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di Arabia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9초

유라시아 지역 바지 구조의 계보 (The Genealogy of Trousers in the Eurasian Region)

  • 김문영;조우현
    • 복식
    • /
    • 제53권7호
    • /
    • pp.95-109
    • /
    • 2003
  • The style of different styles of clothing have been developed by not onl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effects. but also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peculiar cultures and religions of different ethnic groups. It is naturally accepted without question that the origin of trousers was derived from the Skytie race in the modern style of dress. And the style of those trousers has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out a long history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surroundings. As part of the research of the process in this styles of clothing, it is essential to know how the fabric of trousers has been developed and how the styles have been changed because of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and different religions. Nowadays, Eurasian countries was scattered from western and eastern Asian countries to middle Asian countries such as Russia, Uzbekistan, Kazakistan, Turkey, Turkmenistan, Iran and China. These countries are located on the way to the Silk Road. They are fully developed in a cultural area among the different religions. In terms of cultural aspects within the different religions, men's trousers had developed the traditional style of this dress as one of the importnat items on the cultural basis. The ranges and types of these traditional trousers are divided by the regions, such as west and southern Asia, central Asia and China. Pakistan, Afghanistan, Iran, Iraq, Syria, Lebanon, Turkey. Jordan, Saudi Arabia, Kuwait and Israel was a part of the west and southern Asian countries which were located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eastern countries. This tribes wore Shalwar trousers which is a wide style of trousers. Shalwar in the western and eastern Asian region has a specific feature by the each nation but has the same distinctions such as by using very wide and loose style and tying a fine thread around the waist. Some central Asian countries consisted of part of China, Turkmenistan. the Republic of Tajikistan. the Republic of Kyrgyzstan and the Republic of Afganistan. These style of trousers are compound types which appeared with mixing Draperian Greek culture. So it can be inferred from this data that the horse-riding nomadic trousers which had been handed down from Skytie tribe through Persia. The style of the trousers in those regions has small pieces. The style of the trousers in China, which is located on the way to the far eastern countries, has developed new trousers put together two pieces of the textile. These widen trousers can be worn by using a sash belt. So we can find out that those trousers of countries which mentioned above have a common point and a rule.

퓨리에 기술자 분석을 이용한 단일 흙 입자의 형상 분석 (Soil Particle Shape Analysis Using Fourier Descriptor Analysis)

  • 구본휘;김태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1-26
    • /
    • 2016
  • 주문진 표준사와 사우디 아라비아의 Ras Al Khair 사질토 입자의 형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200배 확대하여 해상도 $640{\times}320$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사질토 입자의 디지털 이미지를 영상 처리를 통해 입자 경계면의 좌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입자의 경계면 좌표를 복소 평면에 도시하고, 극형식으로 변환 후 퓨리에 변환을 실시하였다. 퓨리에 변환을 통해 추출된 각각의 계수 값들은 입자 형상의 특징을 반영하며, 좌표의 기준점 이동에 대해 불변하는 값으로 사질토 입자의 이미지에 대해 좌표의 기준점과 회전등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값을 갖게 되어 입자의 형상 분석에 적합하다. 각각의 계수 값을 입자의 등가 반경으로 정규화하여 퓨리에 기술자를 추출하여 입자의 형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에서 +3의 범위에 해당되는 주요 퓨리에 기술자들을 분석한 결과 주문진 표준사 입자의 경우 신장(elongation)이 가장 두드러진 형상의 특징이었으며 그다음으로는 비대칭성(asymmetry)이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Ras Al Khair 사질토의 형상도 주문진 표준사와 같은 형상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퓨리에 기술자 분석 결과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되풀이되는 프랙탈의 미세구조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상도 $640{\times}320$과 해상도 $160{\times}80$의 주문진 표준사의 디지털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3에서 +3에 해당되는 주요 퓨리에 기술자에 대해서는 해상도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텍스쳐 분석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relation of Preoperative Ki67 and Serum CA15.3 Levels with Outcome in Early Breast Cancers - a Multi Institutional Study

