분 줄 조회분 함량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은 B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보다 높았고, 깻잎 분말을 첨가한 B 등급육 소시지가 깻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그리고 조단백질 함량은 E 등급육 소시지가 B 등급육보다 높았다. 돈육소시지의 pH는 깻잎 분말을 첨가한 E 등급육 소시지가 6.19로 가장 높았으며, 칼로리는 깻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B 등급육 소시지자 2,473 cal/g으로 가장 높았다. 보수력은 깻잎 분말의 첨가와 관계없이 B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아질산 잔류량은 깻잎 분말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돈육소시지의 $L^{*}$ (명도)은 B등급육이 E등급육보다, 깻잎 무첨가구가 깻잎 첨가구보다 높았으며, $a^{*}$ 값(적색도)는 B 등급육보다 E 등급육이, 깻잎 무첨가구가 깻잎 첨가구보다 높았고, $b^{*}$ 값(황색도)은 깻잎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높았다. 조직적 특성에서 경도, 탄성, 응집성 및 씹힘성은 소시지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뭉침성은 깻잎을 첨가한 E등급육 소시지가 644 g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총아미노산 함량은 소시지들 사이 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능적인 색깔 및 조직감은 B 등급육 소시지가 E 등급육 소시지보다 우수하였으나, 향기 및 맛은 등급과 깻잎 분말의 첨가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전체적인 기호성은 깻잎 무첨가 소시지가 우수하였다.X>9t가 trans 지방산 이성 체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냉동피자의 C18:1 $\Delta$9t 함량은 30%를 초과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슈크림 빵은 높은 C18:2t 함량을 보였으며(8.26%), 불고기버거와 피쉬버거의 C18:2t trans 지방산 함량은 3.26%와 3.3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육가공품 및 튀김류 중 냉동 닭튀김과 냉동 감자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15%~l9%의 수준으로 높았으며, C18:1$\Delta$9t과 C18:2t가 그 주된 성분이었다. 돼지고기구이 (목살)에서는 C18:1$\Delta$9t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냉동감자튀김에서는 C16:1 $\Delta$9t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분량 당 trans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품은 팝콘, 냉동피자, 감자튀김과 닭튀김, 빵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 집단을 하나의 제도의 틀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총허용어획량(TAC)을 총 어촌 허용어획량(TAIVCs)과 총 허용 유어 어획량(TARCs) 및 총허용 상업적 어획량 (TACCs)의 세부문으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다시 TAFVCs와 TARCs, 그리고 TACCs는 어촌별 어획량(ITCQs), 개별 유어 회사별 어획량(IRCQs), 그리고 양도 가능한 개별 상업적 어획량(ITCQs)으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중국의 국가 총허용어획량(TAC)을 IFVQs와 IRCQs, 그리고 ITQCQs의 세부문으로 구분하여 할당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어업을 관리하는 것은 중국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성과 경제적 효율성과의 상충관계를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중국에 있어서 수산업을 통한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 Fat Sausage Amended with Hydrated Oatmeal and Various Meats

  • Yang, Han-Sul;Kim, Gap-Don;Choi, Sung-Gil;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5-372
    • /
    • 2010
  • Low-fat sausages were prepared with various mea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oatmeal at 10% as a fat substitute. The sausages were made with beef, pork and chicken after trimming the visible fat, and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ausages were evaluated. Beef sausage had the lowest cooking yield and the highest hardness, while chicken sausage showed the opposite properties. The addition of oatmeal resulted in sausage products with less cooking loss and softer texture for all types of meat sausages. Such changes were more pronounced for beef low-fat sausage than for the other types of sausages. The results of moisture absorption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cooking yield and hardness among sausage products was due to the water-retention properties of different meats and the substitute in response to heat treatment.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greatest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ausage products were obtained from 10% oatmeal-added pork sausage and that the addition of oatmeal led to better acceptability for all types meat sausages.

