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ing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6초

탈질/탈황 폐 세정액으로부터 질산염 추출 및 정제 연구 (Study on purification and extraction of nitrate salts from waste scrubbing liquid of de-SOx/de-NOx)

  • 김우람;조영민;이헌석;오수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8-55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선박 배출가스 규제를 위해 국제해사기구(IMO)는 배출되고 있는 가스의 부정적 환경영향에 대한 부각과 함께 법적인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 규제에 따라, 발트 해 연안을 지나는 모든 배들은 배출가스 제거창치를 장착해야 한다. 다양한 최신 탈황/탈질 장치가 소개되고 있는 가운데, 선박의 제한 된 공간을 활용한 폐 세정액 회수 공정 또한 중요한 기술로 발전 가능하다. 탈황/탈질 장치 후단에서 발생되는 폐 세정액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과 같은 유용부산물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택적 유기용매 염석 법, 저온 결정화 추출, 열 감압농축을 이용하여 유용부산물로서 질산암모늄을 추출하였다. 열 감압농축으로 얻어진 부산물을 반복적 유기용매 추출방법으로 정제했을 시 가장 높은 순도의 질산암모늄이 추출 되었다. 분석 장비를 통해 추출 된 유용 부산물의 성분 및 특성을 평가하였다.

택사(Alismatis Rhizoma) trypsin inhibitor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ypsin Inhibitor from Alismatis Rhizoma)

  • 박종옥;이인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1-157
    • /
    • 2002
  • 한방재료의 하나인 택사(Alismatis Rhizoma, AR)로부터 단백성 trypsin inhibitor(TI)를 분리, 정제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제과정은 0-80.% 포화 황산암모늄을 이용한 염석법,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ep-hadex G-150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하였다. 정제된 ARTI의 분자량을 gel filtration과 SDS-PAGE 한 결과 모두 약 23,000 Da으로 나타나 monomer로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안정성에 있어 0-6$0^{\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약 35%가지 안정성이 떨어졌다. ARTI와 상품화된 soybean kunitz inhibitor의 저해능을 비교해 본 결과 ARTI 및 soybean inhibitor 각각의 농도가 0.071 $\mu$M, 1.7 $\mu$M일 때 0.025 g/$m\ell$ trypsin활성을 50% 정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TI의 trypsin의 가수분해반응에 대한 저해형태는 비경쟁적 저해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km값은 0.81 $\mu$M이었다.

수질 장기관측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지하수 수질변동 특성

  • 김규범;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94-96
    • /
    • 2003
  • Since 1995,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KOWACO(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have established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South Korea and also MOE(Ministry of Environment) has operated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Until 2001, 202 monitoring stations by MOCT and 780 monitoring wells by MOE have been constructed, measured groundwater level and analyzed water samples. Groundwater quality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wo times a year during last 6 years for all monitoring wells. The quality data has about 15 components including pH, COD, Count of Coliform group, and etc.. Trend analysis has been peformed for 6 components(Coliform, pH, COD, NO$_3$-N, Cl and EC) of water quality which are analyzed more than 7 times for total monitoring wells. Two test methods have been used ; Sen's test and Mann-Kendall test. These trend tests have been done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By the result of Sen's test, Count of Coliform group has either upward or downward trends at 4.3 percent of the monitoring points. pH does at 5.6 percent, COD does at 8.6 percent, Nitrate-Nitrogen does at 13.2 percent, Chloride does at 13.4 percent, and. EC does at 11.6 percent of the monitoring points. The exact causes of the groundwater quality trends are difficult to specify. Notable downward trends in nitrate at many monitoring points may be the result of reduction on some contamination sources. Potential causes include diminished agricultural areas, improvements in sewage treatment and a decrease in atmospheric deposition. Increase in chloride at many monitoring points may be the result of increased non-point source pollution such as road salting and runoff from sprawling paved developments and suburbs.

  • PDF

역삼투막 표면에 음이온 고분자 코팅을 통한 파울링 현상 감소연구 (Study on the Fouling Reduction of the RO Membrane by the Coating with an Anionic Polymer)

  • 조은혜;정성일;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2권6호
    • /
    • pp.481-488
    • /
    • 2012
  • 폴리아마이드 역삼투막 표면에 음이온 수용성 고분자인 poly(vinyl amine)(PVAm)을 코팅한 후 오염물질인 bovine serum albumin (BSA), humic acid (HA), sodium alginate (SA)에 대하여 파울링 개선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PVAm의 코팅과 파울링 여부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BSA, HA, SA 100 ppm 공급원액을 이용하여 2, 4, 8 bar로 압력을 변화시켜 투과성능실험을 수행한 결과 PVAm으로 코팅되지 않은 막과 코팅된 막 모두 압력증가에 따라 파울링 현상이 심화되었으나 PVAm으로 코팅된 막이 BSA, HA, SA의 경우 모두에서 약 30%이상 투과도가 향상되어 파울링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A > SA > BSA의 순으로 파울링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HA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한 글리신 금속염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Glycine Metal Salts for $CO_2$ Absorption)

