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blem of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대순진리회에서 신정론 문제

  • Received : 2019.10.28
  • Accepted : 2019.12.1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using established theodicies.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can be described as follows: within the worldview of Daesoon Jinrihoe, the problems of evil and suffering are better addressed by analyzing the problem of mutual contention. Accordingly,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is a matter which should be discussed only in regards to the time period known as the Former World and the transition period after the Reordering Works that leads up to the Later World. The Later World does not operate under patterns of mutual contention. Consequently, there will be no suffering. Therefore, issues of theodicy are irrelevant in the Later World. Theodicy should be dealt differently as it pertains to the Former World and the previously mentioned transition period. Daesoon Thought posits that there is an underlying principle presides over the cosmos, and the divine beings act in accordance with it and perform specific duties in their own subdivisions. The cosmic principle is able to contain cycles of both Sanggeuk ('mutual destruction' in general usage, but 'mutual contention' in Daesoon Thought related to the Former World) and sangsaeng ('mutual generation' in general usage and 'mutual beneficence' in Daesoon Thought related to the Later World). Suffering came into being due to mutual contention. However, mutual contention was not set into motion maliciously, but was arranged instead to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greater values such as growth and development. In other words, mutual contention are not products of a moral value the nature of which is bad or wrong. Yet, since the world has operated under mutual contention from time immemorial, a nearly incalculably vast multitude of grievances have accumulated. In addition, the divine beings who had operated under mutual contention often made mistakes and spread confusion. This extreme situation resulted in tremendous disasters breaking out all over the world. Perhaps this particular theodicy could be named "Dualistic Sanggeuk Theology (Dualistic Theodicy of Mutual Contention)." After the divine beings reported to the Supreme God that the world had fallen into a serious crisis, the Supreme God penetratingly examined the circumstances of the world and then descended to Earth as a human being named Jeungsan. As Jeungsan practice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the Great Opening was preordained by Him. As a result, the transition period started, and from that point onward, theodicy should be described differently. It is presumed that all creatures will be judged at the time of the Great Opening. This will result in the annihilation of all wicked beings including both divine beings and humans. There will also be the establishment of an earthly paradise as well as grievance resolution for all beings prior the Great Opening. This can also be called "The Eschatological Theodicy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adopts the two theodicie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o that, various theodicies from other traditions such as Irenaean ("soul-making") Theodicy, Free Will Theodicy, Recompense Theodicy, Afterlife Theodicy, Karma Samsara Theodicy, theodicy of participation, and Communion Theodicy can all potentially be applied on a case by case basis.

이 글은 기존의 신정론 유형들을 활용하여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을 기술한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세계관 내에서 신정론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대순진리회 세계관에서 악과 고통의 문제는 상극의 문제로 대치되어 기술된다.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은 선천, 그리고 천지공사 이후부터 개벽 직전까지 후천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만 논의할 문제이다. 후천에는 상극이 없기에 고통이 존재하지 않고, 신정론도 논할 필요가 없다. 선천과 과도기의 신정론은 각각 다르게 조명되어야 한다. 우주는 최고신이 전체적인 법칙을 주관하고, 실제 세부 운영은 하부 신명들이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었다. 우주의 운행에 있어서 만물은 상극과 상생이라고 하는 법칙을 갖도록 만들어졌다. 상생은 서로가 서로를 돕는 것, 상극은 서로가 서로를 극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통이 존재하는 이유는 상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선천은 상극이 지배하는 시기였다. 그 이유는 성장과 발전이라는 가치를 구현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상극은 결코 악의적인 의도에서 마련되어진 것은 아니었다. 즉 상극은 본래 나쁘고 잘못된 것이라는 도덕적 가치를 지니지 않은 것이었다. 그러나 상극의 지배가 오래 지속되자 상극으로 인해 발생한 원한이 풀리지 못하고 누적되어갔고, 우주의 법칙을 운용하던 명부의 신명들도 종종 착오와 실수를 일으키곤 했다. 이것이 점점 심화되자 세상은 엄청난 재앙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상의 상황을 '이원적 상극 신정론'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신명들로부터 우주가 심각한 위기에 빠졌음을 보고받은 최고신은 우주의 실정을 살펴본 뒤 증산이라는 한 인간으로 강세하였다. 그가 천지공사를 시행하면서 개벽은 예정되었고 그에 따라 과도기가 시작되면서 신정론도 다르게 묘사된다. 그것은 개벽 때 대심판을 받는다는 사실, 그로써 신명·인간을 포함한 모든 악한 존재들은 소멸하고 지상에 천국이 열린다는 사실, 개벽이 도래하기 전까지 각자가 해원을 시도한다는 사실을 주 내용으로 한다. 이것을 '말세론적 해원 신정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은 이상 2개의 신정론을 핵심으로 삼으면서, 상황에 따라 영혼 성장 신정론, 자유의지 신정론, 배상 신정론, 내세적 신정론, 카르마 신정론, 참여 신정론, 교류 신정론 등을 중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2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태극도통감』, 필사본, 1956.