  • Rasmy, A;Abozeed, W;Elsamany, S;El Baiomy, M;Nashwa, A;Amrallah, A;Hasaan, E;Alzahrani, A;Faris, M;Alsaleh, K;AlFaraj, 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595-3600
    • /
    • 2016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operative pathological Ki-67 labeling index and serum tumor marker cancer antigen 15-3 (CA 15-3) with clinic-pathological parameters and treatment outcomes in early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at 4 cancer centers in Saudi Arabia and Egypt was performed. Data were collected for female patients diagnosed with unilateral early breast cancer between March 2010 and October 2013. Cases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NACT) followed by surgery and radiotherapy were included. NACT included 6-8 cycles of anthracycline and taxane based regimens. Trastuzumab and hormonal treatments were added according to HER2 and hormone receptor status. Baseline serum CA15.3 and pathological Ki67 levels were evaluated and correl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A total of 280 pts was included. The median age was 49 years (38-66 y) and median overall survival was 35 (20-38) months (mo). Estrogen receptors (ER), progesterone receptors (PR) and HER 2 receptors were positive in 233 (83.2%), 198 (70%) and 65 cases (23.2%), respectively. High preoperative Ki67 and CA15.3 were noted in 177 (63.2%) and 131 (46.8%). A total of 45 (16%) patients had distal or local recurrence and 24 (8.6%) died of their disease. Most of the relapsed cases had high preoperative Ki-67 (n=41, 91%) and CA15.3 (n=28, 62%) values. All of the patients who died had a high Ki-67 but CA15.3 was high in 9 (37%) only. Mean DFS/OS in patients with high preoperative Ki-67 was 32 months /32 months as compared to 37 months/35 months in those with normal Ki-67 (p<0.001). Correlation of preoperative CA15.3 and survival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Conclusions:Preoperative Ki-67 can be a predictive and prognostic marker. Higher levels are associated with poor DFS and OS in patients with early BC.

아랍에미레이트(UAE) 물류 비즈니스 분석과 시사점 -포터(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The Logistics Business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UAE - With Porter's Diamond Model -)

  • 정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33-138
    • /
    • 2016
  • 경제다각화와 경제성장에 있어 아랍에미레이트는 그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물류분야에 있어서는 글로벌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물류 클러스터 또는 허브의 하나로서 성공적인 행보를 기록해왔다. 그러나 중동지역의 폐쇄성으로 인해 아직까지 물류 비즈니스 관련 세부적인 데이터 및 자료 등이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아랍에미레이트 물류 비지니스 산업의 경쟁력에 대한 실증분석도 거의 이루어져 오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하여 아랍에미레이트 국가와 타 중동국가들과의 물류 비즈니스 경쟁력 분석을 실시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경쟁 환경 안에서 아랍에미레이트 물류 비즈니스 경쟁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중동국가간의 경쟁력 분석결과 UAE는 생산요소조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그 다음으로 물류여건, 관련 및 지원 산업, 수요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쟁 환경 안에서의 경쟁력 분석 결과에서는 수출입 물류프로세스의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켜야 하며, 국제선적의 용이성, 물류역량 그리고 물류의 적시성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국제기구에서 발표된 물류 관련 데이터 집합체들은 향후 물류 허브국가들의 물류경쟁력을 분석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기름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분리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해 세균 Idiomarina piscisalsi 10PY1A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iodegrading bacterium Idiomarina piscisalsi strain 10PY1A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 ;정병권;김민철;;;;;김상준;신재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9-292
    • /
    • 2018
  • 석유로 오염된 사우디아라비아의 바다 모래에 pyrene을 영양물로 첨가하는 집식배양을 통해 우점하는 박테리아 균주 10PY1A가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해 Idiomarina piscisalsi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는 G + C 비율이 47.4%이며 2.69 Mbp 크기의 원형 염색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염색체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해와 관련 있는 유전자를 포함한 2,346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이 균주가 석유로 오염된 해양과 토양에서 방향족탄화수소를 분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오일샌드 탐사 및 개발을 위한 현생유사퇴적환경 연구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Modern Analog Studies for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Oil Sand)

  • 최경식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0
    • /
    • 2008
  • 캐나다 오일샌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부존량과 맞먹을 만큼 방대한 매장량을 자랑하고 있는 대표적인 비재래 원유이다. 오일샌드 저류층을 구성하는 퇴적층은 조수우세 퇴적환경에서 형성된 수로충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수퇴적층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에너지의 상호작용 결과 공간적으로 복잡하고 불균질한 물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오일샌드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저류층내 물성의 공간적인 분포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공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오일샌드 저류층의 특성화를 위해 사용되는 지질모델은 고기와 현생의 유사퇴적환경에 대한 비교연구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특히 현생 유사퇴적환경 연구는 저류층의 형성과정과 저류층 물성의 불균질성을 제어하는 외부 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정교한 지질모델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 서해안 조수우세퇴적환경은 캐나다 오일샌드 저류층이 형성된 퇴적환경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암파편층 분포, 퇴적상 및 층서 아키텍쳐 등과 같은 오일샌드 저류층 특성화에 필수적인 개념의 정립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그 중요성이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 PDF