  • 임윤희;박영구;조영민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284-288
    • /
    • 2012
  •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화학적 흡수공정의 새로운 흡수제로서 글리신 수용액의 화학적 특성과 흡수성능을 고찰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수에 관여하는 작용기인 아미노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세 종류의 알칼리원소(Na, Li, K)를 선택하여 글리신에 함침시켰다. 제조한 흡수제에 대한 IR 분석결과, 글리신 수용액의 암모늄이온(${-NH_{3}}^+,\;1600cm^{-1}$,single )형태로 존재하던 작용기가 아미노기($-NH_2,\;1550{\sim}1650\;cm^{-1}$, scissoring)형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H-NMR$$^{13}C-NMR$ 분석결과, 금속 양이온의 치환에 의한 염화현상(salting)으로 기존 글리신에서의 수소와 탄소원자의 화학적 이동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치환된 금속의 전기 음성도에 따라 리튬염, 나트륨염 그리고 칼륨염 순으로 화학적 이동이 나타났다. 한편 상온에서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비교대상인 1차 아민이 가장 높았으며, 나트륨 글리신염, 리튬 글리신염, 칼륨 글리신염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소공정 배출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을 가정하여 온도상승($40,\;60,\;80^{\circ}C$)에 따른 실험결과, 나트륨 글리신염이 MEA보다 높은 흡수량을 보였다.

대두유 응고효소 생산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production of soymilk-clotting enzymes from Bacillus sp. K-324-7)

  • 이기성;한면수;심상국;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54-160
    • /
    • 1990
  • 토양 시료로 부터 선별과정을 거쳐 대두유를 응고시킬 수 있는 extracellular 대두유응고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세균 K-324-7균주에 의한 효소생산의 확인과 형태적 생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cereus로 동정되었다. Bacillus K-324-7 분리균이 생산하는 대두유 응고효소는 황산암모늄 0.8포화 용액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적활성 pH는 6.1이며, 최적활성온도는 $70^{\circ}C$이었다. 또한 pH 안정성은 pH $6.0{\sim}7.0$ 사이에서 안정하였고 열안정성은 $5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인정하였다. 한편 대두유 응고효소의 생산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은 glucose 0.2%, 질소원은 peptone 0.2%, 무기염은 $KH_2PO_4$ 0.5%, pH는 6.5, 배양온도는 $35^{\circ}C$로 배양기간은 3일 정도가 적당하였으며 그 이상 배양하면 생성된 효소의 활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김치의 발효 과정중 품질변화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 구경형;강근옥;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6-482
    • /
    • 1988
  • 김치의 발효 과정중 김치의 주요 품질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김치액의 pH와 총산도, 부피와 고형분의 양 그리고 색을 측정하였으며, 김치의 맛, 냄새, 텍스쳐에 대한 관능적 성질을 평가하였다. 김치의 발효는 배추를 소금물에 절인뒤 $4-35^{\circ}C$ 범위의 온도에서 발효시켰다. 그 결과 pH의 감소나 총산도의 증가는 변화 속도에 따라 초기, 중간, 최종 단계의 3단계로 구분할수 있었으며, 이들의 변화는 sigmoidal곡선을 보여 주었다. pH와 총산도가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중간 발효 단계에서의 계산된 활성에너지는 각각 15.67 및 18.99Kcal/mole이었다. 발효중 배추 조직으로부터 나온 김치액은 발효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다가 완만하여 졌으며 김치액의 총 고형분은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Hunter L값은 약간씩 증가하였고 김치액의 색은 연한녹청색으로 변화하였다. 김치의 관능적 성질은 pH 4.0부근에 도달할 때까지 상큼한 맛과 냄새 및 사각사각한 조직감이 증가하다가 발효 최종 단계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군덕내와 맛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오징어 식해의 제조 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quid Sikhae by Preparation Method and Fermentation Conditions)

