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ggeuk (相剋)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대순진리회에서 신정론 문제 (The Problem of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257-286
    • /
    • 2019
  • 이 글은 기존의 신정론 유형들을 활용하여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을 기술한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세계관 내에서 신정론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대순진리회 세계관에서 악과 고통의 문제는 상극의 문제로 대치되어 기술된다.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은 선천, 그리고 천지공사 이후부터 개벽 직전까지 후천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만 논의할 문제이다. 후천에는 상극이 없기에 고통이 존재하지 않고, 신정론도 논할 필요가 없다. 선천과 과도기의 신정론은 각각 다르게 조명되어야 한다. 우주는 최고신이 전체적인 법칙을 주관하고, 실제 세부 운영은 하부 신명들이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었다. 우주의 운행에 있어서 만물은 상극과 상생이라고 하는 법칙을 갖도록 만들어졌다. 상생은 서로가 서로를 돕는 것, 상극은 서로가 서로를 극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통이 존재하는 이유는 상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선천은 상극이 지배하는 시기였다. 그 이유는 성장과 발전이라는 가치를 구현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상극은 결코 악의적인 의도에서 마련되어진 것은 아니었다. 즉 상극은 본래 나쁘고 잘못된 것이라는 도덕적 가치를 지니지 않은 것이었다. 그러나 상극의 지배가 오래 지속되자 상극으로 인해 발생한 원한이 풀리지 못하고 누적되어갔고, 우주의 법칙을 운용하던 명부의 신명들도 종종 착오와 실수를 일으키곤 했다. 이것이 점점 심화되자 세상은 엄청난 재앙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상의 상황을 '이원적 상극 신정론'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신명들로부터 우주가 심각한 위기에 빠졌음을 보고받은 최고신은 우주의 실정을 살펴본 뒤 증산이라는 한 인간으로 강세하였다. 그가 천지공사를 시행하면서 개벽은 예정되었고 그에 따라 과도기가 시작되면서 신정론도 다르게 묘사된다. 그것은 개벽 때 대심판을 받는다는 사실, 그로써 신명·인간을 포함한 모든 악한 존재들은 소멸하고 지상에 천국이 열린다는 사실, 개벽이 도래하기 전까지 각자가 해원을 시도한다는 사실을 주 내용으로 한다. 이것을 '말세론적 해원 신정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은 이상 2개의 신정론을 핵심으로 삼으면서, 상황에 따라 영혼 성장 신정론, 자유의지 신정론, 배상 신정론, 내세적 신정론, 카르마 신정론, 참여 신정론, 교류 신정론 등을 중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tual Aid and Mutual Contention of the Ten Celestial Stems and Twelve Earthly Branches)

  • 우연화;김만태
    • 대순사상논총
    • /
    • 제42집
    • /
    • pp.109-141
    • /
    • 2022
  • 빛과 어두움이 공존하는 것처럼 만물이 가진 두 가지 측면을 음양(陰陽)이라 한다. 초기의 음양 개념은 단순히 자연현상을 나타내는 표현에 불과하였으나 점차 우주 만물의 생성변화를 설명하는 중심개념이 되었다. 명리학(命理學) 또한 음양론을 기초로 하여 하늘과 땅을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로 나누어 이들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것을 중요시한다. 본고는 주요 원전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 관계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천간과 지지가 상조하는 개념에는 통근(通根)과 투간(透干)이 있다. 통근이란 천간에 있는 글자가 지지의 글자에 뿌리를 내렸다는 의미이며, 천간의 통근처(通根處)는 같은 오행의 삼합(三合)과 방합(方合)이 되는 지지이다. 통근력(通根力)을 보는 방법은 첫째, 통근한 자리로 보는데 일간(日干)은 월(月) > 일(日) >시(時> 년(年) 자리 순이며, 다른 천간은 월지>앉은 자리(천간의 바로 아래에 있는 지지 글자) > 가까운 자리(앉은 자리 좌우의 지지 글자) 순이다. 둘째, 통근한 지지 특성으로 보는데 록왕지(祿旺支)·장생지(長生支) > 여기(餘氣) >묘고(墓庫) 지지의 순이다. 투간(透干)은 통근과 그 주체가 바뀐 개념으로 지지의 기운이 천간에 발현된 것을 말하며, 지지에 감춰둔 오행이 밖으로 드러나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천간과 지지가 상극하는 개념에는 개두(蓋頭)와 절각(截脚)이 있다. 개두에 대하여 천간만을 위주로 보고 판단하는 시각과 천간이 지지를 극(剋)하는 관계로 보는 시각이 있어 다소 이견이 있지만 대다수는 천간이 지지를 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개두의 상대 개념인 절각은 지지가 천간을 극하여 천간의 기운을 약화시키는 것으로서, 이 둘은 조화롭지 못한 명조(命造)를 만들 가능성이 크다.

