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dominant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6초

하천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 연구 - 경기지방 모래하천의 사례 - (Study on the Bio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 A Case of the Sand Streams in Kyonggi-Do District-)

  • 김혜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5-230
    • /
    • 2005
  • 모래하천의 물리적$\cdot$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연환경이 유사한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조사$\cdot$평가하였다. 물리적 구조 평가결과 청미천과 양화천의 생태성은 "양호$\sim$보통", 복하천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대상하천은 공통적으로 사행과 퇴적작용이 활발한 반면 침식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 하천의 중점조사구에 대한 식물조사결과물과 가장 인접한곳(정수역)으로부터 갈풀$\rightarrow$달뿌리풀$\rightarrow$갈대$\rightarrow$버드나무$\rightarrow$물푸레나무$\rightarrow$아까시나무$\rightarrow$신나무 군락 순으로 발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경우 공통종은 청정지 역에서 주로 출현하는 무의하루살이, 검은 물잠자리 등이며, 우점종은 실지렁이와 깔따구과 sp. 1이었다.

동해남부해역과 울릉분지의 퇴적상과 퇴적작용 (Sedimentary Facies and Processes in the Ulleung Basin and Southern East Sea)

  • 이병관;김석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0-166
    • /
    • 2007
  • The coarse deposit with a lower mud content adjacent to the shelf of the southern East Sea is probably a "relict" sediment deposited in response to a lower stand of sea level during the Pleistocene. The sediment that developed on the slope and in the deep sea was river-borne primarily and was secondarily reworked or redistribut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from the East China Sea. The clay mineralogy of the area suggests various sources of fine-grained sediment from adjacent rivers, the Korea Strait, volcanic material from Ulleung Island, and the Japan coast. Massive sand, bioturbated mud, homogeneous mud, and laminated mud were the dominant facies found in the core sediments from the study area. The massive sand was mainly volcanic ash from an eruption on Ulleung Island (9300 yr BP) and consisted of colorless pumiceous glass and a black scoriaceous type. The sedimentation rates on the slope, based on the Ulleung-Oki ash layer, were about 10cm/ky higher than in the basin. Other than the coarse-grain sediment, the mean size of the fine sediment dominating the bioturbated and homogeneous muds in the basin and the laminated mud on the slope was 6-10 phi. This indicates a difference in the major sedimentary process: hemipelagic sedimentation in the Ulleung Basin and mass flow deposition, such as turbidite, on the slope of the southern East Sea.

韓半島 周邊海域 海底 表層蓄積物 音波 空曠係數와 생物起源 氣滯含量 (Sound Attenuation Coefficients and Biogenic Gas Content in the Offshore Surficial Sedimen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김한준;덕봉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35
    • /
    • 1990
  • 한반도 주변 4개 해혁(포항, 부산, 여수, 군산)의 해저 표층축적물에서 얻은 음향 자료로부터 음속과 음파감쇠를 구하여 물성과의 상관성을 검토하고, 기체함량을 추정 함으로써 음파의 기계적 원인을 분석하였다. 음속 및 음파감쇠의 범위는 각각 1470∼ 1616 m/sec 및 0.0565∼0.6604 dB/kHz-m로서 퇴적물의 유형에 밀접하게 관련된다. 음 파는 coarse silt에서 최대이며 표층퇴적물내 기체 함량의 추정값은 8 ppm 이하로서 퇴적물의 입자가 작을수록 증가한다. Find sand보다 입자가 큰 퇴적물에서는 마찰손실 이 절대적인 음파감쇠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점성손실은 무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물성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Coarse silt에서 음파감쇠가 최대인 것은 마찰 손실 뿐만 아니라 silt 입자 차이에 존재하는 더 작은 입자들 간의 결합력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이며 fine 및 medium silt를 경계로 입자가 작아짐에 따라 입자간 결합 력이 주된 감쇠 요인으로 작용한다.

  • PDF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Hupo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of Korea)

  • 백상규;강래선;전재옥;이재학;윤성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23-134
    • /
    • 2007
  •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ies were studied around the Hupo coastal area. The seasonal surveys were conducted at 15 chosen sites within a depth range of 10 to 50 m along 10 km of the coastline using a Smith-McIntyre grab $(0.05\;m^2)$ in 2005. Overall depth distribution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offshore become deeper parallel to the coastline. A total of 319 macrobenthic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1,972\;ind./m^2$, and mean biomass was 82.5 wet-weight $g/m^2$. The major individual-dominant species were three polychaetes Spiophanes bombyx ($436\;ind./m^2$), Scoletoma longifolia ($250\;ind./m^2$) and Magelona japonica ($170\;ind./m^2$), and bivalve Adontorhina subquadrata ($73\;ind./m^2$).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analysi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2 major station groups which corresponded to macrobenthic faunal assemblages and their characteristic species. In addi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ation groups. Group I contained mostly 20 and 50 m deep sites and was associated with sandy mud. Group I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S. bombyx, S. longifolia, A. subquadrata. It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I-I and I-II) in relation to depth. Sub-group I-I was associated with deeper sites than sub-group I-II. Group II included mostly inshore area shallower than 15 m and was associated with coarse and medium sand. Group II was characterized by Lumbrinerides hayashii and Urothoe grimaldii japonica.