한국산(韓國産) SAUSAGE에 관(關)한 연구(硏究) (시판(市販) SAUSAGE의 영양성분(營養成分)과 외국(外國) SAUSAGE와의 비교(比較)) (Studies of Sausages in Korea -Comparison of Nutritive Components of Korean Commercial Sausages and Foreign Sausages-)

  • 우순자;이혜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3-180
    • /
    • 1978
  • 국민소득(國民所得)의 향상(向上)과 아울러 식생활(食生活)의 변천(變遷)으로 특(特)히 sausage와 같이 식생활(食生活)을 간편화(簡便化) 시킬 수 있는 외국식품(外國食品)의 모방품(模倣品)이 우리나라에도 공업적(工業的)으로 대량생산(大量生産)되고 있다. 본고(本稿)는 sausage에 관(關)한 법적규제(法的規制)와 실험결과(實驗結果)로서 한국(韓國) sausage의 품질(品質)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1. 실험재료(實驗材料)로서는 시판(市販) sausage, Beef, Hamburger Frank, Hotdog 등(等)을 제조원(製造元)에 따라 각각(各各) 3종류(種類)씩 택(擇)하여 일반성분(一般性分), 첨가물(添加物), 무기질(無機質) 등(等)을 분석(分析)하였다. 2. 일반성분(一般性分) 분석결과(分析結果)에 의(依)하면 우리나라 sausage의 영양성분(營養成分)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손색이 없다고 보며 법적(法的)으로 위배(違背)됨이 없었다. 3. 외국(外國) sausage와 비교(比較)해 볼 때 Beef sausage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19{\sim}23%$로 높은 값을 보이며 수분함량(水分含量)은 Hotdog$(63{\sim}69%)$를 선두로 Beef와 Hamburger 등(等)이 60%이상(以上)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Bruhwurst(찐 sausage)류(類)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지방함량(脂肪含量)은 Frank(26.5%)를 제외(除外)하고는 $4{\sim}20%$로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어 우리나라 sausage의 타박타박한 맛이 여기에 근거하지 않는가 생각된다. 4. 결체조직(結締組織)속의 Collagen 함량(含量)을 추구하는 Hydroxyproline 측정법(測定法)을 통(通)해 얻은 결과(結果)로서는 우리나라 sausage 단백질중(蛋白質中) Collagen함량비율(含量比率)이 $2.1{\sim}15%$로 외국(外國) sausage $20{\sim}35%$에 비(比)하여 매우 낮다. 이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로서는 한국시판 sausage 재료속의 육함량(肉含量)이 매우 적음을 시사해 준다. 5. 육류이외(肉類以外)의 전분등(澱粉等) 이물질(異物質)사용을 억제(抑制) 하고 있는 독일(獨逸)의 Bruhwurst(cooked sausage) 및 fresh sausage 등(等)과 생식육(生食肉)의 일반성분(一般性分)을 대조(對照)하여 그 수분(水分)/단백질지수(蛋白質指數), 지방(脂肪)/단백질지수(蛋白質指數), 건물등(乾物等)에 의(依)한 평가법(評價法)을 적용(適用)했을 때, 우리나라 sausage는 아주 색다른 비율(比率)을 나타내고 있어 수육함량(獸肉含量)이 매우 적고 대부분(大部分)이 이물단백질(異物蛋白質), 전분(澱粉), 결착보조제(結着補助劑) 등(等)을 많이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된 것을 암시(暗示)해 준다. 6. 실험(實驗)한 sausage중(中) Frank sausage의 품질(品質)이 가장 양호(良好)한 편이나 아직 외국(外國) sausage의 품질(品質)을 따르지 못 하고 있음은 그 육함량(肉含量)의 차(差)에 기인한다고 본다.

  • PDF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Cheongyang Red Pepper Sausage and Effect of Central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 Choi, Yun-Sang;Ku, Su-Kyung;Kim, Tae-Kyung;Park, Jong-Dae;Kim, Young-Chan;Kim, Hee-Ju;Kim, Young-Bo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49-758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food industry by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raw materials and sausage examining the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sausage quality. Total microbes in sausage ranged 2.21-3.11 Log CFU/g. Bacillus pumilus, B. licheniformis,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and Enterococcus faecalis were detected on sausage. Total microbes in raw materials was 1.59-7.16 Log CFU/g. Different types of microorganisms were found depending on raw materials, with B. pumilus and B. subtilis were being detected in both raw materials and sausage. Total microbes in sausage after heating was in the range of 1.10-2.22 Log CFU/g, showing the trend of decrease in total microbe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although the decrease was not significant.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pH and hardness were also increased. The yield of sausage manufactured at $85^{\circ}C$ was 95.42% while that manufactured at $65^{\circ}C$ was 96.67%. Therefore, decreasing heating temperature during sausage production might increase yield and save energy without microbiologic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