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leaching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초

염 추출법에 의한 폴리락틱산 다공성 지지체 가공 (Preparation of Poly(lactic acid) Scaffolds by the Particulate Leaching)

  • 이지혜;이종록;강호종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4-331
    • /
    • 2003
  • Particulate leaching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orous PLLA scaffolds was carried out and especially, the effect of PLLA/$CHCl_3$ solution concentration on the salt leaching rate and the pore structure of PLLA scaffolds were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maintaining lower PLLA/$CHCl_3$ concentration and higher $CHCl_3$ evaporation temperature in the preparation of PLLA/NaCl mixtures resulted in the enhancement of salt leaching rat e and higher porosity. This is understood that those conditions could minimize the formation of dense PLLA layer on the surface of PLLA/NaCl mixture as well as introducing better porosity on the surface. Higher salt leaching temperature accelerated the salt leaching rate but it seems that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porosity of PLLA scaffolds.

간척지 토양의 제염과정중 수리전도도의 변화 (Changes of Hydraulic Conductivity During Desalmization of Reclaimed Tidelands)

  • 구자웅;은종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5-93
    • /
    • 1988
  • This laboratory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salt movement and desalinization effects, using samples of silt loam soil collected in Gyehwado and Daeho reclaimed tidelans, and samples of silty clay loam soil collected in Kimie tideland. Desalinization experiments with gypsum treatment were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of the hydraulicc conductivity with changes of the soil property and the salt concentration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eland soils by leaching through the subsufface drainage, and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infl uencing the reclamation of salt affected soil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claimed tideland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e-sodic soils with the high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and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2. Changes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with the amount of leaching water and the leaching time elapsed were affected by the amount of gypsum except exchangeable sodium and clay content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depth of water leached per unit depth of soil (Dw / Ds : X) or the square root of the leaching time elapsed (T $^1$ $^2$ : X) and the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HCr:Y) could be expressed in Y=a . bx. 3. The more exchangeable sodium and clay contents regardless of the amount of gypsum, the more the leaching time was required until a given volume of water was leached through the soil profile.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water leached per unit depth of soil(Dw /Ds:X) and the square root of the leaching time elapsed(T$^1$$^2$ :Y) could be described by Y=a . Xb. 4.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influenced to a major degree by the salt concentration provid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below 10 mmhos / cm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eland soil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relative electrical conductivity ( ECr : X) and the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HCr:Y) could be expressed in Y=a + b . X-$^1$. 5. In conclusi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leaching requirements and the leaching time elapsed can be estimated when the salt concentration decreases to a certain level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elands, and the results may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salt movement and desalinization effects.

  • PDF

소금-소성정광에 대한 광물학적 상변화와 염소-차아염소산 용액을 이용한 금 용출 향상 (Mineralogical Phase Transform of Salt-roasted Concentrate and Enhancement of Gold Leaching by Chlorine-hypochlorite Solution)

  • 김봉주;조강희;오스지;최승환;최낙철;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8
    • /
    • 2013
  • 저항성 황화광물 정광으로부터 최적의 gold를 용출시키기 위하여 염소-차아염소산 용액과 다양한 온도와 농도를 소금소성정광에 적용하였다. 정광은 황철석, 황동석, 방연석으로 구성되었으며, 공기 중에서 $750^{\circ}C$ 소성처리하자 적철석으로 변환되었고, 소금으로 소성처리하자 적철석과 난토카이트(nantokite, CuCl)으로 변환되었다. 다양한 변수로 용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염소-차아염소산 나트륨 혼합 비율 1 : 2에서, $FeCl_3$ 첨가량 1.0 M에서, 광액농도 1.0%에서, 그리고 용출온도 $60^{\circ}C$에서 최대의 금 용출율을 얻었다. 금 용출율은 정광에서보다 소성정광에서 더 높게 용출되었고, 소성정광에서보다 소금소성정광에서 더 높게 용출되었다. XRD 분석 결과, 소금소성정광에서, 그리고 $60^{\circ}C$의 염소-차아염소산 용출용액 고체 잔유물에서 석영이 관찰되었다.

Particulate Leaching 기법을 사용한 Polymer Scaffold 상의 세포증식에 있어서 젤라틴 입자의 효과 (Effect of Gelatin Particles on Cell Proliferation in Polymer Scaffolds Made Using Particulate Leaching Technique.)