사질토 지반에서 경사 인발 하중을 받는 석션 앵커의 회전 거동 평가 (Investigation of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Suction Anchor Subjected to the Inclined Pullout Load in Silty Sand)

  • 배준식;정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67-273
    • /
    • 2020
  • 석션 앵커는 비교적 간편한 설치 방식과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 부유식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된다. 최근, 허용 변위가 작은 부유식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 석션 앵커의 유발 변위 평가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하지만, 기존 석션 앵커의 연구는 앵커 지지력 평가에 초점을 두었으며, 앵커의 변위에 관한 연구는 중점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 특히, 경사진 하중을 받는 석션 앵커의 주된 변위인, 회전 거동을 평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사 인발 하중이 작용하는 석션 앵커의 회전 거동을 모형실험을 통해 비교 및 분석 하였다. 모형실험은 센트리퓨지 실험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변수로는 하중의 경사도, 앵커의 크기 및 종횡비가 고려되었다. 하중-회전 변위 곡선을 산정하여, 실험 변수에 따른 석션 앵커의 회전량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석션 앵커의 회전 거동은 하중의 경사도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앵커의 크기 및 종횡비에 따른 회전량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밭작물의 뿌리성장과 생육시기별 토양수분 소비형태에 관한 연구 - 콩, 고추, 참깨 - (A Study on Root Growth and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n during Growing Period of Upland Crops -Soybean, Redpepper, Sesame-)

  • 정하우;박상현;김성준;정영신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7-75
    • /
    • 1993
  • This study is to analyze both root growth and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upland crops with respect to soybean, redpepper, sesame. Field and lysimeter tests were conducted under 12 treatments of soil moisture level by the San Cristobal experimental design(1981) and 3 soil type(sand, sandy loam, silty loam) for 4 years('87-'90) at the experimental plo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located in Su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For soybean, redpepper and sesame, root growth in dry soil was better than that in wet soil and it could be expressed as a sin function in terms of time. Maximum root depth was about 55cm, 44cm, 40cm respectively. 2.The averag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 for soybean, redpepper and sesame were 61.4%, 62.8%, 79.5% for zone l(0-l5cm). 25.5%, 27.1%, 18.3%, for zone 2(15-30cm).11.4%, 9.8%, 2.3% for zone 3(30-45cm), 1.7%, 0.3%, 0.04% for zone 4(45-60cm)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Zone 1 would be the dominant zone in irrigation scheduling. 3.With respect to soybean, th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MEP) was varied somewhat according to the erent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level. The average SMEP for high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was 46%, 29%, 17%, 8%, for middle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was 43%, 29%, 17%, 11 % and for low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was 40%, 28%, 20%, 12%, respectively. 4.With respect to soybean, the soil moisture in the upper layer was distinctly consumed more than that in the lower layer for clay loam soil and the soil moisture of all layers was consumed evenly for sand soil. The SMEP for sandy loam soil showed a middle result compared with the above 2 soil types.

  • PDF

제주남방해역 표층퇴적물의 특성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ern Sea off Cheju Island, Korea.)

  • 윤정수;고기원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0-142
    • /
    • 1987
  • 제주남방해역 표층퇴적물에 대해 입도분석, 경광물 및 점토광물, 그리고 미량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의 퇴적물상은 남동부의 오조립질 분포역 과 남서부 조`세립질 분포지로 구분되며, 남서쪽 끝지역에는 소규모의 현생니질퇴적 물 분포대(mud zone)도 존재한다. 본 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은 분급이 불량하고 negative~positive skewed할뿐 아니라 platykurtic~leptokurtic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조립질은 도약(saltation)에 의해, 세립질은 도약 및 부유(suspension)에 의해 운반된 것으로 보여 진다. 측정된 13종의 지화학적원소성분중 Co, Ni, Ca, Ag를 제외한 9 종은 남동부지역에서 남서부지역으로 향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o와 Ni은 동`서부간에 유사한 함량분포를 나타냈으나 Ca와 Ag은 남동부지역에서 함량치가 높았다. 탄산염함량은 남동부의 조립질 분포역에서가 남서부보다 높게나 타난 반면 총 유기물함량은 이와는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경광물은 석영, 암편, K- 장석, Na-Ca장석 순의 조성을 보였는데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외해쪽으로 향함에 따라 석영과 K-장석의 함량증가하고 Na-Ca장석과 암편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 다. 조사지역 남서쪽 끝 mud 지역의 점토광물로는 illite, chlorite, kaolinite, feldspar, calcite등인데, chlorite가 양적으로 많고 calcite peak가 현저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Ca, Pb, Ni등의 지화학적원소성분의 함량도 황하기원퇴적물의 특성치 와 유사하여 이 지역세립질퇴적물 대부분은 황하기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연적인 기온과 강수량 증가로 인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구성의 변화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Composition Following Natura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crease)

