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nd Beach Erosion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서해안 해수욕장의 침식원인 분석결과와 시사점 (Study on Erosion Cause Analysis and Implication)

  • 최정훈;최진용;조영권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18
    • /
    • 2012
  • In recent years, a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come great concerns among many people, th loss of beach sand has become one of the highly controversial issue. Major reasons for the beach erosion within the cases of West Coast can be classified as: 1) erosion at Unyeo, Baeksajang beaches are caused by the wave refraction according to the large-scale sand dredging, 2) erosion at Kkotji, Baeksajang, and Unyeo beaches are caused by large-scale embankment construction and the coastal road construction, and 3) erosion at Chollipo and Hakampo beaches are caused by construction of small ports. Erosion in the west coast of Korea coast beach erosion control measures, include groin, zeotube, terraced stone, jetty groin, and beach nourishment. Erosion control measures initially installed to prevent erosion showed a positive effect. However, if there is no continuous source of sand, the effect of measures is fewness.

  • PDF

동해안 중소어항 인근 해안침식 방지대책 (Countermeasures for Beach Erosion around Fishing Port in East Sea of Korea)

  • 김규한;백종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7-256
    • /
    • 2002
  • 동해안에 위치한 대부분의 중소어항은 주로 백사장 주위에 건설되어져 있으며, 이러한 어항 구조물은 인근 백사장의 침식에 중요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전예측 및 해안침식현상의 정확한 재현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하고검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대상해안에 적합한 침식 대책공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중소어항 주변해안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해안침식 대책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방지효과를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해 검토하였다

해운대 해수욕장에 있어서의 양빈공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ach Nourshment Method of HAE UN DAE Beach)

  • 민병형;옥치율;유상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4-93
    • /
    • 1987
  • A beach nourishment method can be used as one of the beach erosion protection methods which may keep coastal environments whithout constructing coastal structures on the HAE UN DAE beach. The beach nourishmens is affected by a natural condition and artificial condition;a natural condition includes conditions of bottom slope, diameter of bottom materials and waves, and artificial conditions include deposit position, method, diameter and quantity of the nourishing sand. It has accomplished to obtain the deposit position and the best diameter of the nourishing sand from a two-dimensional hydraulic model test, which simulates the erosional HAE UN DAE beach. In this study, the protection of the beach erosion can be maximized when the nourishing sand of 3.3mm in diameter, which is about 5.5.times of the bottom materials in diameter, is deposited layerly in front of the breaker zone which has a water depth of 4.6m.

  • PDF

회야강 하구방사제 건설에 따른 진하해수욕장 해안선 변화분석 및 예측 (Coastline Evolution Analysis and Forecast due to the Construction of Groin at Heoya-River Mouth Area)

  • 김성득;강경호;박해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8-33
    • /
    • 2008
  • From the 1997 to January, 2004, a groin 156m long was constructed at the mouth of the Heoya river-mouth as a protection and barrier.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Jinha beach from the blockade of the river mouth, several aerial photographs, etc., were compared, which showed that the changes were significant. Comparing these results to the state of the area before construction of the groin, the blockade of the river was relaxed, but the formation of the tombolo, in the middle groin area was accelerated and the total Jinha beach erosion and especially the erosion of the southern part of Jinha beach was developed. But according to statements by residents and some current documents, the blockade of the Heoya-river mouth is still underway at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groin and chronic dredged sand has been used for littoral nourishment at the northern part of the middle groin and on Jinha beach. The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based on the present state shows that if this sort of dredging is stopped, the sand accumulation will progress near the river mouth groin and the existing tombolo at the middle groin will progress to the north and severe erosion will occur at the southern coastline near the middle groin and the farthest southern part of Jinha beach, and Jinha beach itself will experience a gradual erosion. The main reason for these erosions should be the typhoons that are happening during the summer season. To provide protection from these kinds of undesirable erosions, a total of 23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done. It has been shown that submerged breakwaters at the front area of the beach will be efficient to protect from main beach erosion, but there should be alternative proposals for the influence of the river mouth blockade.

만리포 사빈의 시계열 3차원 지형 변화 분석 (Spatial-temporal Analysis of Topographical Change at the Malipo Beach)

  • 박한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7-109
    • /
    • 2013
  • 만리포 사빈에 대하여 지상라이다(Terrestrial LIDAR)로 2008년 1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6회 조사된 3차원 정밀 지형을 이용하여 정량적 지형특성과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만리포 사빈은 해발고도 0m에서 1.5m사이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고조위인 해발고도 2.25m 이상에서는 사빈의 면적이 급격이 줄어든다. 지형변화 특성으로는 침식과 퇴적이 해안선을 따라 선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북쪽 지역이 남쪽 지역보다 그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계절적 변화 특성으로는 봄에서 가을까지는 전반적인 침식이,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침식과 퇴적이 발생하였으며, 조사 시작과 종료시점의 체적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공양빈공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ack Nourishment Method of Beach)