  • 이예경;박범호;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5-412
    • /
    • 2005
  • Quality characteristics of squid-sikhae prepared by four different methods(SHM: sikhae method, SHM-LA; sikhae method added with L plantarum, MM; mixed method of sikhae method and salting method, MM-LA; MM method added with L plantarum)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The pHs of all the 6-days fermented sikhae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4.01-3.76, meaning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s. Number of total microbes(TM) were decreased, while the ratio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TM in SHM-LA and MM-LA was higher than those of SHM and MM.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id protease activity, while $NH_2-N$ content of SHM and MM were higher than those of SHM-LA and MM-LA. Amylase activity was the lowest in MM-LA. Proteins separated by SDS-PAGE belonged to 7-200 kDa, the major proteins (153<94<41 kDa) of the sikhae in all plots were disappeared at 6 days fermentation. In sensory evaluation, sour taste of MM was the highest, while it was the lowest in SHM-LA. Sweet taste, bitter taste, salty taste and hot tas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ff-flavor was decreased in lactic acid bacteria added products. Scores of the sof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he highest in SHM-LA.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HM-LA was the best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quid sikhae because of the enhance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overall acceptability.

  • PDF

Determina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 Human Urine Sample using HPLC/UV and Three Phase Hollow Fiber-Liquid Phase Microextraction (HF-LPME)

  • Cha, Yong Byoung;Myung, Seung-W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11호
    • /
    • pp.3444-3450
    • /
    • 2013
  • Three phase hollow fiber-liquid phase microextraction (HF-LPME), which is faster, simpler and uses a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sample-preparation technique,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in human urine. For the effective simultaneous extraction/concentration of NSAIDs by three phase HF-LPME, parameters (such as extraction organic solvent, pH of donor/acceptor phase, stirring speed, salting-out effect, sample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which influence the extraction efficiency were optimized. NSAIDs were extracted and concentrated from 4 mL of aqueous solution at pH 3 (donor phase) into dihexyl ether immobilized in the wall pores of a porous hollow fiber, and then extracted into the acceptor phase at pH 13 located in the lumen of the hollow fiber. After the extraction, 5 ${\mu}L$ of the acceptor phase was directly injected into the HPLC/UV system. Simultaneous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seven NSAIDs was achieved on an Eclipse XDB-C18 (4.6 mm i.d. ${\times}$ 150 mm length, 5 ${\mu}m$ particle size) column using isocratic elution with 0.1% formic acid and methanol (30:70) at a HPLC-UV/Vis system. Under optimized conditions (extraction solvent, dihexyl ether; $pH_{donor}$, 3; $pH_{acceptor}$, 13; stirring speed, 1500 rpm; NaCl salt, 10%; sample temperature, $60^{\circ}C$; and extraction time, 45 min), enrichment factors (EF) were between 59 and 260.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in the spiked urine matrix were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5-15 ng/mL and 15-45 n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recovery and precision obtained were between 58 and 136% and below 15.7% RSD,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 was linear within the range of 0.015-0.96 ng/mL with the squar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ing more than 0.997. The established method can be used to analyse of NSAIDs of low concentration (ng/mL) in urine.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values of riverine and marine hilsa (Tenualosa ilisha; Hamilton, 1882)

  • Debnath, Sumon;Latifa, Gulshan Ara;Bhowmik, Shuva;Islam, Shanzida;Begum, Mohajira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258-264
    • /
    • 2018
  • A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biochemical composition (moisture, protein, fat, ash, salt value, iron, calcium and phosphorus) of raw and salted hilsa. Pure (with less than 1% impurities) and clean dry salt was used (fish weight : salt weight = 3 : 1) for salting the hilsa. The nutrients values of the hilsa from two different regions were significantly (p < 0.05) varied. The biochemical compositions were also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processing of the hilsa. Riverine hilsa contains relatively more moisture ($57.79{\pm}0.51%$) and protein ($15.65{\pm}0.50%$) than marine hilsa. Fat ($16.39{\pm}0.51%$) and salt ($1.80{\pm}0.14%$) contents are higher in marine hilsa; whereas the ash ($7.88{\pm}0.35%$) content was higher in the riverine hilsa. Minerals like iron ($4.92{\pm}0.32mg/100g$) and calcium ($480.02{\pm}6.73mg/100g$) remain in large amounts in the marine hilsa, but the phosphorus ($112.36{\pm}4.40mg/100g$) content remains at a high level in the riverine hilsa. In addition, the protein (raw condition, $18.54{\pm}0.46%$, riverine; $17.12{\pm}0.42%$, marine and salted condition, $32.54{\pm}0.5%$, riverine; $27.31{\pm}0.48%$, marine) and fat (raw condition, $15.41{\pm}0.46%$, riverine; $19.07{\pm}0.51%$, marine and salted condition, $11.58{\pm}0.39%$, riverine; $13.6{\pm}0.55%$, marine) contents were higher in the abdominal region of the riverine and marine hilsa both in the raw and salted conditions than in the head and caudal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