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siliquastru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Fucoxanthin derivatives from Sargassum siliquastrum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s by suppressing NF-κB and MAPKs in human fibrosarcoma cells

  • Nguyen, Van-Tinh;Qian, Zhong-Ji;Lee, Bonggi;Heo, Soo-Jin;Kim, Kil-Nam;Jeon, You-Jin;Park, Won Sun;Choi, Il-Whan;Jang, Chul Ho;Ko, Seok-Chun;Park, Sun-Joo;Kim, Yong-Tae;Kim, GeunHyung;Lee, Dae-Sung;Yim, Mi-Jin;Je, Jae-Young;Jung, Won-Kyo
    • ALGAE
    • /
    • 제29권4호
    • /
    • pp.355-366
    • /
    • 2014
  • Fucoxanthin is known to be an effectiv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 with anti-tumor and anti-angiogenic activ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data regarding the biological effects of cis isomers of fucoxanthin. To assess the potential therapeutic properties of 9'-cis-(6'R) fucoxanthin (FcA), and 13-cis and 13'-cis-(6'R) fucoxanthin complex (FcB) isolated from Sarggassum siliquastrum, we investigate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induced human fibrosarcoma (HT1080) cells. FcA and FcB reduced MMP-2 and MMP-9 protein and mRNA levels, as well as the migration of these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FcA and FcB increased levels of MMPs inhibition factors such as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FcA and Fc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uclear factor ${\kappa}B$ (NF-${\kappa}B$) and by inhibiting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uppression of the NF-${\kappa}B$, JNK, and p38 signaling pathways may inhibit PMA-induced MMP-2 and MMP-9 activity. Therefore, FcA and FcB may be useful in noninvasive therapeutic strategies against fibrosarcoma metastasis.

미곡창고 오염균주에 대한 천연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and Seaweeds Extracts Against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Rice Warehouses)

  • 이소영;김진희;김꽃봉우리;송유진;김아람;박선미;한충수;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76-480
    • /
    • 2007
  • 쌀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요인에 의한 품질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미곡창고 내의 환경과 창고 내에 보관되어 있는 나락에서 곰팡이, 세균 및 효모를 분리 동정한 후 주요 오염균에 대한 상백피, 감초, 꽈배기 모자반 및 감태의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미곡창고 내의 환경과 나락에서 분리된 주된 오염균은 Sphingomonas paucimobilis와 Bacillus cereus를 비롯한 여러 Bacillus 속 세균과 불완전균류, Aspergillus spp., Penicillium spp.의 곰팡이 그리고 Candida spp.의 효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에 대한 천연추출물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상백피, 감초, 꽈배기 모자반 및 감태 모두 미곡창고 오염균주에 대해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꽈배기 모자반, 상백피, 감초는 항진균 활성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상백피의 항균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0.0025{\sim}0.0075%$농도에서 주요 오염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내 열성 포자를 형성하는 Bacillus cereus의 생육을 0.0025% 농도에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이들 천연추출물을 미곡창고 내에 처리하거나 나락에 직접 처리할 경우 쌀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 자생 해양식물들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연구 (The Study on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Wild Seaweeds of Jeju Island)

  • 임지희;정광선;이종성;정은선;김대경;김영수;김용우;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1-20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해안에 자생하는 45종의 해양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해양식물 추출물 80% 메탄올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시료화 하였고 항균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45종의 해조류 중에서 넓패, 패, 구멍갈파래 등을 포함한 6종의 해양식물이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항균활성을 갖는 해양식물 중 패, 감태 2종은 항산화 효능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실험에서 확보된 추출물이 항균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기법을 통한 제주 자생 해조류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Evalu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Jeju Seaweeds Using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Technique)

  • 김길남;허수진;차선희;전유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70-177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산 해조류의 생리활성을 대량검색하기 위해 HTS 기법을 이용한 실험과정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DPPH 라디칼을 이용하여 HTS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주산 해조류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대량 검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TS를 위한 효율적인 검색방법을 개발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은 해조류를 검색하게 되었다. 녹조류의 경우 납작파래 (20G6)의 $20^{\circ}C$ 추출물(1 mg/ml)에서 약 60%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을 뿐 나머지 해조류에서는 40% 미만이 낮은 활성만을 보였다. 갈조류의 경우 꽈배기 모자반 (20B17), (70B17), 참그물바탕말 (70B1), 큰잎모자반 (70B16)과 감태 (70B26)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였다. 홍조류 중에서는 왜떨기나무붉은실 (20R24)에서 가장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갈래잎 (20R17), 굵은참우뭇가사리 (20R18), 부채분홍잎 (20R23) 또한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던 해조류를 대상으로 용매분획 및 활성물질의 분리, 정제를 통해 해조류 유래의 기능성 신소재를 개발한다면, 해조류의 고부가가치화 및 HTS기술의 보편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