전통풍수의 상징적 의미를 체용(體用)한 간판 배색 제안 - 사업주의 본명궁을 중심으로 - (Proposed Color Scheme with Feng Shui Significance - Focused on the Bonmyeonggung of business owners -)

  • 박효철;이승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31-13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color schemes of city signages to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business owners and improve business value. Types of city sign color schemes and Feng Shui awareness of business owners were examined. Color schemes for signs were proposed, reflecting city landscape colors, color perception theory, and the Feng Shui Sangsaeng Sanggeuk theory.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cure colorscape quality of existing city buildings, signs should be small and consist of only three or fewer colors. Second, existing signage colors and the Feng Shui ideas of business owner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five traditional cardinal colors.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Feng Shui ideas are deeply rooted in the color use awareness of the Korean people. Third, background colors of signages can reflect the idea of innate Sangsaeng according to the Bonmyeonggung of business owners. The concept of acquired Sanggeuk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design elements such as characters. Fourth, as a second choice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sign, city landscape or preference of business owner, etc., the background color can remain a color of Sangsaeng, while other design elements such as characters can use a color scheme corresponding to Bihwasaek. Fifth, signs can create a statement and stand out using lightness contrast or saturation contrast theories. A variety of sign color schemes are also possible just by altering the lightness and saturation levels.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의 기호학적 분석 (Semiotics Approach to Win-win Cooperation of Large and Small Business)

  • 이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377-38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촉진 정책 및 관련법을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의미 작용모델, 그레마스(Greimas)의 기호사각형을 활용하여 '상생협력', '동반성장'이라는 정책용어의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를 기호체계로 분석하고, 기업생태계에서 상생(협력)과 상극(경쟁)이 음양이론처럼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조화와 균형을 형성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생태계에서 대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촉진법이 본래 의도와는 달리 대기업과 중소기업 당사자들에게 오히려 규제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 중소기업 상생협력 정책과 법령 분석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향후 구체적인 실증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상생' 이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a of Sangsaeng in Daesoonjinrihoe)

  • 이경원
    • 대순사상논총
    • /
    • 제18권
    • /
    • pp.25-52
    • /
    • 2004
  • The history of the mankind, that is the history of the war, have been continued with the consecutive of the struggle and confrontation. In the history of many war,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m is just the religion. so that today, for the mankind to long for the peace, all believers are charged with very important mission. Confronting with the 21th century, yet the war is not ceasing in an earth one side. At this time if we are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real peace, we need to present uprightly the direction of basic religious factor and solution. In Korea, which is keeping deep religious mind, the Daesoon thought that appears newly at the modern times is proposing the 'Haewonsangsaeng'(eliminating resentment and helping one another) as new peace idea of 21th century. In this thought, we can discover the reason of the conflict to appear in the history of mankind. And there is a new idea of peace, that is to say, which is called 'sangsaeng'(mutual aid and cooperation). In this article, centering upon Sangsaeng idea, I try to introduce the new viewpoint of Daesoon thought about the conflict and pe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