  • 서수원;신지연;김진훈;김진국;길광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
    • /
    • 2004
  • 조직공학은 생명과학, 의학, 공학의 기본개념 및 기술을 바탕으로 생체조직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조직 및 장기를 제작하여 이식함으로써 생체의 기능을 유지, 향상 또는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기본 재료가 장기나 조직의 형태를 만들도록 돕는 scaffold이다. Scaffold를 만드는데 있어서 Solvent-casting과 Particulate leaching 기법은 다공성 폴리머 scaffold의 제조에서 널리 쓰이는 방법인데 여기 쓰이는 particle에는 소금과 젤라틴 둥이 사용되고 있다. 소금은 얻기가 쉽고 다루기에도 편리하다는 장점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젤라틴은 소금에 비하여 세포의 초기 접착과 증식에 유리하다는 이유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비교실험은 아직 보고 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소금과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두 가지 scaffold를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 젤라틴 scaffold가 초기상태의 세포 접합과 증식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같은 공극율일 때 공극의 연결 상태가 훨씬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Continuos-Flow culture of Hepatocytes in Sugar-derivatized poly (lactide-co-glycolide) Scaffolds Prepared by Gas-foaming/salt-leaching Method

  • 윤준진;박태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144
    • /
    • 2000
  • Highly open porous polymer matrices are required for high density cell seeding, efficient nutrient, and oxygen supply to the cells cultured in the three dimensional matrices. However, there are severe problems of mass transfer limitations within the cell/scaffolds culture system. Thus we hypothesize that continuos-flow culture conditioning of cells with the scaffolds may improve the cell viability and the differentiated function. In this study, we fabricated porous PLGA scaffolds by using gas-foaming/salt-leaching method as previous described. Viscous PLGA gel paste contains ammonium bicarbonate particulates, acting as a gas-foaming agent as well as a salt-leaching porogen, were cast into Teflon mold and dried. Ammonium bicarbonate salt upon contact to an acidic aqueous solution evloves gaseous ammonia and carbon dioxide by itself. And we conjugated galactose moiety [AGA; $N-(aminobuty1)-O-{\beta}-D-galactopyranosyl-(1{\rightarrow}4)-D-glucoamide]$ to the terminal end group of a PLGA to increase the cell adhesion and matain the differentiated function of hepatocytes. Cell-seeded scaffolds were secured in a flow bioreactor chamber and exposed to continuous flow at 5 ml/min. As a result of our study, the high yield of hepatocytes attachment was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LGA-AGA conjugate in polymer scaffolds and cells in the scaffolds under continuos flow condition maintained a high level of viability and albumin secretion rate of cultured hepatocytes showed a higher level that of control groups.

  • PDF

NdFeB계 영구자석 스크랩으로부터 네오디뮴의 분리회수 (Separation of Neodymium from NdEeB Permanent Magnetic Scrap)

  • 윤호성;김철주;이진영;김성돈;김준수;이재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6호
    • /
    • pp.57-6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NdFeB 영구자석 스크랩으로부터 네오디뮴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네오디뮴과 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스크랩을 산화배소 한 후 황산침출을 수행하였으며, 황산침출 용액으로부터 황산나트륨을 사용한 복염침전법에 의하여 네오디뮴과 철을 분리하였다. 산화배소 시 온도는 소결자석 스크랩은 $500^{\circ}C$, 본드자석 스크랩은 $700^{\circ}C$가 적절하였으며, 황산침출 시 황산농도 2.0 M, 침출온도 및 시간 $50^{\circ}C$, 2시간 그리고 광액농도 15%에서 네오디뮴 99.4%, 철 95.7%를 회수할 수 있었다. 네오디뮴과 철의 최적분리조건은 황산나트륨 첨가량 2.0당량, 반응온도 $50^{\circ}C$이었으며, 이 때 네오디뮴의 회수율은 99.9% 이상이었다.

간척지 밭작물의 정상생육을 위한 관개용수량 및 물 관리방법의 결정 (Determining Irrigation Requirements and Water Management Practices for Normal Growth of Dry Field Crops in Reclaimed Tidelands)

  • 구자웅;한강단;손재권;이동유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0-96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 optimum irrigation requirements and water management practices for normal growth of dry field crops in reclaimed tidelands, and apply m planning of the irrigation projects. Desaliniz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water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xperimental field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and growth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irrigation point treatments using tomato and beet with relatively high salt tolera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Leaching or rinsing-leaching method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esalinizing the reclaimed tideland with rather high permeability. In this case, the water requirement for desalinizing the root zone layer of 40cm in depth, was estimated to be 1,200mm in depth. 2.The gypsum treatment in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elands, was ineffective in water requirements ; however, it could produce the desired effect in the facility of desalinization and the shortening of desalinization period with the sustaining permeability, in case of the desalinization by leaching method. 3.The optimum irrigation point which maintains the salt concentration within salt tolerance and maximizes the crop yield in reclaimed tidelands of silt loam soil, was found to be pF 1.6 in tomato and pF 1.8 in beet. The interval of irrigation date within 2 days was proved to he effective in both cases. 4.The optimum irrigation requirement and the water reguirement for the prevention of salt rise during the growing period after transplanting, were estimated to be 602mm(6.7mm/day) and 232mm for tomato, respectively. 5.The optimum irrigation requirement and the water requirement for the prevention of salt rise during the growing period after transplanting, were estimated to be 261mm(3.7mm/day) and 66mm for beet, respectively.

