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ad dressing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급식소에서 생산되는 닭고기 샐러드의 녹차추출물 첨가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 평가 (A Study on the Microbial Quality Control of Chicken Meat Salad by Adding Green Tea Extracts in Foodservice Operations)

  • 김혜영;고성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75-682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microbiological quality by adding green tea extracts to chicken meat salad. For this study, Chicken meat salad were prepared with two production method. (method 1: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s to boiling phase, method 2: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s to salad dressing) Microbiological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were assessed during production process by measuring process time, temperature, pH and Aw and determining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on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were observed during holding at 3, 10, $25{\pm}1^{\circ}C$ for 12 hours. Green tea extracts improv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owed antibacterial properties when they are added to chicken meat salad.

닭발껍질추출 Gelatin을 이용한 Salad 드레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using Gelatin Extracted from Chicken Foot Skin)

  • 신미혜;남상명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23-135
    • /
    • 2003
  • 본 연구는 도살한 후 식용 부위를 제거하고 폐기되는 닭발을 이용하고자 닭발껍질에서 식품 소재인 gelatin을 추출하였다. 샐러드 드레싱의 물성 및 기호성 증진을 위해 닭발껍질에서 추출한 gelatin을 첨가하여 가공적성실험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circled1Gelatin - 한천용액으로 제조한 드레싱의 관능평가 결과에서 gelatin용액에 대한 조림간장의 함량이 10%인 것이 관능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겨자 마요네즈 드레싱은 마요네즈 함량이 낮을수록(10% 이하) 선호도가 좋아 마요네즈 첨가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깨 드레싱은 gelatin 용액에 대한 참깨의 함량이 15%일 때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ircled245$^{\circ}C$에서 전단속도에 따른 전단 응력을 관찰한 결과, 간장 드레싱의 점도는 조림간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처리구간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고, 겨자 마요네즈 드레싱의 경우는 마요네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깨 드레싱도 역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의 증가를 나타냈다. \circled3Gelatin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드레싱의 점도는 gelatin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시험구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마요네즈드레싱과 참깨 드레싱에서 gelatin첨가에 의한 혼탁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gelatin첨가량에 따른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ircled4Gelatin의 함량을 달리한 드레싱의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gelatin-한천 용액은 2%의 gelatin과 0.5%의 한천을 함유한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닭발껍질로부터 추출한gelatin의 첨가는 물성학적, 관능적으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소재로서 닭발껍질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또한gelatin을 이용한 드레싱의 개발은 한층 더 산업화의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 PDF

다시마를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제조의 품질 특성 (Study Development of Salad Dressing with Adde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 정현아;김안나;안은미;박숙현;김민지;우연정;이유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0-527
    • /
    • 2011
  • 다시마를 0, 3, 6, 9, 12%로 첨가하여 제조한 '다시마 샐러드 드레싱'의 pH와 산도, 색도, 당도, Texture,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의 측정 결과, 다시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p$ <0.001), 산도 측정결과,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의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 <0.05). 색도 측정결과,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당도 측정 결과, 다시마 첨가량 9%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3%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p$ <0.001). Texture의 측정 결과, 강도와 깨짐성, 씹음성 모두에서 저장 1일차에서 가장 높은값을 나타냈으며,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다시마 첨가량 9%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 Flavor 항목 중 Saltiness에서 대조군이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p$ <0.01), Taste 항목 중 Sourness와 Sweetness에서 다시마 첨가량 6%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Overall quality 항목에서 다시마 첨가량 3%, 6%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p$ <0.001). 5개의 시료 중 기호도가 가장 높았던 다시마 첨가량 6%를 이용하여 쌈무를 제조 후, 현재 시판중인 가공 쌈무와 비교하여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9개의 항목 중 6개 항목에서 다시마 쌈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천연재료를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개발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스피루리나 첨가 저지방 샐러드 드레싱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Fat Salad Dressing with Spirulina during Storage)

