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ency Detectio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초

A two-stage cascaded foreground seeds generation for parametric min-cuts

  • Li, Shao-Mei;Zhu, Jun-Guang;Gao, Chao;Li, Chun-W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1호
    • /
    • pp.5563-5582
    • /
    • 2016
  • Parametric min-cuts is an object proposal algorithm, which can be used for accurate image segmentation. In parametric min-cuts, foreground seeds gene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since the number and quality of foreground seeds have great effect on its efficiency and accurac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arametric min-cuts, this paper proposes a new framework for foreground seeds generation. First, to increase the odds of finding objects, saliency detection at multiple scales is used to generate a large set of diverse candidate seeds. Second, to further select good-quality seeds, a two-stage cascaded ranking classifier is used to filter and rank the candidates based on their appearance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arametric min-cuts using our seeding strategy can obtain a relative small pool of proposals with high accuracy.

임의의 잡음 신호 추가를 활용한 적대적으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셋 탐지 방안에 대한 연구 (Random Noise Addition for Detecting Adversarially Generated Image Dataset)

  • 황정환;윤지원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29-635
    • /
    • 2019
  •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분류를 위한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은 오류 역전파 방법을 통해 미분을 구현하고 미분 값을 통해 예측 상의 오류를 학습한다. 엄청난 계산량을 향상된 계산 능력으로 해결하여, 복잡하게 설계된 모델에서도 파라미터의 전역 (혹은 국소) 최적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정교하게 계산된 데이터를 만들어내면 이 딥러닝 모델을 '속여' 모델의 예측 정확도와 같은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적대적 사례는 딥러닝을 저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의 눈으로는 쉽게 발견할 수 없도록 정교하게 계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잡음 신호를 추가하는 방법을 통해 적대적으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셋을 탐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임의의 잡음 신호를 추가하였을 때 일반적인 데이터셋은 예측 정확도가 거의 변하지 않는 반면, 적대적 데이터셋의 예측 정확도는 크게 변한다는 특성을 이용한다. 실험은 공격 기법(FGSM, Saliency Map)과 잡음 신호의 세기 수준(픽셀 최댓값 255 기준 0-19) 두 가지 변수를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임의의 잡음 신호를 추가하였을 때의 예측 정확도 차이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각 변수별로 일반적 데이터셋과 적대적 데이터셋을 구분하는 탐지 역치를 도출하였으며, 이 탐지 역치를 통해 적대적 데이터셋을 탐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