  • 민병형;옥치율;김가현;최도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3-169
    • /
    • 1988
  • A beach nourishment method can be used as one of the beach. The beach nourishment is affected br a natural condition and an artificial condition; a natural condtion include conditions of bottom slope, diameter of bottom materials and wave, and an artificial condition include deposit position, method, diameter and quantity of the nourishing sand. To obtain and the best diameter of the nourishing sand a two-dimensional hydraulic model test, which simulates the erosional beach, has been accmplished. In this study the protection of the beach erosion can be maximized when the nourishing sand of 0.84mm in diameter, which is about 2.5-3.5 times of the natural bottom materials in diameter.

  • PDF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형태와 퇴적 및 침식환경 변화를 시계열 분석하였다. 1967년부터 2009년까지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바람아래 해빈 형태를 시계열 분석한 결과, 할미섬 남단에 발달한 사취의 방향성이 EEN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점차 서진하면서 2009년 항공사진에서는 NNS의 방향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측 결과 H-3, H-4, H-5, H-6 지점은 퇴적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H-7, H-8, H-9 지점은 침식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할미섬의 남서변은 퇴적이 우세하고 북동변은 침식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3 ~ H-6 지점의 결과는 할미섬의 남서변에 설치된 제방에 의해 해빈의 모래가 할미섬의 북동변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들 지점에 퇴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역설적으로 할미섬의 남서변에서 모래를 공급받지 못한 북동변의 H-7 ~ H-9 지점은 침식이 우세하게 진행 된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 분석결과, 전 지점에서 퇴적이 우세한 계절은 가을철이며 침식이 우세한 계절은 봄철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할미섬을 남서측과 북서측으로 구분해 보면 남서측은 주로 가을철에 퇴적이 우세한 반면, 북서측은 여름철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식은 남서측은 겨울철과 봄철에 우세하고, 북서측은 여름철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덕 고래불 모래해안의 지형 특성과 변화 (Geomorpholog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Goreabul Sand Beach in Yeongdeok)

  • 방현주;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3-92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동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영덕군 고래불 모래해안을 대상으로, 사빈과 해안사구의 지형 기복 및 해안 퇴적물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래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고래불 해안은 강원도 동해안과는 달리, 여름을 제외한 대부분 계절에 파랑과 연안류가 북류하면서 사빈의 모래 이동과 퇴적을 유발하였고, 여름에는 남북간의 흐름이 둔화되거나 남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빈에서는 여름철에 태풍이나 폭풍으로 인한 침식작용이 발생하였고 상대적으로 조립의 모래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모래의 퇴적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안사구의 전면부에서는 모든 계절에 해풍에 의해 모래가 퇴적되었으며, 특히 겨울철에 퇴적작용이 가장 활발하였다.

VRS/RTK GPS 측량을 통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 학암포와 안면 해안을 사례로 -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using VRS/RTK GPS - a case of Hakampo and Anmyeon beach -)

  • 박정원;오선관;서승직;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72
    • /
    • 2012
  •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파랑의 에너지가 큰 해안과 조차가 큰 해안이 공존하고 있어, 갯벌, 모래해빈, 해안사구, 해식애 등의 해안지형이 잘 나타나고 해안생태계의 다양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무분별한 모래채취와 인공구조물의 설치 등으로 인해 해빈과 해안사구의 침식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해안에서의 이러한 변화를 정확히 계측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RS 방식의 RTK GPS를 이용해 학암포 해안과 안면(창정교) 해안을 대상으로 3차례의 주기적인 측량을 실시하였고 장기적인 해안지형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VRS 측량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항 방파제 확장 전, 후의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 Before and After Breakwater Extension at the Gungchon Port, Geundeok-myeon, Samcheok-si, Gangwon-do)

  • 김영재;황상일;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9-38
    • /
    • 2019
  • This study tries to reveal influence of artificial structure construction on shoreline change using DSAS 4.3. Before breakwater extension at the Gungchon Port, beaches at the study area were dominated by long-term erosion and especially, severe shoreline retreat was prevailed at the Wonpyeong Beach that is opened to offshore. During 2 years after the extension leading formation of shadow zone, the Gungchon Beach was rapidly developed due to sand supply to the shadow zone and then stabilized. The shadow zone only affected the northern part of the Wonpyeong Beach, while beaches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Wonpyeong Beach to the Munam Beach was little affected. Beach nourishment and groin construction led beach development at the northern part of the Wonpyeong Beach, while beach erosion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Wonypeong Beach to the Munam Beach was caused by the groin. This study suggests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before coastal structure construction should be made regardless of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