Factor Struct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acher Satisfaction Scale (TSS) In Distance-Learning During Covid-19 Crisis: Invariance Across Some Teachers' Characteristics

  • Almaleki, Deyab A.;Bushnaq, Afrah A.;Altayyari, Basmah A.;Alshumrani, Amenah N.;Aloufi, Ebtesam H.;Alharshan, Najah A.;Almarwani, Ashwaq D.;Al-yami, Abeer A.;Alotaibi, Abeer A.;Alhazmi, Nada A.;Al-Boqami, Haya R.;ALhasani, Tahani 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17-3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teacher satisfaction scale (TSS) with distance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affirming the (Factorial Invariance) according to gender variable. It also aimed at identify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om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ampl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all teachers in public education and faculty members in higher education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The (TSS) was applied to a random sample representing the study population consisting of (2399)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cale consists of five main factors, with a reliability value of (0.94). The scale also showed a high degree of construct validity through fit indice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have shown a gradual consistency of the measure's invariance that reaches the third level (Scalar-invariance)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the gender variabl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average response of the study sample on the scale reached (3.74) with a degree of satisfaction, as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s of the study sample responses with respect to the gender variable. Whi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of the educational level in favor of the middle schoo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s attributed to the years of experience variable in favor of those whose experience is less than (5) years.

응급수혈을 위한 비예기 항체의 국내·외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nexpected Antibodies for Emergency Blood Transfusion)

  • 황원주;이상희;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79-284
    • /
    • 2022
  • 환자의 긴급 상황에서 수혈 시 일부 수혈 전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다. 수혈 후 항체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용혈성 수혈 반응을 일으키는 비예기 항체의 실태를 조사를 비교평가하기 위해 국내·외에 보고된 공시자료를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2014~2016년 P병원에서 항체 선별 검사 68,602건과 항체 동정검사 528건을 선정하였다. 68,602건 중 1,198건(1.74%)이 양성이며 Rh계열 161건(30.49%), Lewis계열 67건(12.69%), 기타(Di (a)등) 28건(5.30%)으로 나타났다. Anti-E는 93건(17.61%), c는 13건(2.46%)이다. 국내·외 공시자료 중 국내 경우는 2007년 이전에는 Anti-E 196건(22.45%), Anti-Le(a) 82건(9.39%) Anti-E+c 60건(6.87%)으로 조사되었지만 2008년 이후에는 Anti-E 107건(17.12%), Anti-E+c 56건(8.96%), Anti-Di (a) 28건(4.48%)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다른 국내의 경우는 S병원(2012~2015년)에는 Anti-E, Anti-Le (a), Anti-E+c이며Anti-E+c이며 D병원(2016~2017년)에는 Anti-E, Anti-D Anti-E+c,Anti-E+c, Anti-C+e로 조사되었다. Saudi의 경우는 Anti-D, Anti-E, Anti-Jk (a)순이며, India 경우는 Anti-M, Anti-N, Anti-Le (a), Anti-D로 조사되었다. 권역별 외상센터 개설 전후시기에 응급수혈요청의 빈도 비교에서는 1.8배 이상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장기간의 항체분포로 효율성을 검증할 수는 없었지만 수혈의 안전성을 높이고 응급 수혈 상황에서 용혈성 수혈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위해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적인 검증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인도네시아 이슬람 극단주의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recent trends of Islamic extremism in Indonesia)

  • 윤민우
    • 시큐리티연구
    • /
    • 제50호
    • /
    • pp.175-206
    • /
    • 2017
  •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이슬람 극단주의 역사와 최근의 인도네시아의 국제 이슬람 극단주의의 확산 실태를 조사한다. 이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이슬람 극단주의 관련 문헌조사와 관련자들의 질적 인터뷰를 병행한다. 문헌조사를 위해서는 미디어 보도, 관련 연구 보고서와 논문 등을 수집하고 활용한다. 질적 인터뷰를 위해서는 국내체류 인도네시아 학생들과 체류자들, 인도네시아인과 결혼한 한국인 배우자들,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선교사들 등을 포함한다. 이들에 대한 질적 인터뷰는 30분에서 2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의 모집단을 사실상 특정화 할 수 없으며 연구주제의 성격상 인터뷰 대상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에 편의 샘플과 눈덩이 샘플 추출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이슬람 극단주의는 뿌리가 깊고 일반적으로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같이 이슬람 극단주의가 공고히 뿌리를 내리고 있는 다른 무슬림 국가들과 유사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다. 즉, 서방 제국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이슬람 원리주의가 시작되었으며, 독립이후 근대국가 발전과정에서 소외되었고 소련-아프간 전쟁을 거치며 극단화 폭력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9.11테러 이후 국제적 이슬람 극단주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글로벌 지하드에 편입되는 발전경로를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발전 궤적은 인도네시아의 이슬람 극단주의가 상당히 조직적이고 공고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한편, 최근 들어 IS와 알카에다 등의 국제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동아시아 확장전략에 따라 인도네시아로의 침투와 확장이 관찰된다. 이는 특히 인도네시아의 소외되고 낙후한 시골지역에서 보다 뚜렷이 관찰된다. 이러한 인도네시아에서의 국제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확산은 지리적 근접성, 국내 상당규모의 이주자 공동체의 존재 등의 사실을 고려할 때 직접적으로 우리 국가에 위협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도네시아 내에서의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 동향에 대한 주의와 관심은 시기적으로 매우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멀티도어코트하우스제도: 기원, 확장과 사례분석 (The Multi-door Courthouse: Origin, Extension, and Case Studies)

