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x koreensi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9초

New Rust Disease of Korean Willow (Salix koreensis) Caused by Melampsora yezoensis, Unrecorded Pathogen in Korea

  • Yun, Yeo Hong;Ahn, Geum Ran;Yoon, Seong Kwon;Kim, Hoo Hyun;Son, Seung Yeol;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335-337
    • /
    • 2016
  •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15, leaf specimens with yellow rust spots were collected from Salix koreensis Andersson, known as Korean willow, in riverine areas in Cheonan, Korea. The fungus on S. koreensis was identified as the rust species, Melampsora yezoensis, based on the morphology of urediniospores observed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 molecular properti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region. Pathogenicity tests confirmed that the urediniospores are the causal agent of the rust symptoms on the leaves and young stems of S. koreensis. Here, we report a new rust disease of S. koreensis caused by the rust fungus, M. yezoensis, a previously unrecorded rust pathogen in Korea.

저수지 수변 식생 건강성 평가 (The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in Riparian Vegetation of Lake Reservoirs)

  • 김형대;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11-121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iparian vegetation health in the fluctuation area and vicinity of reservoi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 basic data to improve the ecological function and establish green-network of waterside ecosystem. The study site is Daecheong lake reservoirs which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of Geum river and with great number of visitors near metropolitan city. The 6 survey plots of 2 survey area were selected, survey area 1 had 4 survey plots and survey area 2 had 2 survey plots, and to compare the study results 4 control plots were selected in Gyeongcheon reservoir. The main dominant specie of survey sites was Salix koreensis in tree and subtree layer, were Salix koreensis and Salix glandulosa. in shrub layer. 2 survey plots of Samjeongdong and Kyeongcheon reservoir were assessed as 'Good', 2 survey plots of chudong were assessed as 'Fair' in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In the fluctuation area from flood water level to low water level, 58 populations of Salix koreensis were found in survey sites and Salix koreensis, Salix glandulosa and Acer tataricum subsp. ginale were found in control sites. The most adequate species at the condition affected by inundation impacts would be Salix koreensis and Salix glandulosa was more healthy at the area less affected by inund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on Daecheong reservoir which has been advanced natural succession for more than 30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Further, it should carry continuously out the research on the planting model of the waterside ecosystem for ecological restoration.

버드나무(Salix Koreensis Andersson)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ix Koreensis Andersson Branches Extracts)

  • 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4-11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a willow tree (Salix Koreensis andersson) extrac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investigating its: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SOD-like activity, DPPH vitality. the willow tree was induced with LPS to determine its active anti-inflammatory effects. as a result, the willow methanol extract showed a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than those of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but the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showed a higher SOD than that of willow methanol extract. in its DPPH scavenging ability, the willow methanol extract's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the willow extract's measurements such as the production of NO, 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 IL-6 measurement)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its concentration level went down.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s, when induced, he will extract's macrophage produces mediator-like substances such as NO and inflammatory cytokine that can be used to allevi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refore, the willow tree proved to be a useful raw plant material for the products designed to combat inflammatory activities due to its natur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response substances such as NO and cytokine.

남강 습지에서 하상의 퇴적에 따른 선버들 (Salix nipponica)과 버들나무 (S. koreensis)의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 of Salix nipponica and S. koreensis during the Riverbed Sedimentation in the Wetland of the Nam-River)

  • 이팔홍;손성곤;김철수;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5-107
    • /
    • 2000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 습지에서 하상의 퇴적에 따른 습지 식생의 군집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개체군 동태와 저토 환경 요인을 조사하였다.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각 개체군은 하상의 퇴적으로 육상화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었다. 즉 습지 에 선버들이 정착하는 제 1 단계, 약간 육상화가 진행된 곳에 버드나무가 착하여 선버들과 버드나무가 공존하는 제 2단계, 퇴적이 진행되어 퇴적지의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선버들이 서서히 고사하고 버드나무가 우점하기 시작하는 제 3단계, 지하수위가 제 3단계의 두 배로 되고 선버들은 거의 사라지며 버드나무가 극상림을 이루는 제 4단계 등이다. 제 1 단계에서 제 4단계로 진행됨에 따라 선버들은 수고, 수령, 밀도 등이 감소하였으나 버드나무는 증가하였고, 각 단계별 하층식생의 종조성은 차이가 없었다. 주성분분석 (PCA) 결과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저토 환경요인은 지하수위와 점토 함량이었다. 하상의 퇴적이 진행됨에 따라 지하수위와 점토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기타 환경 요인은 차이가 없었다.