  • 조흔;양윤형;이근종;조용식;전혜경;송경빈;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9-335
    • /
    • 2005
  • 스피루리나 첨가 저지방 샐러드 드레싱을 $5^{\circ}C$ 또는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드레싱의 점도는 저장 2주후부터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유화안정성은 제조직후의 $40\%$에서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여 저장 8주후에는 $25\%$정도 감소하였으며, 저장 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방구의 입자 크기는 저장 30일까지는 제조직후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75일 후에는 가장 작은 크기인 $0.5{\sim}1.0\;{\mu}m$$11.3-13.5\%$로 제조 직후의 $25.5\%$에 비하여 크게 감소한 반면에, 입자가 큰 $1.5-2.0\;{\mu}m$의 경우, 제조직후의 $11.4\%$에서 $30.1-32.3\%$로 크게 증가 하였다. 색상은 샐러드 드레싱을 저장하는 동안 명도(L 값)는 감소하였고, a 및 b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수록 지질산패도는 증가하였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TBARS 값은 증가되었는데 $5^{\circ}C$의 경우는 $11\%$, $10^{\circ}C$의 경우는 $15\%$ 증가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circ}C$에서 저장하여 8주 경과된 샐러드 드레싱의 $IC_{50}$값은 157.4 mg/mL 이었고, $10^{\circ}C$에서 저장하여 8주 경과된 샐러드 드레싱은 194.6 mg/mL로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IC_{50}$값은 증가되었다. 제조직후의 총균수는 6.2 log(CFU/mL)이었고 저장 4주후에는 증가하여 7.3-7.5 log(CFU/mL)이었고 저장 8주 후에는 7.9 log(CFU/mL))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해미생물인 대장균군은 저장 8주후까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스피루리나 첨가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유지를 위해서는 저온 저장이 바람직하였다.

혼합물 실험계획법에 의한 황도복숭아 드레싱 재료혼합비의 최적화 (Mixutre Optimization of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Dressing by Mixture Experimental Design)

  • 박정은;김용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20-3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optimization of ingredients in salad dressing using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D-optimal design of mixture design, which included 14 experimental points with 4 replicates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live oil 40~65%, peach puree 27~50%, vinegar 8~20%). The linear regression models for pH, viscosity and color value and the quadratic regression models for emulsion stability, all sensory evaluation of the products were proven to be valid by the F-test for the overall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model at a 5% level. Viscosity and pH of the products increased as olive oil content. Color value, viscosity and pH of the products increased as peach puree content. pH, viscosity,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products decreased as vinegar content. Sensory evaluation result of the products showed that general preference for the products were increasingly affected by the increases in contents then decreased as they exceeded the optimum levels. In consequence, according to result from the first stage of the experiment, the optimum ingredients ratios of the raw materials were set in olive oil 52.43%, peach puree 35.07%, and vinegar 13.91% for ingredients of apricot dressing. These results provided the possibility that peach can be applied to the preparation of a dressing, and thereby present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essings. This is also presumed to meet demands of customers who are always in pursuit of new products.

프렌치 타입 샐러드 드레싱의 향미 프로필 (Flavor Profile of French Type Sald Dressings)

  • 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8-241
    • /
    • 1994
  • 프렌치 타입의 저열량 샐러드 드레싱과 보통 샐러드 드레싱의 향미 프로필을 두가지의 다른온도(섭시 5도 및 25도)에서 수행하였다. 냄새와 향미 프로필에 대하여 각각 식초의ㅣ 사이다형 혹은 증류형, 토마토의; 페이스트형, 소오스형, 혹은 쥬스형, 향신료; 마늘의, 신선한 양파, 건조된 양파, 샐러리, 파프리카, 소금의, 기름짐, 전체적인 단맛, 전체적인 신맛 등의 특성이 개발되었다. 오일이 물로 대치된 저열량 시료는 기대되었던 대로 레귤러시료보다 기름짐의 향미특성이 낮다고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조화도는 저열량 드레싱이 레귤러 드레싱보다 더 높았다. 저열량드레싱은 레귤러 드레싱보다 더 온도의 영향을 민감히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using jujube puree)