  • 정용균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8권2호
    • /
    • pp.3-43
    • /
    • 2018
  • The emergence of a multi-door courthouse is related with a couple of reasons as follows: First, a multi-door courthouse was originally initiated by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that increasingly became impatient with the pace and cost of protracted litigation clogging the courts. Second, dockets of courts are overcrowded with legal suits, making it difficult for judges to handle those legal suits in time and causing delays in responding to citizens' complaints. Third, litigation is not suitable for the disputant that has an ongoing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In this case, even if winning is achieved in the short run, it may not be all that was hoped for in the long run. Four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World Bank, UNDP, and Asia Development Bank urge to provide an increased access to women, residents, and the poor in local communities. The generic model of a multi-door courthouse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ncludes a center offering intake services, along with an array of dispute resolution services under one roof. At the second stage, the screening unit at the center would diagnose citizen disputes, then refer the disputants to the appropriate door for handling the case. At the third stage, the multi-door courthouse provides diverse kinds of dispute resolution programs such as mediation, arbitration, mediation-arbitration (med-arb), litigation, and early neutral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extended model of multi-door courthouse comprised of five layers: intake process, diagnosis and door-selection process, neutral-selection process, implementation process of dispute resolution, and process of training and education.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extended multi-door courthouse model is the detailed specification of individual department corresponding to each process within a multi-door courthouse. The intake department takes care of the intake process. The screening department plays the role of screening disputes, diagnosing the nature of disputes, and determining a suitable door to handle disputes. The human resources department manages experts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data base of mediators, arbitrators, and judges. The administration bureau manages the implementation of each process of dispute resoluti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department builds long-term planning to procure neutrals and experts dealing with various kinds of disputes within a multi-door courthous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tworks among courts, law schools, and associations of schola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upply of manpower in ADR neutrals, as well as judges in the long run. This study also provides six case studies of multi-door courthouses across continents in order to grasp the worldwide picture and wide spread phenomena of multi-door courthouse. For this purpose, the United States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including Argentina and Brazil, Middle Eastern countries,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Malaysia and Myanmar), Australia, and Nigeria were chosen. It was found that three kinds of patterns are discernible during the evolution of a multi-door courthouse model. First, the federal courts of the United States, land and environment court in Australia, and Lagos multi-door courthouse in Nigeria may maintain the prototype of a multi-door courthouse model. Second, the judicial systems in Latin American countries tend to show heterogenous patterns in terms of the adaptation of a multi-door courthouse model to their own environments. Some court systems of Latin American countries including those of Argentina and Brazil resemble the generic model of a multi-door courthouse, while other countries show their distinctive pattern of judicial system and ADR systems. Third, it was found that legal pluralism is prevalent in Middle Eastern countries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For example, Middle Eastern countries such as Saudi Arabia have developed various kinds of dispute resolution methods, such as sulh (mediation), tahkim (arbitration), and med-arb for many centuries, since they have been situated at the state of tribe or clan instead of nation. Accordingly, they have no unified code within the territory. In case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Myanmar and Malaysia, they have preserved a strong tradition of customary laws such as Dhammthat in Burma, and Shriah and the Islamic law in Malaysia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y incorporated a common law system into a secular judicial system in Myanmar and Malaysia during the colonial period. Finally, this article proposes a couple of factors to strengthen or weaken a multi-door courthouse model. The first factor to strengthen a multi-door courthouse model is the maintenance of flexibility and core value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We also find that fund raising is important to build and maintain the multi-door courthouse model, reflecting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 competition surrounding the allocation of funds within the judici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