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rurus chinensis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5초

약초중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조사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 황진봉;양미옥;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1-679
    • /
    • 1997
  •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약초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건물기준으로 조회분은 오가피, 쇠비름, 사상자가 각각 22.4, 20.6, 15.0%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고, 조단백은 산조인, 택사, 정력자, 결명자가 각각 39.9, 30.6, 28.8, 27.5%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다. 조지방은 산조인, 창이자, 소자, 동과자 순으로 각각 27.9, 24.0, 22.8, 22.4%, 조섬유는 만형자, 영지, 송절, 접골목 순으로 각각 59.5, 53.9, 46.4, 41.2% 그리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복령, 천마, 초용담, 지황이 각각 91.2, 87.9, 86.3, 86.0%로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은 상기생, 동규자, 연자육이 각각 100 g당 1,485.9, 1,149.5, 985.0 mg로 다량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마그네슘은 삼백초, 단삼, 칡이 각각 728.0, 582.0, 464.9 mg로 다량 함유하였다. 칼슘은 승마, 오가피, 건칠이 각각 8,506.6, 7,106.5, 3,010.2 mg로 측정되었으며, 칼륨은 송이, 어성초, 우슬이 각각 5,613.5, 5,353.5, 4,665.7 mg였다. 또한 나트륨의 경우 육종용, 두충, 매실이 각각 2,064.5, 595.3, 291.4 mg, 철은 대계근, 초용담, 속단이 각각 307.4, 233.0, 207.6 mg로 나타났다.

  • PDF

퇴행성 골관절염에 대한 HPL-04의 효과 (Effects of HPL-04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 나지영;송기쁨;김석호;권영배;김대기;이준경;조형권;권중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0-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HPL-04가 골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HPL-04는 연골세포 생존율과 연골형성과 관련된 collagen type II, SOX 9 그리고 aggrecan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성 인자와 관련 있는 MMP-2, 9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HPL-04는 MIA에 의해 유도된 퇴행성 골관절염에서 관절연골의 파괴와 골 침식 등 연골의 변성을 억제했으며 proteoglycan의 소실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HPL-04가 부작용이 적고 약리효과가 뛰어나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약용식물 종자로 재배된 쌈잎채소의 영양학 및 관능적 평가 (Nutritional and Sensory of Green Leafy Vegetables Cultivated from Medicinal Plant Seed)

  • 박소이;김태수;박춘근;강명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1-277
    • /
    • 2012
  • 본 연구는 약용식물로부터 쌈잎채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10종의 약용식물을 선발하여 쌈잎채소를 개발하였고, 그들의 영양화학적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분함량 결과, 삼백초 $91.23{\pm}0.00%$, 자소차조기 $90.39{\pm}0.05%$ 그리고 배초향 $66.78{\pm}0.05%$였다. 조지방 함량은 배암차즈기 8.89% 및 식방풍 0.13%였다. 조단백 함량은 배초향 $11.1{\pm}0.00%$, 식방풍 $0.54{\pm}0.03%$였고, 총당 함량은 뱀무 $20.06{\pm}0.03%$, 율무잎 $12.73{\pm}0.03%$ 및 백출이 $1.04{\pm}0.03%$로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 분석 결과, 개발된 쌈잎채소들은 glucose, sucrose 및 fructose는 높게 나타났지만, maltose 함량은 낮았다. Ascorbic acid 함량 분석 결과 삼백초 $33.67{\pm}1.40$ mg%, 자소차조기 $27.91{\pm}2.91$ mg%였고, 개미취는 $15.68{\pm}1.09$ mg%였다. 클로로필 함량은 다른 쌈잎채소에 비교해 자소차조기에서 높았다. 관능 검사 결과, 단맛은 율무잎, 자소차조기 및 백출에서 높았지만 단맛이 높을수록 신맛과 쓴맛은 낮게 나타났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in Korea)

  • 임효선;한세희;장현도;김윤영;소순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27-452
    • /
    • 2020
  •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8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3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증거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관속식물은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군으로 기록되었다. 이 중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붓꽃, 삼백초(식재)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미선나무, 금털고사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붉노랑상사화, 변산향유, 변산바람꽃 등 1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9분류군으로 생태계교란종은 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분류군, 남방계 10분류군, 관심식물은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분류군은 186분류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