  4. 김열규, 「원한의식과 원령신앙」, 『증산사상연구논문집』 5, 1979.
  5. 김영원, 「폴 리쾨르의 악의 문제에 대한 실천적 접근」, 『종교연구』 74-4, 2014. http://doi.org/10.21457/kars.74.4.201412.233.
  6. 김영태, 「신정론의 문제」, 『범한철학』 8, 1993.
  7. 김 탁, 「증산교 상생사상의 특성과 전개과정」, 『신종교연구』 13, 2005.
  8. 김항제,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의 신종교」, 『신종교연구』 27, 2012 http://doi.org/10.22245/jkanr.2012.27.27.155.
  9. 노길명, 『한국신흥종교연구』, 서울: 경세원, 2003.
  10. 러셀 맥커천, 『종교연구 길잡이』, 김윤성 옮김, 오산: 한신대학교 출판부, 2015.
  11. 맬러리 나이, 『문화로 본 종교학』, 유기쁨 옮김, 서울: 논형, 2013.
  12. 월터 캡스, 『현대종교학 담론』, 김종서 외 옮김, 서울: 까치글방, 1999.
  13. 윤승용, 「한국의 근대 신종교, 근대적 종교로서의 정착과 그 한계-개벽사상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22, 2012. http://uci.or.kr/G704-SER000003135.2012.22.22.001
  14.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6판,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15. 존 H. 힉, 『종교철학』, 김희수 옮김, 서울: 동문선, 2000.
  16.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의 해원결(解冤結)과 대순진리회의 해원상생(解冤相生) 비교연구」, 『종교연구』 65, 2011. http://doi.org/10.21457/kars..65.201112.89.
  17.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 -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doi.org/10.25050/jdaos.2013.21.0.99
  18.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개벽과 지상선경」, 『신종교연구』 29, 2013. http://doi.org/10.22245/jkanr.2013.29.29.217.
  19. 차선근, 「증산계 신종교 일괄 기술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 방향」, 『신종교연구』 30, 2014. http://doi.org/10.22245/jkanr.2014.30.30.57.
  20. 차선근, 「대순진리회 고통론의 유형화와 특징」,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doi.org/10.25050/jdaos.2015.25.2.1.
  21.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승부(承負)와 척(慼)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75-4, 2015. http://doi.org/10.21457/kars.75.4.201512.117.
  22.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죽음관 연구서설」, 『종교연구』 76-3, 2016. http://doi.org/10.21457/kars.76.3.201609.27.
  23. 최준식, 「왕중양과 강증산의 삼교합일주의」, 『종교연구』 5 (1989)
  24. 피터 L. 버거, 『종교와 사회』, 이양구 옮김, 서울: 종로서적, 1987.
  25. Cha Seon-Keun, "Theories of Suffering in East Asian Religions: The Case of Daesoon Jinrihoe," The Journal of CESNUR Vol. 2, Issue 5, 2018. https://doi.org/10.26338/tjoc.2018.2.5.6
  26. Green, Ronald M.. 2005. "Theodicy," in chief ed. Lindsay Jones,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13.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27. Hume, David, 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35.
  28. Kessler, Gary E., Studying Religion : An Introduction Through Cases. New York: McGrawHill, 2006.
  29. Smith, Jonathan Z. "Religion, Religions, Religious," in ed. Mark C. Taylor, Critical Terms for Religious Studie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