  • PDF

Li-Al-Si 함유 유리세라믹 순환자원으로부터 Ca계열 염배소법 및 이에 따른 수침출 공정에 의한 리튬의 회수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of Lithium from Secondary Resources of Ceramic Glass Containing Li-Al-Si by Ca-based Salt Roasting and Water Leaching Process)

  • 주성호;신동주;이동석;신선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1호
    • /
    • pp.42-49
    • /
    • 2023
  • Li-Al-Si를 함유한 유리세라믹 순환자원은 인덕션, 방화유리, 비젼냄비 등 리튬의 전체 소비량 중 14%로 리튬이온전지 다음으로 많이 쓰인다. 따라서 리튬의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 현재 새로운 리튬 자원을 찾아야 하고 이로부터 리튬의 회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하에 Li을 함유한 새로운 순환자원인 Li-Al-Si 유리세라믹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 Li, 9.4% Al, 28.9% Si를 함유한 Li-Al-Si 유리세라믹 중 방화유리를 원료물질로 사용하였다. 방화유리로부터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공정은 크게 칼슘 염을 투입한 건식 배소 공정과 수침출 공정으로 나뉜다. 325 mesh 이하로 분쇄된 방화유리 시료를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 칼슘 염을 투입하여 침출 실험을 비교 진행하였고 칼슘 염과 Li-Al-Si 유리세라의 투입비율에 따른 침출율, 칼슘 염 배소 온도에 따른 침출 연구도 비교 수행하였다. 수침출 연구에서는 온도, 시간, 고액비, 그리고 연속 침출횟수에 따라 리튬의 침출율 및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Li-Al-Si를 함유한 유리세라믹 방화유리는 열처리를 반드시 수행하여 베타 형태의 스포듀민으로 상변화 시켜야 하며 이로부터 CaCO3 염을 Li-Al-Si를 함유한 유리세라믹 방화유리와 6:1의 비율로 투입하여 1000℃이상에서 배소한 후 4회 이상 연속 침출하여 리튬의 회수율을 98% 이상 획득하였고 이때 리튬의 농도는 200mg/L였다.

VTM 정광 염배소 산물에 대한 바나듐 수침출 거동 분석 및 고농도 바나듐 용액 제조 (The Water Leaching Behavior of Vanadium from a Salt-roasted VTM Concentrate and the Preparation of High-concentration Vanadium Solution)

  • 박유진;김리나;김민석;전호석;정경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2호
    • /
    • pp.56-6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탄산나트륨(Na2CO3)을 사용하여 염배소한 함바나듐 티탄철광(VTM)으로부터 바나듐의 수침출 거동을 고찰하였다. 자력선별 된 정광과 Na2CO3를 질량비 4:1로 혼합한 후 1050 ℃, 3시간 조건에서 염배소하고 로드밀을 사용해 D50=48.79 ㎛로 분쇄하여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침출 온도와 광액 농도를 수침출 영향인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온도가 25, 55, 85 ℃로 증가할수록 바나듐의 침출율은 90.4, 88.2, 83.8%로 감소하였으며 광액 농도 10, 50, 100 w/v%에 따른 바나듐 침출율은 각각 90.4, 87.0, 87.0%로 변화가 크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25 ℃, 100 w/v%, 300 rpm, 1시간의 조건에서 다단 침출을 수행한 결과, 총 4단 침출 후 최종 침출액의 바나듐 농도는 16.20 g/L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다단 침출을 통해 고농도 소듐바나데이트 용액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피압에 의한 점토 지반의 용탈 특성 (Leaching Characteristics on Clay Ground induced by Artesian Pressure)

  • 윤대호;김윤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97-1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피압의 작용에 따른 점토 지반의 용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두 종류의 원통형 일차원 대형 컬럼 장치(높이 : 1,100mm, 직경 250mm)를 제작하여 점토 지반의 압밀 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압의 크기는 5.5kPa로 하부지반에서부터 작용하도록 하였으며, 압밀 실험 종료 후 점토층의 깊이에 따른 염분의 농도와 비배수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배수 전단강도 및 염분 분포는 점토층 하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부로 갈수록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피압이 작용할 경우 점토층 내에 용탈현상이 발생하여 지반이 구조적으로 취약해져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시간에 따른 간극비 변화를 살펴본 결과, 피압이 작용하는 지반에서 간극율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