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dinops melanostict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안정동위원소와 위내용물 분석 기법을 이용한 여름과 가을 남해 연안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의 먹이원 평가 (Food Resource of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Summer and Autumn Revealed by Stable Isotope and Stomach Content Analyses)

  • 박종혁;김현지;정재묵;이정훈;신동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19-427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stomach contents, stable isotope signatures (δ13C and δ15N) in muscle tissue, and potential food sources (particulate organic matter, Zostera marina, epiphytes, and zooplankton) of Sardinops melanostictu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o evaluate its dietary changes across seasons (summer and autumn 2022). The diet of S. melanostictus predominantly comprised organic detritus (99%) regardless of the season. The isotope results showed that S. melanostictus had mean δ13C and δ15N values of -17.7±0.4‰ and 10.6±0.5‰, respectively and seasonal variations were observed (t-test, P=0.010, P=0.002). However, the isotopic mixing model showed that particulate organic matter was a major nutritional source for S. melanostictus in summer and autumn (88.7% and 90.2%, respectively).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and stable isotope signatures, these results may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 melanostictus and establish the management measures for their conservation.

여수연안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quantitative fluctuation of fishes collected by gape net in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 한경호;오용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4호
    • /
    • pp.261-273
    • /
    • 2007
  • To analyze quantitative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in coastal waters of Dolsan, Yeosu, the fished were collected by gape net from March to November, 2000. The fish species caught by set net collected fishes were identified 63 species, 56 families, 42 orders, and the number of appearance and biomass was 2,230,297 individuals and 16,076.8kg. The most dominant orders were Perciformes, Clupeiformes and Tetraodontiformes which accounted for 71.4% of the total. The dominant species in number were Engraulis japonicus, Sardinops melanostictus, Trichiurus lepturus which accounted for 99.2% (2,211,642 individuals) of the total fish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Engrauli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79.7% (12,807g) of the total fishes collected. Temporal occurence of the dominant species such as the Engraulis japonicus, Sardinops melanostictus, Trichiurus japonicus, Ilisha elongata, Leiognathus nuchali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which is expressed as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y=0.0864x-0.2311(r^2=0.3516)$. The species collected during the sampling yearly period were Engraulis japonicus, and migratory fish were Ilisha elongata, Trichiurus japonicus, Scomberomorus nipphnius, Scomber japonicus, Konosirus punctatus, Sphyraena pinguis, Pseudosciaena polyactis.

숙성기간에 따른 정어리액젓의 성분변화

  • 임영선;유병진;정인학;조영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75-76
    • /
    • 2002
  •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일시에 대량으로 어획되는 정어리 (Sardinops melanostictus)는 현재 주로 액젓의 원료로 쓰이고 있는 멸치와 같이 청어목, 청어과에 속하며, 동해 남부해역에서 월동을 하고 봄이 되면 북상하는 계절 회유성 어종이다. 정어리는 대표적인 등 푸른 생선으로 양질의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과 같은 맛 성분의 함량이 높지만, 어체가 작고 잔뼈가 많아서 가공을 위해 기계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부적합한 결점을 지니고 있다. (중략)

  • PDF

한국 근해 대형선망 어획물의 계절 및 연 변동 분석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of Catch by Large Purse Seine off Korea)

  • 백철인;박종화;최광호;황선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3호
    • /
    • pp.164-179
    • /
    • 2001
  • 1991년부터 1994년 사이에 한국 근해에서 대형선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어획량, 분포의 계절 및 연 변동 양상을 파악하였다. 조사 기간 중 전체의 0.1%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종은 19종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고등어(Scomber japonicus)가 전체 생체량의 54.7%, 정어리 (Sardinops melanostictus) 20.4%,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9.1% 그리고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6.2%로 이들 부어류 4종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어획노력량은 봄부터 높아져 여름에 최고였고 가을철까지 높았으나, 단위노력당 어획량은 가을부터 높아져 겨울에 최고를 보였고 봄까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산란과 섭이를 위해 남북 이동을 하여 여름동안 분산되었던 부어류가 겨울철에는 월동장으로 회유하여 위집됨으로써 어획률이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정어리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Sauce during Fermentation)

  • 임영선;유병진;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66-670
    • /
    • 2002
  • 정어리 액젓을 재래식 방법으로 18개월 동안 숙성시키면서 2$\~$3개월 간격으로 성분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정어리 육의 가수분해도는 숙성 5개월까지는 $44\%$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분해속도가 둔화되어 숙성 18개월 후에는 약 $64\%$의 질소화합물이 육으로부터 액으로 이행되었다. 액젓 중의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 그리고 ATP 관련물질 총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숙성 6개월 이후 ATP 관련물질은 거의 대부분 ($75\~87\%$)이 Hx와 요산이었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이 교차하는 숙성 13.9개월 부근은 $61\%$의 높은 분해율을 보여 경제적인 출하시점으로 판단된다. 18개월간 숙성시킨 정어리 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6,870.7mg/100mL로 원료 육 총 아미노산 함량 (23,249mg1100g)의 약 $30\%$ 정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18.2\%$), aspartic acid ($10.4\%$), lysine ($8.7\%$), alanine ($8.5\%$), threonine ($6.1\%$) 등의 순이었다.