  • 홍철;김원석;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0권3호
    • /
    • pp.275-285
    • /
    • 2017
  •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섬진강 본류 20지점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14년 5월과 9월 년 2회씩 총 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서식환경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기온, 강수량, 수질요인과 하상 구성을 수집하고 측정하였다. 섬진강의 평균기온은 2013년에 비해 2014년 $0.2^{\circ}C$증가하였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기온이 증가하는 양상이 뚜렷하여 $3^{\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 누적강수량 (ACP)도 저위도로 갈수록 증가되었다. 섬진강은 강우 전 5월 ($7.6{\sim}11.3^{\circ}C$)에 비하여 강우 후 9월($21.7{\sim}24.5^{\circ}C$)에 기온이 2배 이상 높아지며, CP는 강우 전(263 mm~287.5 mm)과 강우 후(756.3 mm~882 mm)에 약 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집중 강우로 인한 유실효과로, 개체수와 종 수는 5월이 9월보다 높았다. 5월은 깔따구류와 세갈래하루살이, 9월은 네점하루살이, 큰줄날도래, 세갈래하루살이가 우점을 차지하였다. 생물지수와 환경요인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하상 구성 중 호박돌 및 모래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진강의 기온과 CP, 우점종 출현과의 집괴분석한 결과 강수량과 기온에 따라 2그룹으로 크게 나뉘었으며, 우점종과 지리적인 위치가 반영되어 세부적인 그룹으로 나뉘어짐을 파악하였다.

양재천에서 생태적 복원구간과 비복원구간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비교 (Comparison of Bird Communities Between Ecological Restoration Area and Non-restoration Area in the Yangjae Stream, Korea)

  • 김정수;구태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1
    • /
    • 2005
  • Yangjae stream was divided with Seoul and Gwacheon reach. Seoul reach was ecologically restored; however, Gwacheon reach was not. Similarity index of the bird communities between the two areas was relatively high, 79.9%. The dominant species in Seoul reach were Passer montanus, Pica pica, Paradoxornis webbianus and Anas crecca. The dominant species in Gwacheon reach were Passer montanus, Pica pica, Paradoxornis webbianus and Streptopelia orientalis. The different species was Anas crecca in Seoul and Streptopelia orientalis in Gwacheon. An eco-park was constructed along the stream of Seoul reach since 1996 but was not in Gwacheon reach; the number of species has increased in Seoul area($r^2$=0.846, p<0.01), but Gwacheon was not change($r^2$=0.023, p>0.05) since 1996. The number of individuals, however, was almost constant in both reaches(Seoul : $r^2$=0.211, p>0.05, Gwacheon : $r^2$=0.032, p>0.05). In Seoul reach,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was helpful to increase bird diversity. The number of waterbirds such as herons, plovers, sandpipers and wagtails was higher in Gwacheon reach than in Seoul reach, but the number of ducks and songbirds was higher in Seoul reach than in Gwacheon reach. We suggest th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in Seoul area might have negative effects on sandpipers, plovers and wagtails inhabiting on the flood plain in stream, but positive effects on other species such as herons, ducks and songbirds. Especially, the increasing number of ducks was attributed to an artificial pond in flood plain.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treptopelia orientalis between both reaches was owing to the habitat differences such as forest trees playing a role as patch in high revetment.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local stream must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water channels, sand banks and water front in addition to the high revetment for birds to attract diverse bird communities.

평일도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Pyeong-il Island)

  • Lee, Ho Joon;Kyu Ha Park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14-27
    • /
    • 1990
  • 본 연구는 1979년 6월부터 1981년 5월까지 4회(10일)에 걸쳐 평일도의 식생을 생태학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본도의 식물은 총 80과 172속 173종 21변종 4품종, 199종이었으며 상록활엽수는 사스레피나무, 마삭줄을 비롯하여 총 11종으로 섬 전체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상태는 특히 빈약하였다. 또한 본도는 동백나무(흉고 직경 30~35cm), 든나무, 사스레피나무, 마삭줄과 같은 상록활엽수가 우점종이었던 것이 대표적인 갑섭(신탄용, 건책용, 방목, 농지리용)에 의해 현재와 같은 10~20년생 곰솔림을 우점종으로 하는 대위적인 천이가 일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높은 인구밀도와 취농율, 경작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식물이 심하게 파괴된 것으로 생각되며 한편 월송리의 곰솔림은 보호해야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해안가 식물은 5종(순비기, 해당화, 햇보리사초, 갯맷꽃, 갯방풍)으로 월송리, 동백리, 사동리에 이르는 백사장 부근에 분포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