  • 남궁란;박상아;안소정;이영현;김한수;이영근;성종환;정헌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7-192
    • /
    • 2014
  •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드레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드레싱은 생대추를 박피, 제심하고 스팀 블랜칭, 마쇄하여 퓨레를 제조하고 이의 첨가량이 0, 10, 20, 30, 40, 50%가 되게 간장, 식초, 올리고당, 올리브유, 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드레싱의 색도 중 $L^*$값은 대추퓨레 10%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대추퓨레 첨가구들이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a^*$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대추퓨레 첨가구 간에는 첨가량에 따라 수치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였고, $b^*$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산도는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 50%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점도는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에 비례하여 점도가 증가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항산화능의 척도인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드레싱의 색, 냄새, 맛, 질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가 보다 좋게 평가되었고, 모든 평가 항목에서 대추퓨레 30%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로써 대추퓨레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드레싱의 항산화능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한 대추퓨레의 첨가량은 30%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프리카즙을 첨가한 캐슈드레싱의 품질 및 관능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shew Dressing Added with Paprika Juice)

  • 최순남;정남용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paprika juice added to cashew dressing. This study presents fundamental data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shew dressings added with paprika juice (addition of 20%, 40% yellow, red and green paprika juice instead of water). The pH of cashew dressing added with paprika juice was 4.61~4.80, whereas that of control was 4.35. The viscosity of cashew dressing added with paprika juice was 34,130.5~36,515.3 cp while that of control was 26,558.8 cp. L value of control (73.83)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65.45~72.23), and a value of dressing added with red paprika juice (9.81~10.42)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Preference of cashew dressings added with paprika juice and foods was evaluated. The sweet, sour, and savory tast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cashew dressings added with paprika juice. Preference of color of cashew dressing with green paprika juice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and the preference of cashew dressing added with yellow paprika juice 20% (Y20)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Y20 sample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sensory evaluation.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food and dressing (Y20), chicken cutlets and fruit salad received higher scores than other foods. It is expected that cashew added with paprika juice will be utilized as a healthy dressing.

닭발 추출 젤라틴을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s Containing Chicken Foot Gelatin)

  • 신미혜;김종군;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8-63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fundamental data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ies of salad dressings made with chicken foot gelatin.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gelatin powder concentrations in preparing gelatin solutions. A 2% gelatin solution, including 0.5% agar, was prepared for use in the experiments that followe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organoleptic acceptance of dressings manufactured with differing concentrations of the additive in seasoning soybean sauce, mayonnaise, and sesame powder. The viscosities of the dressing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gelatin powder concentration. A decrease in turbidity was observed in the mayonnaise and sesame dressings. The color difference values of all dressings indicated no changes. In sensory evaluations of dressings prepared with gelatin solution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2 g (1%), 4 g (2%), and 8 g (4%) of gelatin powder, the 4 g (2%) sample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r overall acceptance. From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find an efficient use for chicken house wast product, it is anticipated that chicken feet will be utilized as a new raw material for producing collagen and gelatin, protein sources widely increasing in use with in the food and bio-industries.

  • PDF

머루 분말을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의 저장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Dressings Prepared with Wild Grape Powder during Storage)

  • 빙동주;이지현;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50-25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머루의 영양성과 이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머루 분말을 1%, 2%, 3% 및 5%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을 제조하고 저장 중의 품질 특성, 항산화 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점도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저장기간 중의 점도 측정 결과에서 3주차까지는 실험군들 모두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수분활성도는 대조군이 0.924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저장 4주차에는 머루 분말 첨가군들 0.902~0.912로 대조군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명도와 황색도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명도와 적색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색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향미는 2% 첨가군이 5.5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1% 첨가군과 2% 첨가군이 각각 5.71, 5.4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샐러드드레싱의 품질 특성, 관능검사 및 항산화 효과를 고려할 때 머루 분말 2%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이 최적의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또한 머루를 이용한 가공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샐러드드레싱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