진해만 북부 해역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Northern Jinhae Bay, Korea)

  • 한경호;유태식;이진;이성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2-78
    • /
    • 2018
  • Fish eggs and larvae were collected in July and November of 2013 and January and May of 2014 to determine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ichtyoplankton. Samples were class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ish egg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five taxa;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fish eggs was Engraulis japonicus (62.05%) followed by Sardinops melanostictus (21.02%) and Leiognathus nuchalis (13.71%).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96.8% of the total number of fish eggs collected. Larvae of 17 species in six families, and six orders were collected.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fish larvae was E. japonicus (51.79%), followed by L. nuchalis (12.59%) and Omobranchus elegans (12.08%).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76.46% of the total number of larvae collected. Jinhae Bay was identified as a major spawning and nursery ground for fish species inhabiting in the south coast of Korea, such as E. japonicus, L. nuchalis, S. melanostictus, and Omobranchus elegans. Therefore, management of marine fish resources in the South Sea should necessarily include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Jinhae Bay.

Growth and mortality of the juvenil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pipe- and tire-type shelters placed in flow-through seawater tanks

  • Kwon, Inyeong;Kim, Taeho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1호
    • /
    • pp.1-8
    • /
    • 2015
  • The common octopus, which has a high growth rate and high market price, is a prime candidate for commercial marine aquaculture operations.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wo types of shelters (pipe and tire types) for juvenile common octopus growing out in flow-through seawater tanks. Growth rates were evaluated in two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Experiment 1) ran for 72 days, and the second (Experiment 2; replicated) ran for 46 days. Each trial included 40 octopuses fed a diet of frozen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and swimming crab (Portunustri tuberculatus) at 3-8% of body weight once every 3 days. In the two experiments, the respective specific growth rates were 0.3 and 0.04%/day in pipe-type shelters and 0.00 and 0.88%/day in tire-type shelters, while the respective percentage survivals were 80 and 80% in pipe-type shelters and 70 and 90% in tire-type shelters. Shelter type had little influence on the growth rate (P < 0.05).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Fish Catch by a Set Net in Hamdeuk Fishing Ground off Jeju Island)

  • 차병열;장대수;김병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5-72
    • /
    • 2004
  • Fish catch by a set net in Hamdeuk fishing ground off Jeju Island were studied to determine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from 1998 to 2000. A total 72,022.9 kg was caught during the survey period, including Scomber japonicus and Trachurus japonicus of $76.4\%$ in the total. The other dominant species were Siganus fuscescens, Loligo chinesis, Seriola dumerili, Sepioteuthis lessoniana, Sardinops melanostictus, and Seriola lalandi accounting to $20.0\%$ of the total. The fishing period conducted by a set net in Hamdeuk fishing ground were from May to November. The catch by a set net were higher in summer than in spring and autumn and closely related with the seasonal variation of sea water temperature. The catch was higher in 1998 than In 1999 and 2000, which was related to the sea water temperature in fishing ground.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5
    • /
    • 2015
  •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로 봄, 여름 및 가을, 그리고 겨울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여름 및 가을에 자치어 군집의 공간적 분리가 나타났다. 하구역의 안쪽 정점에서는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우점하였으며, 바깥 정점에서는 망둑어류 외에 멸치가 우점하였고, 기타 다양한 해수어종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남해도 미조 정치망 어장의 출현 종과 어획량 변동특성 (Composition and Catch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 by Set Net in the Mizo Fishing Ground off Namhae Island)

  • 차병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1-199
    • /
    • 2009
  • 남해도 미조 정치망 어획물의 종 조성과 어획량 변동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4년의 어기(3월 말부터 12월까지) 동안 매일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어종수 39종과 총 어획량 69,147.5 kg의 수산자원이 어획되었으며, 이중 어류가 33종 66,410.2 kg, 두족류가 5종 1,126.6 kg 그리고 갑각류가 1종, 1,610.7 kg을 차지하였다. 우점적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으로는 갈치, 까나리, 멸치, 삼치 등이며, 전체 어획량의 81.2%를 차지하였다. 이 외 정어리, 감성돔, 새우류, 살오징어 등이 소량 혼획되었으나, 전체 어획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았다. 우점어종 중에서 까나리는 봄철에 주로 어획되었고, 갈치와 삼치는 여름과 가을철에 그리고 멸치는 봄부터 가을철까지 계속 어획되었다. 미조 정치망의 어획량은 봄보다는 가을철 전후에 많이 어획되었는데, 이는 우점종인 갈치와 삼치의 어획량 증가에 따른 것이며, 이는 또한 $17^{\circ}C$ 이상의 어장 적수온과 관련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