  • PDF

버드나무(Salix koreensis) 현탁배양(懸濁培養) 세포(細胞)의 대사산물(代謝産物) (Secondary Products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Salix koreensis)

  • 박용구;신동일;이상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98-208
    • /
    • 1989
  • 버드나무의 잎으로부터 유도(誘導)된 callus의 현탁배양(懸濁培養)은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2,4-D 1.0mg/l와 zeatin 0.1mg/l를 첨가(添加)한 액체배지(液體培地)에서 생장(生長)이 가장 좋았다. 액체배지(液體培地)에서 24일간(日間) 세포(細胞)를 배양(培養)한 후(後) 분리(分離)된 배양액(培養液)은 상치, 벼 그리고 피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를 강(强)하게 억제(抑制)하여 배양중(培養中)에 생리활성(生理活性) 물질(物質)이 형성(形成)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에서는 pyrogallol, sinapic acid, cinnamic acid, tannic+gallic acid 그리고 P-chlorobenzoic acid 등(等)과 같은 여러 종류(種類)의 phenol 화합물(化合物)이 검출(檢出)되어 이들이 강(强)한 발아(發芽) 억제작용(抑制作用)을 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고탁도 침수에 의한 하천식물의 성장률 변화 연구 - 버드나무속 3종을 대상으로 - (Variation on the Growth Rate of Plants by Submersion of High Turbidity - A Case Study on Salix Species -)

  • 김종태;김은진;강준구;여홍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9호
    • /
    • pp.957-967
    • /
    • 2013
  • 집중호우에 의한 고탁도 침수는 식물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드나무속 식물인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을 이용하여 고탁도 침수 발생 시 식물 키 및 엽수를 파악하여 성장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식물 키에 대한 분석 결과 비침수 상태인 대조군에서는 30일 후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이 각각 33.4%, 24.3%, 23.9% 증가하였지만 고탁도의 침수가 시작되면 대부분 성장이 멈추었다. 엽수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30일 후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이 각각 144.5%, 77.3%, 40.3% 증가하였지만 고탁도 침수가 30일 지속되면 버드나무를 제외한 식물의 엽수는 0개로 관찰되었다. 식물 성장에 대한 실험 결과 전반적으로 버드나무속 식물은 고탁도 침수가 지속되면 빠른 시간 내 성장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향후 침수가 빈번히 발생하는 임하호 및 상류하천 사면의 친환경적인 수목조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낙동강 해평 습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ure of Haepyeong Wetland in Nakdong River)

  • 이팔홍;김철수;김태근;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87-95
    • /
    • 2005
  •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고아면, 산동면, 해평면 및 도개면에 속한 해평 습지의 식생 구조를 조사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군락은 버드나무-선버들 군락, 달뿌리풀-여뀌 군락, 왕버들-선버들 군락, 여뀌 군락, 선버들 군락, 선버들-물억새 군락, 달뿌리풀-물억새 군락, 여뀌-달뿌리풀 군락, 바랭이-도꼬마리 군락, 갈대-여뀌 군락, 환삼덩굴-며느리배꼽 군락, 선버들-갈풀 군락, 왕버들-물억새 군락, 환삼덩굴 군락, 물억새-달뿌리풀 군락, 선버들-왕버들 군락, 마름 군락, 마름-붕어마름 군락 등 총 18종류였는데, 군락별 분포 면적은 버드나무-선버들 군락이 122.2ha(9.23%)로 가장 넓었고, 달뿌리풀-여뀌 군락 110.4ha(8.34%), 왕버들-선버들 군락 60.8ha(4.59%), 여뀌 군락 35.1ha(2.65%) 등의 순이었으며, 마름-붕어마름 군락이 0.3ha(0.02%)로서 가장 좁았다. 식생 조사표상 상재도에 의해 구분할 수 있는 군락은 여뀌-물억새 군락이었고, 여뀌-물억새 군락은 선버들-왕버들 아군락, 바랭이 아군락, 도꼬마리 아군락 등 3개의 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선버들-왕버들 아군락의 식별종은 선버들, 왕버들, 버드나무, 도루박이, 나도미꾸리낚시, 쇠무릎 등이고 바랭이 아군락의 식별종은 바랭이, 강아지풀, 돼지풀, 쇠방동사니 등이며, 도꼬마리 아군락의 식별종은 도꼬마리, 깨풀, 망초, 돌피, 얼치기완두 등이었다. 해평 습지에서 수생 및 습생식물의 대상 분포는 지하수위가 낮은 육상 지역에는 왕버들(Salix glandulosa), 버드나무(S. koreensis), 선버들(S. nipponica) 군락의 하층에 나도미꾸리낚시(Persicaria maackiana), 여뀌(P. hydropiper), 도루박이(Scirpus radicans) 등이 분포하고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물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 및 달뿌리풀(Phragmites japonica)과 같은 습생식물이 분포하며, 수심이 얕은 물가에는 갈대(P. communis) 및 솔방울고랭이(Scirpus karuizawensis)와 같은 정수식물이, 그 안쪽에는 마름(Trapa japonica)과 같은 부엽식물, 수심이 깊은 곳에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과 같은 침수식물과 부수식물인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1998년 환경부에서 지정한 6종의 멸종위기식물과 52종의 보호야생식물은 분포하지 않았다. 해평 습지는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버드나무속(Salix) 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다. 따라서 버드나무속을 포함한 수생 및 습생 식물의 분포 면적이 넓은 해평 습지는 낙동강의 수질 정화에 기여하고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로 이용되며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제공하므로 보존 가치가 높은 습지로 판단된다.

  • PDF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 군집의 현존식생도, 현존량 및 1차 생산성 (The Actual Vegetation Map, Standing Crop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of Salix spp. in the Upo Wetland)

  • 김태근;이팔홍;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3
    • /
    • 2007
  • 버드나무속의 분포 현황과 생산성을 조사하여 버드나무속 군집을 보전하고 생태공학적으로 이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2005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버드나무속의 군집별 분포 면적, 현존식생도, 현존량, 상대생장 및 1차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1. 우포 지역에 분포하는 버들류 7종류 중 선버들이 우점종이고 왕버들이 아우점하였으며, Salix 군락은 선버들, 왕버들, 버드나무, 선버들-왕버들, 왕버들-선버들, 선버들-버드나무 군락 등 총 6종류였다. 2. Salix 군락의 분포 면적은 선버들 군락이 28.46 ha로 가장 넓고, 선버들-왕버들 군락, 왕버들-선버들 군락이 각각 6.12 ha, 선버들-버드나무 군락 2.92 ha, 왕버들 군락 1.86 ha, 버드나무 군락 0.81 ha 등의 순이었다. 3. Salix 군락을 구성하는 선버들은 수령 5~13년, 수고 4.1~7.2 m, DBH 3.0~14.0 cm 등이고, 왕버들은 수령 2~36년, 수고 3.5~10.1 m, DBH 3.2~26 cm 등이었다. 4. 선버들의 현존량은 408 ton 이었으며, 왕버들의 현존량은 336 ton 이었다. 5. 선버들의 연순생산성은 $235g\;m^{-2}yr^{-1}$이고, 이를 우포지역으로 환산한 연순생산량은 $86.4ton\;yr^{-1}$였으며, 왕버들은 $1,006g\;m^{-2}yr^{-1}$$80.3ton\;yr^{-1}$이었다.

  • PDF

한강 하구 장항습지의 식생군락별 식물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s Distribution by Vegetation Community at Janghang Wetland in Han-river Esturary, Korea)

  • 나미연;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9-69
    • /
    • 2023
  • 본 연구는 한강 하구 장항습지 초본 군락과 버드나무속 군락의 식생분포 특성을 조사하여 식생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생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방형구법과 브라운브랑케 방법으로 총 50개소 조사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초본군집의 식물상은 11과 24속 28종 3변종 총 3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선버들 군락의 식물상은 16과 33속 39종 3변종으로 총 42분류군, 버드나무 군락의 식물상은 19과 37속 43종 3변종으로 총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생활형 및 우점도 분석 결과 선버들 군락에서는 수생식물의 출현비율과 우점도가 높고, 초본 군락에서는 반지중식물, 버드나무 군락에서는 일년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전기전도도(EC)와 치환성나트륨(Na+) 분석결과, 버드나무 군락의 토양은 상대적으로 높은 염분함량을 나타냈고, 선버들 군락과 초본 군락의 토양은 낮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생활형과 토양 염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수생식물과 반지중식물은 음의 상관관계, 일년생식물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염분 함량이 높은 환경에서는 버드나무와 일년생식물의 출현비율이 높고, 염분농도가 낮고 습윤한 지역에서는 선버들과 수생식물, 반지중식물의 출현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人間干涉하의 首都圈 그린벨트내 植物群集의 動態 - 森林群落에 있어서 落葉의 生産과 分解의 平衡 (Dynamics of Plant Communities under Human Impact in the Green Belt nearby Seoul - The Balance of Litter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in the Forests)

  • Chang, Nam-Kee;Byeong-Kiu Kim;Duck-Key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71-179
    • /
    • 1991
  • In this study, the balnce of the litter production and decompsition on the forest floors in the green belt nearby seoul,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72, and turnover cycles of minerral nutrients were inverstigated. litter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in the forests of quercus accutissima, q, serrata, q. mongolica, salix koreensis and alnus hirsuta were reached at the equilibium stated from 1972 to 1988 but this balance in the pine forest of pinus densiflore and p. rigida was not. Under the forests in the blance of the litter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the maximum amounts of n, p, k, ca and na retured to soil annually were 4.9g/㎡ in the alnus hirsuta forest, 0.35g/㎡ in the salix koreensis forest, 2.70g/㎡ in the quercus accutissima forest, 8.85g/㎡ in the s. koreensis forest and 3.93g/㎡ in the s. koreensis forest, respectively, and the minimum were 2.8g/㎡ in the s. koreensis forest, 0.108g/㎡ in the q. mongolica forest, 0.06g/㎡ in the s. koreensis forest, 2.12g/㎡ q. mongolica forest and 0.15g/㎡ in the q.accutissima for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